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eta-Analysis on Effects of Infant's Sociality Development in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Chan-Woo Kim (Department of Community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Duk-Byeong Park (Department of Community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찬우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지역사회개발학과) ;
  • 박덕병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지역사회개발학과 )
  • Received : 2022.11.05
  • Accepted : 2022.12.17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ant's social development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meta-analysis. The final nine studies(total of 16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9 in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as a method of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on overall effect size estimation, chi-square test, significance analysis, publication bias analysis, and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program. The overall effect size of 9 studies was 1.59,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As a result of subgroup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sociality, autonomy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t 1.47, the adjusted effect size of cooperation was 1.34, the effect size adjusted for peer interaction was 1.29, and the adjusted effect size for perspective-taking ability was 0.97. All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 meta-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tion period(4, 5~6, 7~8weeks), the number of sessions(6~10, 11~15, 16~20), the frequency per week(1, 2, 5), and the participation time(40, 60, 90, 120, 150mi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the participation period was 4 weeks, the number of sessions was 16 to 20, the frequency was 2 times per week, and the participation time was 40 minutes. This results can be usefully utilized by policy makers and forest commentators related to the vitalization of forest education through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Keywords

References

  1. 강은경. (2016).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광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현미, & 송주은. (2014). 유아교육기관 숲 체험 활동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비교.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지, 13(1), 155-174. 
  3. 곽노의, 최중희, 김은미, 소명수, 양영자, 유근종, et al. (2011). 아이-삶-자연: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 고양: 자연주의유아교육실천연구회, 공동체. 
  4. 권유선, & 최혜진. (2013).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유아 예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55-78. 
  5. 권혜인. (2019).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감정지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달호, 장은진, & 황진섭. (2016). R과 WinBUGS를 이용한 메타분석. 서울: 자유아카데미. 
  7. 김성미. (2008). 자연친화적인 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숙경. (1988). 외동이와 형제아의 모-자녀관계 및 사회성에 관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숙자. (1982). 어머니의 간섭이 자녀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옥, 이연주, & 이연화. (2019). 숲 체험을 통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8(3), 49-77. doi:10.30761/ecoece.2019.18.3.49 
  11. 김은숙. (2013).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205-229. 
  12. 김지혜, & 이현림. (2006). 숲 체험을 통한 조직캠프 집단상담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7(3), 849-864. 
  13. 김지형. (2020). 메타분석. 서울: 북앤에듀. 
  14. 김진아. (2009). 놀이를 통한 동시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남효창. (2004). 나는 매일 숲으로 출근한다. 서울: 청림출판. 
  16. 남효창. (2021). 숲 체험 교육의 모든 것: 얘들아 숲에서 놀자. 서울: 추수밭. 
  17. 류미현. (2016). 도시숲 탐구체험 활동이 유아들의 탐구능력과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목민숙. (2016). 숲 체험 교육이 유아의 다중지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문용린 역. (2006). 다중 지능: 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서울: 김영사. 
  20. 문현숙, & 이태연. (2019).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3), 43-63. doi:10.22155/JFECE.26.3.43.63 
  21. 문현숙. (2015).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가영. (2016). 자연물을 이용한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창의성 및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수진. (2001).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조기/특기교육에 관한 실태분석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은예. (2011).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자연친화력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은희. (2016).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숲 체험활동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배민희. (2015).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변화선. (2018). 생명존중을 기초로 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부은순, 오창홍, 정동욱, & 박정환. (2013).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기술학회논문지, 14(10), 4855-4864. doi:10.5762/KAIS.2013.14.10.4855 
  29. 신명숙. (2003).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신원섭. (1999). 숲 체험과 환경교육. 숲과 문화, 8(2), 28-30. 
  31. 송제훈 역. (2014). 유년기와 사회(Childhood and society). 고양: 연암서가. 
  32. 김미숙, 김용학,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et al. 역. (2018). 현대 사회학. 서울: 을유문화사. 
