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2022년도 창원대학교 자율연구과제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임.
References
- 김남희, 송호준, 천성용 (2020). 지각된 위험, 기술 신뢰가 신기술 제품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낙관적 편향의 매개된 조절효과. 지식경영연구, 21(4), 227-241. https://doi.org/10.15813/KMR.2020.21.4.012
- 김미예, 옥경영 (2021). MZ 세대의 소비자책임인식 소비자교육이 지속가능소비에 미치는 영향: 기업책임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7(3), 63-82.
- 김병수 (2012). 모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환경에서 지속 사용 의도의 선행 요인에 관한 연구: 신뢰와 프라이버시 우려의 역할. 지식경영연구, 13(4), 83-100. https://doi.org/10.15813/KMR.2012.13.4.006
- 김시월, 조향숙 (2014). 소비자의 생애주기별 사회적 참여 소비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소비자역량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문제연구, 45(2), 47-76. https://doi.org/10.15723/JCPS.45.2.201408.47
- 김혜연, 김시월 (2011). 소비자의 8 대 기본권리 실현을 위한 기업의 책임 수행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요구-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2(3), 1-23.
- 남궁현경, 김일호, 천희란 (2017). 서울시 고령자의 정보격차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4), 73-81. https://doi.org/10.14400/JDC.2017.15.4.73
- 민동원 (2020). 노년층 소비자의 디지털 정보격차 완화를 위한 심리적 접근: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의 관점에서. 디지털융복합연구, 18(3), 133-138. https://doi.org/10.14400/JDC.2020.18.3.133
- 박승배, 홍재원 (2021a).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와 기업의 신뢰가 정보통신 기기 및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 정보학회논문지, 26(1), 217-222.
- 박승배, 홍재원 (2021b). 소비자 문제해결 창구 인식이 지속가능 소비생활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권리와 책임 행동과 소비생활 여건 인식의 효과. 기업경영연구, 28(3), 1-19.
- 박종옥 (2020). 소비자역량 소비자문제 피해경험 소비여건의 소비자신뢰가 소비,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문제연구, 51(2), 37-67. https://doi.org/10.15723/JCPS.51.2.202008.37
- 심영 (2021). 기업의 사회적 책임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과 소비생활만족이 소비자 복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문제연구, 52(1), 72-101.
- 안세환, 고강욱, 김영민 (2022). 디지털 전환: DNA (Data, Network, AI) 키워드를 활용한 토픽 모델링. 지식경영연구, 23(3), 129-152. https://doi.org/10.15813/KMR.2022.23.3.007
- 유현정, 송유진, 이아름 (2018). 소비자역량이 소비생활불안감과 소비문제경험도, 소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Crisisonomy, 14(2), 123-138.
- 이기춘, 양세정, 천경희, 김소라, 권헤진 (2007). 소비자역량지수 개발 및 산출연구. (사)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
- 이정기, 이재혁 (2020).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현황 및 발전 방향: ESG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전략경영연구, 23(2), 65-92. https://doi.org/10.17786/JSM.2020.23.2.004
- 이철승, 정준호, 전병유 (2020). 세대.계급.위계 II: 기업 내 베이비 부머/386 세대의 높은 점유율은 비정규직 확대, 청년 고용 축소를 초래하는가? 한국사회학, 54(2), 1-58.
- 이현아, 양수진 (2021).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자 책무 의식 수준에 대한 세대 및 성별에 따른 비교 분석 연구. 소비자학연구, 32(6), 27-52.
- 장석준 (2016). 노년층 디지털 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11(2), 149-170.
- 장영은 (2019). 노인의 특성이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4(2), 209-215. https://doi.org/10.9708/JKSCI.2019.24.02.209
- 전상민 (2018). 소비생활여건 소비자역량 소비자시장평가가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49(2), 77-110. https://doi.org/10.15723/JCPS.49.2.201808.77
- 주경희, 김동심, 김주현 (2018). 노년층의 정보격차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과 예측변인 탐색. 사회복지정책, 45(2), 95-121. https://doi.org/10.15855/SWP.2018.45.2.95
- 한국소비자원 (2021). 2021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 허경옥 (2018). 기업 고객상담실의 소비자불만처리에 대한 소비자만족, 기업에 대한 소비자신뢰가 소비자의 불만제품 재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비자문제연구, 49(2), 181-206. https://doi.org/10.15723/JCPS.49.2.201808.181
- 황남희, 김혜수, 김경래, 주보혜, 홍석호, 김주현 (2020). 노년기 정보 활용 현황 및 디지털 소외 해소 방안 모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황미진, 배순영 (2019).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산출 연구.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 황미진, 정영훈 (2017). 2017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개선 및 생산연구.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 황현정, 황용석 (2017).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사회과학연구, 24(3), 359-386.
- Bianchi, E. C., & Brockner, J. (2012). In the eyes of the beholder? The role of dispositional trust in judgments of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fairn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18(1), 46-59. https://doi.org/10.1016/j.obhdp.2011.12.005
- Carroll, A. B. (1991). The pyrami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ward the moral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stakeholders. Business Horizon, 34, 39-48. https://doi.org/10.1016/0007-6813(91)90005-G
- Jung, S. G., & Yang, J. H. (2013).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relational benefits,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innovativeness & rationality.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8(2), 47-72.
- Levine, L. (2019). Digital trust and cooperation with an integrative digital social contract. Journal of Business Ethics. 160, 393-407. https://doi.org/10.1007/s10551-019-04201-z
- Maignan, I., & Ferrell, O. C. (2004).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 3-19. https://doi.org/10.1177/0092070303258971
- Mazzella, F., Sundararajan A., D'Espous, V., & Mohlmann, M. (2016). How digital trust powers the sharing economy. IESE Insight, 30, 24-25.
- McWilliams, A., & Siegel, D. (2001).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rm perspective.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6(1), 117-127. https://doi.org/10.2307/259398
- Reuter-Lorenz, P. A., & Lustig, C. (2005). Brain aging: Reorganizing discoveries about the aging mind.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15(2), 245-251. https://doi.org/10.1016/j.conb.2005.03.016
- Shin, D. H. (2019). Blockchain: The emerging technology of digital trust. Telematics and Informatics, 45, 101278.
- Sundararajan, A. (2019). Commentary: The twilight of brand and consumerism? Digital trust, cultural meaning, and the quest for connection in the sharing economy. Journal of Marketing, 83(5), 32-35. https://doi.org/10.1177/0022242919868965
- 머니투데이 (2022).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91314305856619
- 조선일보 (2022). https://www.chosun.com/economy/market_trend/2022/04/20/3WI3XFMLLRFRVB7AXPP6B5V3DY/
- 행정안전부 (2022). https://jumin.moi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