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according to various operation methods (direct management, public consignment, and private agency)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derive the most efficient and high level of sewage treatment services to the public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o this end, economic performance indicators (sewage treatment cost, sewerage rate) and social performance indicators (water quality, number of civil complaints) were selected, and cross-sectional analysis and longitudinal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s of three or more groups through one-way ANOV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ross-sectional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economic performance dimens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but in terms of social performance dimens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In the case of water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were superior to those directly managed by public consignment and private agencies in the number of civil complaints. In the longitudinal analysis examining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operation method in most performance indicator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ublic services and improve the service level, various approach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rvice ar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logic of public consignment or introduction of private agency. In the future, when local governments promote public consignment or private agenc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promote the nature of the service, the specificity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the needs of service users.
본 연구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다양한 운영방식(직영, 공공 위탁, 민간 대행)에 따른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민에게 가장 효율적이고 높은 수준의 하수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운영방식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제적 성과지표(하수처리 비용, 하수도 요금)와 사회적 성과지표(수질, 민원 수)를 선정하여 횡단 분석(cross-section data)과 종단 분석(longitudinal analysis)의 방법으로 세 집단 이상의 평균 차이 검증을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횡단 분석에서의 경제적 성과 차원에서는 운영방식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회적 성과 차원에서는 운영방식별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질 지표의 경우 공공 위탁에서, 민원 발생 건수에서는 민간 대행에서 직영 대비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종단 분석에서는 대부분 성과지표에서 운영방식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공공서비스의 효율성 제고와 서비스 수준 제고를 위해서는 공공 위탁이나 민간 대행 도입 논리 외에 서비스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아울러 향후 지자체가 하수도 위탁을 추진한다면 서비스의 성격과 지자체별 특수성, 서비스 이용자의 니즈 등을 잘 파악하여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