  33. 유근종. (2013). 숲유치원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정서표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유성모. (2017). 국내 메타분석 연구에서의 효과크기 계산의 정확도 비교. Journal of the Koera Data Analysis Society, 19(3), 1233-1246. doi:10.37727/jkdas.2017.19.3.1233 
  35. 윤순임. (2018). 숲 체험을 통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경연, 이지현, & 황성동. (2018). 자연친화교육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3(6), 329-350. doi:10.20437/KOAECE23-6-14 
  37. 이영주. (2012). 혼합연령반 유아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숲체험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윤정, & 안지연. (2021).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한 산림 치유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5(4), 91-106. doi:10.34272/forest.2021.25.4.008 
  39. 이정숙. (2021). 자연친화적 숲 체험활동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현정. (2015). 누리과정과 연계한 숲 유치원 교육이 유아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빛나, & 최미숙. (2015). 숲 체험을 통한 놀이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생명존중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연구, 7(1), 53-66. 
  42. 임은희. (2012). 협동적 산책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임재택, 이소영, & 김은주. (2012). 숲유치원 운영실태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1(2), 57-85. 
  44. 임재택. (2007). 생태유아교육개론. 파주: 양서원. 
  45. 임정희, & 조형숙. (2020). 숲 체험 연계 유아명상교육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친사회성 및 자연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회지, 24(1), 235-264. doi:10.32349/ECERR.2020.2.24.1.235 
  46. 장윤희. (2022). 숲 놀이 체험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과학탐구능력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정은주. (2018). 밧줄을 이용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정현숙, & 김세경. (2015). 사회성 향상 집단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2003-2013) 을 중심으로. 교육치료연구, 7(1), 69-85. 
  49. 조은진. (2003). 사회적 가상놀이의 분석: 집단적 상징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23, 171-193. 
  50. 조영민, 김동준, 연평식, 이효은, 이규하, 박근태, et al. (2016). 유아 숲 체험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중재 변인별 효과크기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105(1), 139-148. doi:10.14578/jkfs.2016.105.1.139 
  51. 조정호. (2020). 언택트 문화가 사회성발달과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팬데믹을 중심으로. 인격교육, 14(3), 139-155. doi:10.18015/edumca.14.3.202008.139 
  52. 진봉희. (2013). 자연친화적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최금숙, & 최인화. (2013). 숲 체험활동이 어린이집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7(1), 25-46. 
  54. 최민아. (2012).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최순남. (2013). 숲에서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자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최운선. (2019).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최은희. (2022). 코로나19 전후 영유아 발달격차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최정애, & 서현아. (2010).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 유아교육학회, 9(1), 71-94. 
  59.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60.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20). 의료기술평가방법론 체계적 문헌고찰.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61. 한경애. (2017). 숲체험을 중심으로 한 생태 유아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황성동. (2022). R을 이용한 메타분석. 서울: 학지사. 
  63. 허연숙. (2017).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Becker, B. J. (2000). Multivariate meta-analysis. In H. E. A. Tinsley & S. Brown (Eds.), Handbook of applied and multivariate statistics and mathematical modeling (pp. 499-525). California: Academic Press. 
  65. Biddle, B. J., & Andreson, D. S. (1986). Theory, methods, knowledge and research on teaching. In M. C. 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pp. 230-254). New York: Macmillan. 
  66. Bedell, J. R., & Lennox, S. S. (1997). Handbook for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training: A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New York: John Wiley & Sons. 
  67. Blanchet-Cohen, N., & Eliot, E. (2011). Young children and educators engagement and learning outdoors: A basis for rights-based programming.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5), 757-77. doi:10.1080/10409289.2011.596460 
  68. Borenstein, M., Hedges, L. V., Higins, J. P., & Rothstein, H. R. (2021). Introduction to meta analysis. Singapore: John Wiley & Sons. 
  69. Campbell Collaboration. (2010). Introduction to systematic reviews. C2 Training Workshop August 2010. 
  70. Card, N. A. (2016). Applied meta-analysis for social science research. New York: Guilford Press. 
  71. Cheung, M. (2009). Meta-Analysis: A Brief Introduction. Singapor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72.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LEA. 
