References
- 가석현, 김찬종, 최승언(2019). 자동내용분석법(Automatic Content Analysis)을 통한 과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8년부터 2015년까지 8년간의 JRST, IJSE 연구논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519-543.
- 강은미, 신동훈, 권용주(2006). 과학 지식 생성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지식 생성 능력의 발달. 초등과학교육, 25(3), 257-270.
- 곽민호, 신윤주, 이진희(2019). 지구과학교육의 연구 동향: 데이터 마이닝 기법 잠재디리클레할당을 이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1311-1335.
- 권난주, 권혁재(2019). 과학체험학습에 관한 선행연구 및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다양한 과학체험학습장의 활용방안 모색. 초등과학교육, 38(1), 43-54.
-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65
- 권도현, 권성기(2000). 초등학생의 부력 개념 형성과 인지 수준의 관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1), 131-143.
- 권영식, 이길재(2013). 과학과 미술 통합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뇌 활성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2(4), 567-580.
- 김민서, 여상인(2014). 초등 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사고 양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3(3), 558-565.
- 김성연(2020).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SIAM Journal on Applied Mathematics의 연구 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7), 607-615.
- 김영우(2021). Do it! 쉽게 배우는 R 텍스트마이닝. 서울: 이지퍼블리싱.
- 김장환, 신원섭, 신동훈(2018). 탐구형 초등과학수업 '호흡' 차시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수행동 및 시각적 주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37(2), 206-218.
- 김재영, 임채성, 백자연(2014). 뇌 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행동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579-587.
- 김찬종, 박현정(1997). 초등학교 학생들의 빛에 대한 개념과 달의 위상 변화 개념 사이의 관련성: 개념 생태학적 접근. 초등과학교육, 16(1), 173-187.
- 김한제, 정용재, 장명덕(2013). '어는점 내림'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설명 모형 제안. 초등과학교육, 32(2), 206-224.
- 김현주(1985). X선 회절법에 의한 석약의 광물학적 분석 연구. 초등과학교육, 3, 13-28.
- 김형욱, 송진웅(2020). 계량서지 정보 분석을 통한 과학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 동향 탐색. 교사교육연구, 59(3), 291-304. https://doi.org/10.15812/TER.59.3.202010.291
- 김혜원, 전영석(2021).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40(3), 283-294.
- 김희경(2007). 과학 교사의 전문성 계발 프로그램의 조건과 모형. 초등과학교육, 26(3), 295-308.
- 나지연, 윤혜경, 김미정(2015).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사용지도서 목표 간의 비교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 3~4 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4(2), 183-193.
- 노금자, 김효남(1996). 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용해 개념. 초등과학교육, 15(2), 233-250.
- 문공주, 서경운, 강은희, 황요한(2020).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문제와 해결책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39(3), 399-411.
- 박종도(2019).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다문화 연구의 이슈 추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3(3), 273-289. https://doi.org/10.4275/KSLIS.2019.53.3.273
- 박종욱, 김도욱(1997).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화학실험 현상에 대한 추론유형과 증거중시태도와의 관계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16(1), 83-95.
- 박종호, 김재영, 배진호(2001).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0(2), 271-280.
- 박준형, 오효정(2017).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토픽모델링 기법 비교: LDA 와 HDP 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4), 235-258.
- 박지선, 송진웅(2016). 초등 교사의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에 대한 윤리적 민감성. 초등과학교육, 35(4), 416-425.
- 박지연, 이경호(2004). 과학개념변화 연구에서 학생의 개념에 대한 이해: 오개념에서 정신모형까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21-637.
- 박형민, 임채성(2021). E학습터 플랫폼을 활용한 원격 생물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40(1), 13-21.
- 배창호, 김정길, 김해경(2002). 초등학교 야외 지질학습현장 개발 및 활용방안. 초등과학교육, 21(2), 241-252.
- 백남권, 서승조, 조태호, 김성규, 박강은, 이경화(2002). 제6차와 제7차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61-70.
- 백영민(2020). R을 이용한 텍스트마이닝. 서울: 한울아카데미.
- 성혜진, 임희준(2018). 과학 탐구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7(4), 391-401.
- 손석락(1985). 유문등에 포획된 모기류의 계절적 발생 소장. 초등과학교육, 3, 3-12.
- 송진웅(1995). 과학교육 연구의 균형성을 위한 모형과 지수.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5.
- 신원섭, 박형민, 김남일(2021).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의 변천 과정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1983~2020년). 초등과학교육, 40(4), 545-555.
- 신현옥, 이기영, 김찬종(2005). 초등 과학 포트폴리오 평가와 다른 과학 평가 방법 간의 상관관계 분석. 초등과학교육, 24(3), 301-309.
