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toration of the Chimi Excavated from the Busosan Temple Site in Buyeo and Study of Its Production Techniques

부여 부소산사지 출토 치미의 재 복원을 통한 제작기법

  • Hwang, Hyuns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Na, Ahyou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황현성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나아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22.03.10
  • Accepted : 2022.04.22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A chimi(a roof ridge decoration) excavated from the Busosan Temple Site in Buyeo was restored in 1978 at the Buyeo Museum. The gypsum restoration material had deteriorated over time and part of it was seriously damaged and unable to bear the weight of the chimi. The chimi features traces of emergency treatment revealing that the inside of the body and some portions of the tail were reinforced several times using epoxy resin. A condition survey performed in preparation for its transfer for an exhibition found the lower body and wings of the chimi to be highly vulnerable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chimi needed further restoration. The dismantling of the chimi for restoration revealed several elements that provide clues to the production techniques applied by its makers, so they were subjected to inspection. This study explores the production techniques used in the chimi from the Busosan Temple Site that were revealed during the process of dismantling it for restoration. The chimi was inspected using 3D scanning and its rigid vertical shape was restored to a natural form based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identified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The existing restoration material was replaced to improve durability. 3D printed elements were produced based on 3D modelling and were joined to the original chimi to correct its shape and fill in the missing parts, restoring the chimi to its original appearance.

부여 부소산사지 출토 치미는 지난 1978년 부여박물관에서 복원하였지만, 오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원재료인 석고가 열화되면서 치미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부분적으로 심하게 파손되어 있었다. 이를 보강하기 위해 응급으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몸통 내부와 일부 꼬리 부분을 여러 차례 보강한 흔적이 있었다. 전시 기간에 맞춰 치미를 이동하기 위해 상태 점검을 하던 중 치미의 하부 몸통 및 날개 부분의 안정성이 매우 취약하다고 판단되어 다시 복원하기로 하였다. 재 복원하기 위해 치미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당시 도공의 제작 방법을 유추해볼 수 있는 여러 제작흔적이 남아 있어 치미의 제작 방법을 연구할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판단되어 조사하였다. 본 논문은 재 복원을 위해 해체하는 과정에서 밝혀진 부소산사지 치미의 제작기법을 정리하였다. 3차원 기술을 이용해 치미를 스캔한 후 해체 과정에서 살펴본 치미의 제작기법을 바탕으로 수직적이고 경직된 형태를 자연스러운 형태로 수정하고 복원하여 이전 재료를 교체함으로써 복원제의 내구성을 강화하였다. 모델링한 출력물을 본래 편과 접합하고 소실된 형태를 새롭게 만들어 완형으로 재 복원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부소산성 발굴조사보고서, p37-41, 국립문화재연구소, 민성문화사, 서울, (1996).
  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치미, 하늘의 소리를 듣다, p56-11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디자인공방, 부여, (2018).
  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치미, 하늘의 소리를 듣다, 한국 고대 치미의 변천과정, p13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디자인공방, 부여, (2018).
  4. 김현숙, 이해순, 초경석고와 메타카올린 혼합재료의 물성실험 및 적용, 박물관 보존과학 17, p101-116, (2016).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6.17.0101
  5. 나아영, 황현성, 보물 제1925호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내 유리제 사리병의 복원 및 안정성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26, p25-33, (2021).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21.26.0025
  6. 박민정, 황현성, 신연홍, 3차원 스캐닝과 컴퓨터 수치 제어 기술을 이용한 왕흥사지 출토 치미의 복원 연구, 보존과학회지 35(3), p220, (2019).
  7. 박소희, 통일신라시대 치미제작법 연구:경주지역 출토품을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과, 석사학위논문, p22-45, (2008).
  8. 신연홍, 황현성, 신명희, 허일권, 금강사지 치미의 형태적 특징 및 제작기법 비교 연구, 박물관 보존과학 20, p39, (2018).
  9. 이승강, 조성연, 허일권, 원주 법천사지 토제 치미의 제작기법과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35(5), p520-521, (2019).
  10. 장성윤, 이찬희, 박대순, 공주 단지리유적 출토 백제 기와의 고고학적 특성, 보존과학회지 22, p20, (2008).
  11. 최효령, 홍성혁, 조영훈, 조남철, 철제 환두부 보존처리 과정의 3차원 디지털기록 및 형상변화 분석, 박물관 보존과학 25, p85-94, (2021).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21.25.0085
  12. 홍밝음, 백제 사비기 사찰 출토 치미의 고찰, 백제문화 59, p19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