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Treatment of Leather Sock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가죽버선의 보존처리

  • Lee, Hyel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Seungwo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혜린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 박승원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22.03.18
  • Accepted : 2022.04.25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a pair of leather socks for use on snowy day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amsan1567) by conducting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ing the socks to their original form for use in research and exhibition. Leather socks are referred to in ancient documents with names combining the word "mal" for socks with a term indicating their material (e.g., pimal, meaning leather socks; nokpimal, meaning deer leather socks; jangpimal, meaning roe deer leather socks, or lipimal, meaning racoon dog leather socks) and are mentioned mostly in connection with Jeju Island. Related documents include the Seungjeongwon ilgi (Daily Record of the Grand Secretariat), Injaeilnok (Diary of Injae Jo Geukseon), and Hamel's Journal and a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Joseon. Extant examples of ancient leather socks display the same form as beoseon (traditional Korean socks) and are made of either leather or a combination of leather and fabric. It is likely that such leather socks were worn on Jeju Island to protect the feet from the cold. A condition survey of the leather socks was first conducted to establish a plan for their conservation treatment. Since the socks were in rather poor condition, it was decided to identify their original form through an investigation of relics and pertinent previous studies. The socks were cleaned in consideration of results of the condition survey, and the missing parts around the necks of the socks were reinforced in a reversible manner using counting stitches with cloth dyed to match the original color. Since the bottoms of the socks had lost much of their original form due to deterioration and disintegration in the leather, supports were made and inserted inside the socks to help retain their shape. Through these process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ks and the techniques used in their production could be analyzed, their condition was stabilized, and their original form was recovered.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설상용(雪上用) 가죽버선(남산1567)에 대한 보존처리를 진행하여 유물의 안정성을 높이고 향후 전시와 연구 활용을 위한 원형회복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죽버선에 대한 기록은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인재일록(忍齋日錄)』, 『하멜표류기』 등의 문헌에 '피말(皮襪)', '녹피말(鹿皮襪)', '장피말(獐皮襪)', '리피말(狸皮襪)'과 같이 재료와 말[襪:버선]이 결합된 형태로 확인되며, 제주도와 연관되어 나타나고 있다. 현전하는 가죽버선은 외형이 버선 모양이고 사용된 재료는 가죽과 면직물이며, 가죽만을 사용한 단일구성, 가죽과 면직물이 결합된 이중구성의 유형이 있다. 이러한 가죽버선은 제주도에서 추위를 막기 위해 신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가죽버선의 보존처리는 먼저 유물에 대한 상태조사를 통해 보존처리 계획을 세웠고, 유물의 상태가 온전하지 못했기 때문에 유물과 관련된 선행연구, 실증자료 조사로 가죽버선의 원형을 파악하고자 했다. 상태조사를 바탕으로 유물의 상태에 맞는 세척을 진행하고, 소실된 버선목 부분은 색 맞춤을 한 직물을 사용하여 가역적인 바느질 방법으로 보강해 주었다. 가죽 부분의 손상과 분상화 진행으로 원형을 잃은 버선바닥 부분은 보강용 틀을 제작해 유물의 형태유지에 도움을 주었다. 해당 과정을 통해 가죽버선의 구성, 제작방법, 특징을 파악하고 가죽버선의 원형 회복과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三國史記)」 卷 第33, 雜志 第2, 색복(色服)-옥사(屋舍), http://db.history.go.kr/, (2022).
  2. 국립중앙도서관, 「훈몽자회(訓蒙字會)」, https://www.nl.go.kr/NL/contents/search.do?srchTarget=total&pageNum=1&pageSize=10&kwd=%E D%9B%88%EB%AA%BD%EC%9E%90%ED%9A%8C#!, (2022).
  3. 김의숙, 濟州島 牧者服 硏究, 탐라문화 11, p251-253, (1991).
  4. 고부자, 濟州道 衣生活의 民俗學的 硏究,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67, (1994).
  5. 안보연, 우리나라 모피와 피혁 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0, (2005).
  6. 고순희, 제주 전통 모피 피혁류 복식 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55-139, (2011).
  7. 박양희, 조선시대 복식에 사용된 가죽과 모피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13-115, (2020).
  8. 박승원, 권희홍, 유혜선, 조경미, 국립춘천박물관 소장 서대(犀帶)의 과학적 보존, 박물관 보존과학 11, (2010).
  9. 황진영,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덕온공주 집안 서대(犀帶)의 보존처리 및 특징, 박물관 보존과학 25, (2021).
  10. 박진호, 박지혜, 황진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갑주(甲冑)의 보존처리와 구조적 특징 : -조선시대 중.후기 갑주를 중심으로, 박물관 보존과학 26, (2021).
  11. 이승리,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동개의 과학적 분석과 보존, 古宮文化 7, (2014).
  12. 장서각기록유산 DB, 「조극선일기」, 「인재일록((忍齋日録)」 제1(苐一) 광해군 6년(1613, 계축) 6월 17일, https://visualjoseon.aks.ac.kr/, (2022).
  13. 이병도[역], 역주 하멜漂流記, p36, 한국학술정보(주), 경기, (2012).
  1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승정원일기 1139책(탈초본 63책) 영조 32년 12월 28일, http://sjw.history.go.kr/id/SJW-F32120280-02800, (2022).
  1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일성록(日省錄)」, 정조 10년(1786) 1월 22일 정묘, 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2022).
  16. 吳文福[편], 영주풍아(瀛州風雅), p90, 봅데강, 제주, (1988).
  17. 박동욱, 한시에 나타난 유배객의 생활 모습-「정헌영해처감록」을 중심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38(3), p387, (2010). https://doi.org/10.15822/SKLLR.2010.38.1.387
  18. 고부자, 濟州 입성[服飾, 衣生活], 제주복식, p133, (주)디자인나눔, 서울, (2019).
  19. 진성기, 濟州民俗의 멋 1, p11, 열화당, 서울, (1975).
  20. 제주대학교박물관, 제주의 복식, p172, 도서출판 각, 제주,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