- 심재호, 이양락, 김현경(2015). STEM, STEAM 교육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709-723.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4.0709
- 안재홍, 권난주(2015). 아나모픽 착시예술을 활용한 초등과학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34(2), 224-237.
- 여상인, 박창식, 임희준(2007). 한국과 미국 BSCS 초등과학 교과서의 삽화 비교. 초등과학교육, 26(4), 459-467.
- 여성희, 김희령, 김미경(200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 탐구 과정과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실태 분석. 생물교육, 31(3), 214-223.
- 오동주, 배진호, 박수홍(2016). 과학기반 심화융합영재 프로그램이 초등 과학영재의 창의적 사고활동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5(1), 13-25.
- 오세일(1994). 아동의 빛 개념 변화에 비치는 오개념 교정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13(1), 51-79.
- 원용준, 최선영, 강호감(2002). 슬기로운 생활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창의력 계발. 초등과학교육, 21(1), 71-80.
- 위수민, 곽정실, 김현정, 조현준(2008).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4), 420-436.
- 유경희, 신영준(2014). 체험형 환경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3(1), 69-81.
- 유혜경, 임희준(2014).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논증활동에서 증거의 유형 및 수준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162-171.
- 윤진아, 서혜애(2016).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과학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문헌분석 대 사회네트워크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0(3), 353-366.
-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 윤혜경(2011). 초등 예비교사의 자기 모델 탐구 과정과 과학적 모델에 대한 이해 변화. 초등과학교육, 30(3), 353-366.
- 이경란, 박종호, 백남권(2016). 초등학생의 빛의 성질 개념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의 개발. 초등과학교육, 35(3), 326-335.
- 이명제(2010). 과학적 소양 관련 논문에서 서술자의 종류와 빈도 특성 연구. 초등과학교육, 29(4), 401-413.
- 이병희, 이형철(2016). 플립드 러닝 (Flipped Learning) 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5(1), 78-88.
- 이봉우, 조헌국(2020). 상세 서지분석을 이용한 기후변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2), 99-109.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2.99
- 이아람, 홍영식(2013). 한국초등과학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32(3), 260-268.
- 이인선, 박종원(2019). 과학 영재학생들의 과학탐구 포스터 작성을 위한 점검표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8(3), 426-438.
- 이형철, 이순자(2000). 부력 개념에 관한초등학교 교사들의 이해도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1), 145-156.
- 이혜정, 박국태, 권용주(2005a). 초등예비교사들의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인과적 의문의 사고 유형과 생성 과정. 초등과학교육, 24(3), 249-258.
- 이혜정, 양일호, 서형두, 정재구(2005b).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수업의 사회적 참여구조 유형. 초등과학교육, 24(2), 123-129.
- 임재근, 이소리, 양일호(2010). 과학적 실험과 공학적 실험에서 초등교사의 수업 과정 분석. 초등과학교육, 29(4), 515-525.
- 임현지, 최선영(2016). 초등과학영재의 정서지능과 성취목표지향성이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5(3), 316-325.
- 장병기 (2003). 초등과학교육 연구의 동향. 초등과학교육, 22(2), 192-199.
- 장은진, 권치순(2010). 과학과 탐구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자아 개념과 교수 불안. 초등과학교육, 29(2), 155-165.
- 장진아, 전영석(2010). 초등학생을 위한 자유 탐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생의 과학 탐구 기능 특성 및 지속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9(2), 207-218.
- 전아름, 노석구, 박재근(2012). 반복되는 불일치 상황에 서 상황 제시 방법에 따라 초등학생들이 예상을 바꾸는 특성. 초등과학교육, 31(3), 298-310.
- 정성희, 천옥명, 강성주(2015). 미성취 영재를 위한 초등과학 개별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초등과학교육, 34(4), 394-405.
- 정정인, 한재영, 김용진, 백성혜, 송영욱(2007).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사용된 보조적 시각 자료의 분류 및 분석. 초등과학교육, 26(5), 525-534.
- 정진우, 송보용, 김효남(1994). 자연과 수업에서 Vee Diagram 의 적용에 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3(2), 177-193.
- 정하나, 전영석(2014).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느끼는 교수, 학습 곤란도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172-180.
- 조선형(1983). 소백산 륙괴의 부분적으로 조사작성한 지질도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2, 3-12.
- 조헌국, 이봉우(2019). 상세 서지분석을 이용한 에너지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9(3), 241-251. https://doi.org/10.22368/KSECCE.2019.9.3.241
- 주은정, 김재근(2012). 생태적 소양 함양을 위한 토양 종자 은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초등과학교육, 31(3), 284-297.
