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은경. (2016).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광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현미, & 송주은. (2014).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지, 13(1), 155-174.
- 곽노의, 최중희, 김은미, 소명수, 양영자, 유근종, et al. (2011). 아이-삶-자연: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고양: 자연주의유아교육실천연구회, 공동체.
- 권유선, & 최혜진. (2013).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유아 예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55-78.
- 권혜인. (2019).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감정지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달호, 장은진, & 황진섭. (2016). R과 WinBUGS를 이용한 메타분석. 서울: 자유아카데미.
- 김성미. (2008). 자연친화적인 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숙경. (1988). 외동이와 형제아의 모-자녀관계 및 사회성에 관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숙자. (1982). 어머니의 간섭이 자녀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옥, 이연주, & 이연화. (2019). 숲 체험을 통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8(3), 49-77. doi:10.30761/ecoece.2019.18.3.49
- 김은숙. (2013).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205-229.
- 김지혜, & 이현림. (2006). 숲 체험을 통한 조직캠프 집단상담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7(3), 849-864.
- 김지형. (2020). 메타분석. 서울: 북앤에듀.
- 김진아. (2009). 놀이를 통한 동시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남효창. (2004). 나는 매일 숲으로 출근한다. 서울: 청림출판.
- 남효창. (2021). 숲 체험 교육의 모든 것: 얘들아 숲에서 놀자. 서울: 추수밭.
- 류미현. (2016). 도시숲 탐구체험 활동이 유아들의 탐구능력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목민숙. (2016). 숲 체험 교육이 유아의 다중지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용린 역. (2006). 다중 지능: 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서울: 김영사.
- 문현숙, & 이태연. (2019).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3), 43-63. doi:10.22155/JFECE.26.3.43.63
- 문현숙. (2015).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가영. (2016). 자연물을 이용한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창의성 및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수진. (2001).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조기/특기교육에 관한 실태분석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은예. (2011).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자연친화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은희. (2016).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숲 체험활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민희. (2015).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변화선. (2018). 생명존중을 기초로 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부은순, 오창홍, 정동욱, & 박정환. (2013).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기술학회논문지, 14(10), 4855-4864. doi:10.5762/KAIS.2013.14.10.4855
- 신명숙. (2003).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원섭. (1999). 숲 체험과 환경교육. 숲과 문화, 8(2), 28-30.
- 송제훈 역. (2014). 유년기와 사회(Childhood and society). 고양: 연암서가.
- 김미숙, 김용학,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et al. 역. (2018). 현대 사회학. 서울: 을유문화사.
- 유근종. (2013). 숲유치원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정서표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성모. (2017). 국내 메타분석 연구에서의 효과크기 계산의 정확도 비교. Journal of the Koera Data Analysis Society, 19(3), 1233-1246. doi:10.37727/jkdas.2017.19.3.1233
- 윤순임. (2018). 숲 체험을 통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연, 이지현, & 황성동. (2018). 자연친화교육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3(6), 329-350. doi:10.20437/KOAECE23-6-14
- 이영주. (2012). 혼합연령반 유아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숲체험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윤정, & 안지연. (2021).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한 산림 치유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5(4), 91-106. doi:10.34272/forest.2021.25.4.008
- 이정숙. (2021). 자연친화적 숲 체험활동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현정. (2015). 누리과정과 연계한 숲 유치원 교육이 유아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빛나, & 최미숙. (2015). 숲 체험을 통한 놀이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명존중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연구, 7(1), 53-66.
- 임은희. (2012). 협동적 산책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재택, 이소영, & 김은주. (2012).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57-85.
- 임재택. (2007). 생태유아교육개론. 파주: 양서원.
- 임정희, & 조형숙. (2020). 숲 체험 연계 유아명상교육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친사회성 및 자연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회지, 24(1), 235-264. doi:10.32349/ECERR.2020.2.24.1.235
- 장윤희. (2022). 숲 놀이 체험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과학탐구능력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은주. (2018). 밧줄을 이용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현숙, & 김세경. (2015). 사회성 향상 집단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2003-2013) 을 중심으로. 교육치료연구, 7(1), 69-85.
- 조은진. (2003). 사회적 가상놀이의 분석: 집단적 상징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23, 171-193.
- 조영민, 김동준, 연평식, 이효은, 이규하, 박근태, et al. (2016). 유아 숲 체험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중재 변인별 효과크기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105(1), 139-148. doi:10.14578/jkfs.2016.105.1.139
- 조정호. (2020). 언택트 문화가 사회성발달과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팬데믹을 중심으로. 인격교육, 14(3), 139-155. doi:10.18015/edumca.14.3.202008.139
- 진봉희. (2013). 자연친화적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금숙, & 최인화. (2013). 숲 체험활동이 어린이집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7(1), 25-46.
- 최민아. (2012).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순남. (2013). 숲에서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자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운선. (2019).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은희. (2022). 코로나19 전후 영유아 발달격차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정애, & 서현아. (2010).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 유아교육학회, 9(1), 71-94.
-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20). 의료기술평가방법론 체계적 문헌고찰.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한경애. (2017). 숲체험을 중심으로 한 생태 유아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성동. (2022). R을 이용한 메타분석. 서울: 학지사.