  73. Cooper, H., Hedges, L., & Valentine, J. (2019).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74. Coventry, P. A., Brown, J. V. E., Pervin, J., Brabyn, S., Pateman, R., Breedvelt, J., et al. (2021). Nature-based outdoor activities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SM-Population Health, 16, 100934. doi:10.1016/j.ssmph.2021.100934 
  75. Duval, S., & Tweedie, R. (2000a).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5, 89-98. doi:10.1080/01621459.2000.10473905 
  76. Duval, S., & Tweedie, R. (2000b).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 plot 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63. doi:10.1111/j.0006-341X.2000.00455.x 
  77. Eisenberg, N. (1982).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78. Erikson, E. H. (1963). Youth: Change and challenge. New York: Basic Books. 
  79. Fathirezaie, Z., Abbaspour, K., Badicu, G., Sani, S. H. Z., & Nobari, H. (2021).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ntexts on motor proficiency and social maturity of children. An ecological perspective. Children, 8(2), 157. doi:10.3390/children8020157 
  80. Fiskum, T. A., & Jacobsen, K. (2012). Outdoor education gives fewer demands for action regulation and an increased variability of affordances. Journal of Adventure Education and Outdoor Learning, 13(1), 76-99. doi:10.1080/14729679.2012.702532 
  81. Hedges, L. V., & Olkin, I.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 analysis. London: Academic Press. 
  82. Higgins, J., & Green, S.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New York: Wiley. 
  83. Jiao, S., Ji, G., & Jing, Q. (1986). Comparative study of behavioral qualities of only children and sigli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7(2), 357-361.  https://doi.org/10.2307/1130591
  84. Kaplan, S., & Talbot, J. (1983). Psychological benefits of a wildness experiences. In Altman et al. (Eds.),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New York: Plenum. 
  85. Kim, S. K. (1989). A comparative study on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between the only children and with sibling children.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10(1), 43-63. 
  86. Knight, S. (2009). Forest schools and outdoor learning in the early years.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87. Lim, J. T. (2005). Ecological infant education. Seoul: Yangseowon. 
  88. Lipsey, M. W., & Wilson, D. B. (1993). The efficacy of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behavioral treatment. American Psychologist, 48(12), 1181-1209.  https://doi.org/10.1037/0003-066X.48.12.1181
  89. Littell, J. H., Corcoran, J., & Pillai, V. (2008).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90. Netz, Y., Wu, M. J., Becker, B. J., & Tenenbaum, G. (2005).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vanced age: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Psychology and Aging, 20(2), 272-284. doi:10.1037/0882-7974.20.2.272 
  91. Olds, A. R. (1979). Designing developmentally optimal classroom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S. J. Meisels (Ed.), Special education and development: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Maryland: University Park. 
  92. O'Malley, J. M. (1977). Research perspective or social competence. Merrill-Palmer Quarterly, 23(1), 29-44. 
  93. Page, M. J., McKenzie, J. E., Bossuyt, P. M., Boutron, I., Hoffmann, T. C., Mulrow, C. D., et al. (2021). The PRISMA 2020 statement: An updated guideline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PLOS Medicine, 372(n71), 1-15. doi:10.1186/s13643-021-01626-4 
  94. Piaget, J. (1948).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New York: Free Press. 
  95. Piaget, J. (1951).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London: Heinemann. 
  96. Piaget, J. (1954). 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chil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97. Piaget, J., & Inhelder, B. (1956).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Boston, MA: Routledge & Kegan Paul. 
  98. Schwinger, M., Wirthwein, L., Lemmer, G., & Steinmayr, R. (2014). Academic self-handicapping and achievement: A meta-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6(3), 744-761. doi:10.1037/a0035832 
  99. Shin, I. S. (2009). Same author and same data dependence in meta-analysis. Ph.D dissertation, Tallahassee, Fl: Florida State University. 
  100. Smith, M., & Glass, G. (1977), Meta-analysis of psychotherapy outcome studies. American Psychologist, 32(9), 752-760.  https://doi.org/10.1037/0003-066X.32.9.752
  101. Son, M. J. (1999). 1st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Korean Clinical Psychology Association, 2, 1-54. 
  102. Song, J. H. (2004). A meta-analysis on effects of social skills training for the mentally disabled. Ph.D Dissertation, Gwangju University, Korea. 
  103. Wolf, F. M. (1986). Meta-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Beverly Hill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