- 차민경(2015). 국내 언론에 나타난 '예술경영'관련 이슈의 의미연결망 분석: 1990 년부터 2014 년까지 국내 일간지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29(2), 168-200. https://doi.org/10.16937/JCP.29.2.201508.168
- 차유미, 강훈식(2020). PCK 에 근거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영재수업과 발명영재수업 구성과 실천의 특징 비교. 초등과학교육, 39(3), 338-352.
- 채동현, 임성만(2011). 반증-실험 모형을 이용한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개념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524-534.
- 최은순, 노석구(2001). 마인드 맵 활용이 자연과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0(2), 281-291.
- 최재환, 이운환, 김애자(1993). 국민학교 아동의 지적발달 수준과 자연 교과서 내용과의 비교 연구. 초등과학교육, 12(2), 127-144.
- 최행숙, 백성혜(1999). 초등학교 과학실험 기구 조작 기능에 대한 관찰 평가 준거 개발-초등학교 화학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18(1), 65-73.
- 최호성(2016). 한국 영재교육의 위기 현상 진단과 해결 방안. 영재교육연구, 26(3), 493-514. https://doi.org/10.9722/JGTE.2016.26.3.493
- 하지훈, 신영준(2014). 초등학생의 VARK 학습양식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 초등과학교육, 33(4), 724-735.
- 한광래(2003). 메뚜기를 이용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관찰능력 조사. 초등과학교육, 22(1), 121-129.
- 한국연구재단(2021.11.20).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학술지 인용정보. https://www.kci.go.kr/kciportal/po/search/poCitaView.kci?sereId=000311
- 한기순, 양태연(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 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 한영욱, 김대홍(2002). 귀국학생 지도를 위한 미국과 한국의 초등 과학과 교과서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1-10.
- 황고은, 문신정(2017). 영상콘텐츠분야 정권별 빅데이터 분석: 상위 중심성 값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 콘텐츠학회 논문지, 18(5), 911-921.
- Arun, R., Suresh, V., Madhavan, C. V., & Murthy, M. N.(2010, June). On finding the natural number of topics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Some observations. In R. Arun, V. Suresh, C. E. Veni Madhavan & M. N. Narasimha Murthy (Eds.), 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pp. 391-402). Berlin: Springer.
- Blei, D. M.(2012).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55(4), 77-84. https://doi.org/10.1145/2133806.2133826
- Blei, D. M., Ng, A. Y., & Jordan, M. I.(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Jan), 993-1022.
- Cao, J., Xia, T., Li, J., Zhang, Y., & Tang, S.(2009). A density-based method for adaptive LDA model selection. Neurocomputing, 72(7-9), 1775-1781. https://doi.org/10.1016/j.neucom.2008.06.011
- Chang, Y. H., Chang, C. Y., & Tseng, Y. H.(2010). Trends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 automatic content analysi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9(4), 315-331. https://doi.org/10.1007/s10956-009-9202-2
- De Jong, O.(2007). Trends in western science curricula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A bird's eye view.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6(1). 15-22.
- DeBoer, G. E.(2000). Scientific literacy: Another look at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anings and its relationship to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6), 582-601.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8)37:6<582::AID-TEA5>3.0.CO;2-L
- Deveaud, R. E., Eric, S., & Patrice, B.(2014). Accurate and effective latent concept modeling for ad hoc information retrieval. Document Numerique, 17(1), 61-84. https://doi.org/10.3166/dn.17.1.61-84
- Gatti, C. J., Brooks, J. D., & Nurre, S. G.(2015). A historical analysis of the field of OR/MS using topic models. arXiv.org, stat. ML. Retrieved from https://doi.org/10.48550/arXiv.1510.05154
- Griffiths, T. L., & Steyvers, M.(2004).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1(suppl 1), 5228-5235. https://doi.org/10.1073/pnas.0307752101
- Harlen, W.(2001). Primary science: Taking the plunge. How to teach science more effectively for ages 5 to 12. Heinemann, 361 Hanover Street, Portsmouth, NH 03801-3912.
- Keeley, P.(2009).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the K-12 system. Science and Children, 46(9), 8-9.
- Martin, D. J.(2012).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Cengage Learning. Belmont, CA: Wadsworth.
- Odden, T. O. B., Marin, A., & Rudolph, J. L.(2021). How has Science Education changed over the last 100 years? An analy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cience Education, 105, 653-680. https://doi.org/10.1002/sce.21623
- Silge, J., & Robinson, D.(2017). Text mining with R: A tidy approach. California: O'Reilly Media, Inc.
- Steyvers, M., & Griffiths, T.(2007). Probabilistic topic models. In T. K. Landauer, D. S. McNamara, S. Dennis, W. Kintsch (Eds.), Handbook of latent semantic analysis (pp. 439-460). New York: Psychology Press.
- Wasserman, S., & Faust, K.(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