- 허연숙. (2017).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ecker, B. J. (2000). Multivariate meta-analysis. In H. E. A. Tinsley & S. Brown (Eds.), Handbook of applied and multivariate statistics and mathematical modeling (pp. 499-525). California: Academic Press.
- Biddle, B. J., & Andreson, D. S. (1986). Theory, methods, knowledge and research on teaching. In M. C. 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pp. 230-254). New York: Macmillan.
- Bedell, J. R., & Lennox, S. S. (1997). Handbook for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training: A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New York: John Wiley & Sons.
- Blanchet-Cohen, N., & Eliot, E. (2011). Young children and educators engagement and learning outdoors: A basis for rights-based programming.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5), 757-77. doi:10.1080/10409289.2011.596460
- Borenstein, M., Hedges, L. V., Higins, J. P., & Rothstein, H. R. (2021). Introduction to meta analysis. Singapore: John Wiley & Sons.
- Campbell Collaboration. (2010). Introduction to systematic reviews. C2 Training Workshop August 2010.
- Card, N. A. (2016). Applied meta-analysis for social science research. New York: Guilford Press.
- Cheung, M. (2009). Meta-Analysis: A Brief Introduction. Singapor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LEA.
- Cooper, H., Hedges, L., & Valentine, J. (2019).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 Coventry, P. A., Brown, J. V. E., Pervin, J., Brabyn, S., Pateman, R., Breedvelt, J., et al. (2021). Nature-based outdoor activities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SM-Population Health, 16, 100934. doi:10.1016/j.ssmph.2021.100934
- Duval, S., & Tweedie, R. (2000a).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5, 89-98. doi:10.1080/01621459.2000.10473905
- Duval, S., & Tweedie, R. (2000b).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 plot 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63. doi:10.1111/j.0006-341X.2000.00455.x
- Eisenberg, N. (1982).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 Erikson, E. H. (1963). Youth: Change and challenge. New York: Basic Books.
- Fathirezaie, Z., Abbaspour, K., Badicu, G., Sani, S. H. Z., & Nobari, H. (2021).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texts on motor proficiency and social maturity of children. An ecological perspective. Children, 8(2), 157. doi:10.3390/children8020157
- Fiskum, T. A., & Jacobsen, K. (2012). Outdoor education gives fewer demands for action regulation and an increased variability of affordances. Journal of Adventure Education and Outdoor Learning, 13(1), 76-99. doi:10.1080/14729679.2012.702532
- Hedges, L. V., & Olkin, I.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 analysis. London: Academic Press.
- Higgins, J., & Green, S.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New York: Wiley.
- Jiao, S., Ji, G., & Jing, Q. (1986). Comparative study of behavioral qualities of only children and sigli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7(2), 357-361. https://doi.org/10.2307/1130591
- Kaplan, S., & Talbot, J. (1983). Psychological benefits of a wildness experiences. In Altman et al. (Eds.),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New York: Plenum.
- Kim, S. K. (1989). A comparative study on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with sibling children.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10(1), 43-63.
- Knight, S. (2009). Forest schools and outdoor learning in the early years.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 Lim, J. T. (2005). Ecological infant education. Seoul: Yangseowon.
- Lipsey, M. W., & Wilson, D. B. (1993). The efficacy of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behavioral treatment. American Psychologist, 48(12), 1181-1209. https://doi.org/10.1037/0003-066X.48.12.1181
- Littell, J. H., Corcoran, J., & Pillai, V. (2008).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Netz, Y., Wu, M. J., Becker, B. J., & Tenenbaum, G. (2005).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vanced age: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Psychology and Aging, 20(2), 272-284. doi:10.1037/0882-7974.20.2.272
- Olds, A. R. (1979). Designing developmentally optimal classroom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S. J. Meisels (Ed.), Special education and development: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Maryland: University Park.
- O'Malley, J. M. (1977). Research perspective or social competence. Merrill-Palmer Quarterly, 23(1), 29-44.
- Page, M. J., McKenzie, J. E., Bossuyt, P. M., Boutron, I., Hoffmann, T. C., Mulrow, C. D., et al. (2021). The PRISMA 2020 statement: An updated guideline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PLOS Medicine, 372(n71), 1-15. doi:10.1186/s13643-021-01626-4
- Piaget, J. (1948).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New York: Free Press.
- Piaget, J. (1951).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London: Heinemann.
- Piaget, J. (1954). 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chil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Piaget, J., & Inhelder, B. (1956).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Boston, MA: Routledge & Kegan Paul.
- Schwinger, M., Wirthwein, L., Lemmer, G., & Steinmayr, R. (2014). Academic self-handicapping and achievement: A meta-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6(3), 744-761. doi:10.1037/a0035832
- Shin, I. S. (2009). Same author and same data dependence in meta-analysis. Ph.D dissertation, Tallahassee, Fl: Florida State University.
- Smith, M., & Glass, G. (1977), Meta-analysis of psychotherapy outcome studies. American Psychologist, 32(9), 752-760. https://doi.org/10.1037/0003-066X.32.9.752
- Son, M. J. (1999). 1st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Korean Clinical Psychology Association, 2, 1-54.
- Song, J. H. (2004). A meta-analysis on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for the mentally disabled. Ph.D Dissertation, Gwangju University, Korea.
- Wolf, F. M. (1986). Meta-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Beverly Hill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