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킬링 디어>에 드러난 고대 그리스 비극의 변용

Transformation of Ancient Greek Tragedy Revealed in The Killing of a Sacred Deer

  • 권은선 (중부대학교 연극영화학전공)
  • Kwon, Eunsun (Dept. of Theater & Film, Joongbu University)
  • 투고 : 2022.04.30
  • 심사 : 2022.05.09
  • 발행 : 2022.05.31

초록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킬링 디어>는 그리스 3대 비극작가 중 한명인 에우리피데스의 『아울리스의 이피게네이아』를 원형서사로 삼고 있다. 그리하여 란티모스는 현대 미국 대도시의 영화적 디제시스 내에 '신적 존재에 의한 피의 폭력'으로 물든 신화적 세계를 도입하면서 저주와 희생양이라는 신화적 모티브를 변주한다. 본 논문은 <킬링 디어>의 현대의 시공간에 구축된 신화적 세계를 통하여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집단적 희생위기 탈출 기제인 희생양 메커니즘과 욕망과 폭력의 모방적이고 상호적인 특성을 르네 지라르를 경유하여 읽어보고자 했다. 영화 속에서 마틴은 스티븐을 아버지의 자리에 놓으려고 한 자신의 욕망이 좌절되자, 스티븐에게 저주의 신탁을 내린다. 그 순간 두 사람의 '좋은' 상호성은 급격하게 '나쁜' 상호성으로 변환된다. 영화는 스티븐의 가족을 통하여 희생양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방식을 탁월하게 묘사한다. 제비뽑기에 의한 희생양 선택은 그 신명심판적 (神命審判的) 성격에 힘입어 희생양에게 성스러운 특성을 부여하고, 희생양은 성스러운 존재가 되며 가족의 질서는 재구축 된다. <킬링 디어>는 오래된 신화적 소재를 통해 관객들에게 존재의 근원을 경험하고 그것을 성찰하게 함으로써 고뇌와 고통이 존재의 근원임을 깨닫게 한다.

Yorgos Lanthimos' The Killing of a Sacred Deer (2017) uses Iphigeneia in Aulis written by Euripides, one of the three great Greek tragedies writers, as the archetypal narrative. Thus, Lanthimos introduces a mythical world stained with 'blood violence by a divine being' within the cinematic diegesis of a modern American metropolis. And the mythical motifs of curses and scapegoats are varied. This thesis tried to read the scapegoat mechanism, the oldest mechanism of escape from the crisis of collective sacrifice, and the imitative and mutual characteristics of desire and violence through René Girard through the mythical world built in the modern time and space of the film. Martin places a cursed oracle on Steven when his desire to place him in his father's place is thwarted. The 'good' reciprocity between two people is rapidly transformed into a 'bad' reciprocity. The Killing of Sacred Deer is an excellent portrayal of how the scapegoat mechanism works through Steven's family. The selection of the scapegoat by lot gives the sacrificial lamb a sacred character thanks to its divine nature, and the scapegoat becomes a sacred being, and the family order is re-established.

키워드

참고문헌

  1. Euripides, B. H. Cheon (trans.), "Iphigeneia in Aulis", Euripides' tragedies 2, Soop, pp. 375-446, 2009.
  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31093&cid=60657&categoryId=60657
  3. Aristotle, S. S. Lee (trans.), Poetics, Moonji, 2018.
  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22062&cid=41810&categoryId=41811
  5. J. S. Kim, Rene Girard, Communication Books, pp.47-48, 2018.
  6. J. S. Kim, Rene Girard, Communication Books, pp.16-17, 2018.
  7. H. S. Oh, "Structures of Violence in The Killing of a Sacred Deer: Scapegoating and Rendering Justice", The Journal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JEWCL), N0. 56, pp.139-140, Summer 2021.
  8. Rene Girard, J. S. Kim and M. H. Park (trans.), Violence and the Sacred, Minumsa Publishing Co., p.71, 1997.
  9. Rene Girard, J. S. Kim and M. H. Park (trans.), Violence and the Sacred, Minumsa Publishing Co., pp.121-122., 1997.
  10. Rene Girard, J. S. Kim and M. H. Park (trans.), Violence and the Sacred, Minumsa Publishing Co., pp.472-476,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