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tilization of Military Idle Land in the Border Region and Urban Regeneration: A Case Study of Cheorwon-gun, Gangwon-do

접경지역의 군 유휴지 활용과 도시재생: 강원도 철원군을 사례로

  • Nayoung Lee (DMZ HELP Cent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나영 (강원대학교 DMZ HELP센터 )
  • Received : 2022.12.10
  • Accepted : 2022.12.31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regional problems caused by the relocation and dismantlement of military units by the government's Defense Reform 2.0 and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regional development by discussing the use of military idle land in the border region and seeking how to revitalize the region through urban regeneration. In order to utilize and manage the military idle land, first, the mutually beneficial development of the military unit and the local community must be achiev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between private, government, and military sectors. Second, review and improvement of laws and systems related to border regions and military idle lands should be accompanied. Third, the various ideas and policies that reflect the uniqueness of the border region must be established. Finally,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idle land by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the border reg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정부의 국방개혁 2.0에 따른 군부대 이전 및 해체로 인한 지역의 문제를 파악하고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접경지역의 군 유휴지 활용에 대한 논의와 도시재생 등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향후 지역발전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군 유휴지의 활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첫째, 민·관·군의 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해 군부대와 지역사회의 상생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접경지역과 군 유휴지 관련 법·제도의 검토 및 개선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접경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접경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지속가능한 유휴지의 효율적 활용과 관리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5A01051008).

References

  1. 강소영.우정범, 2017, "군사시설 이전 관련 갈등의 특징과 관리방안," 주간국방논단 1671, pp.1-8.
  2. 강원연구원, 2009, 접경지역 10개 시·군 공동발전방안 연구: 군사시설보호구역 피해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pp.1-300.
  3. 국방시설본부 국유재산과 내부자료, 2021.
  4. 김동한.서태성.이미영.한우석.임지영.김현아, 2015, 국토 유휴공간 현황과 잠재력 분석 연구, 국토연구원 15-29, pp.1-169.
  5. 김범수, 2015, 접경지역의 민군관계, 실태와 개선방향, 강원연구원 정책메모 511, pp.1-11.
  6. 김범수.김승희, 2012, 강원도 접경지역 유휴 군용지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철원군을 중심으로, 강원연구원 연구보고 12-50, pp.1-58.
  7. 김현주.이상호, 2011,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6), pp.103-112.
  8. 노훈, 2012, "'국방개혁 기본계획 2012-2030' 진단과 향후 국방개혁 전략," 전략연구 56, pp.39-84.
  9. 목상현, 2017, 군유휴시설의 문화체험시설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미연, 2022, 군 유휴시설을 활용한 문화재생공간 특성 연구: 캠프 그리브스, 평화문화진지, 탄약정비공장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소영.이왕건.정유선, 2017,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국·공유지 활용 활성화 방안,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Brief 615, pp.1-8.
  12.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011, 2, 접경지역지원특별법 제2조, 시행령 제2조, https://www.law.go.kr/법령/접경지역지원특별법/(10653,20110519), https://www.law.go.kr/법령/접경지역지원특별법시행령/(23037,20110722) (최종열람일: 2022년 12월 5일).
  13. 서수진, 2019, 유휴 산업시설에서 탄생한 전시 공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현우, 2020, 폐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조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 문화비축기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준걸, 2013, "공공주체에 의한 국내 유휴공간의 공공적 재생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6), pp.3005-3012. https://doi.org/10.5762/KAIS.2013.14.6.3005
  16. 윤지원, 2018, "고강도 국방개혁 2.0, 선진 민주강군 육성과 과제," 국방과 기술 475, pp.66-75.
  17. 이경호, 2019, 국방개혁 2.0 시행 전.후 직업군인 전직지원제도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정부정책 연계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나영, 2021,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 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 요인 분석: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4(4), pp.425-445. https://doi.org/10.23841/EGSK.2021.24.4.425
  19. 이남석, 2014, "프랑스군의 유휴지 매각 정책 동향과 시사점," 주간국방논단 1534, pp.1-8.
  20. 이봉진, 2018, 유휴 군사시설 활성화 방안 연구,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은경, 2019, "문화예술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본 문화예술 플랫폼으로서의 DMZ 연구: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와 DMZ 피스플랫폼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9, pp.157-180.
  22. 임유경.임현성, 2012, 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URI기본-2012-3, pp.1-322.
  23. 장태문.김경남, 2018, "군 유휴공간 태양광발전 경제성연구," 한국태양광발전학회지 4(2), pp.62-70.
  24. 접경지역 시장.군수 협의회, 2019, 접경지역 경제.사회.문화구조 분석 보고서, pp.1-239.
  25. 조연주, 2011,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방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철원군, 2019a, 철원군 군부대 이전.병력감축에 따른 대응방안 보고서, pp.1-78.
  27. 철원군, 2019b, 철원군 군부대 이전에 따른 군부대 유휴지 활용방안 보고서, pp.1-122.
  28. 철원군청 기획감사실 내부자료, 2021.
  29. 최보경, 2017, "미군기지 유휴공간의 문화재생 사례 연구: 캠프 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46, pp.203-226.
  30. 최보경, 2019, 지역문화재생에서 '크로노토프'의 의미 연구: <캠프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2016-17)>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최순섭.오준걸, 2015, "공공적 유휴공간 재생 계획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3), pp.2201-2211. https://doi.org/10.5762/KAIS.2015.16.3.2201
  32. 최용환.김학성.윤영미.이수형.허태회, 2009, 국방개혁 2020에 따른 군 구조 개편이 경기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연구원 위탁연구 2009-03, pp.1-169.
  33. 추용욱, 2015, 강원도 유휴공간의 재생과 가치 제고, 강원연구원 정책메모 509, pp.1-12.
  34. 통계청, 2022, 주민등록인구현황,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A3&conn_path=I2(최종열람일: 2022년 12월 7일).
  35. 행정안전부, 2017,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변경(안), pp.1-584.
  36. 홍규덕, 2016, "국방개혁 추진, 이대로 좋은가?: 논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전략연구 23(1), pp.99-120.
  37. 황우갑, 2006, 반환미군기지의 문화적 재생방안에 관한 연구: 평택시 미군α탄약고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강원도민일보, 2019, "국방개혁 접경지역에 전화위복 되는 계기 만들 것," 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989458, 2019년 9월 28일자.
  39. 강원도민일보, 2021, "철원군 국제스케이트장 유치 추진...결과 주목," 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095076, 2021년 10월 16일자.
  40. 강원일보, 2022, "철원 DMZ산림항공관리소 주변마을 50억 지원," http://www.kwnews.co.kr/page/view/2022091210265407469, 2022년 9월 12일자.
  41. 국방일보, 2019, " '접경지역 상생발전' 民·軍 손잡았다,"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191218/9/BBSMSTR_000000010021/view.do, 2019년 12월 17일자.
  42. 국방일보, 2022, "국방부.강원도, 접경지역 상생발전협의회 개최,"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220622/12/BBSMSTR_000000010021/view.do, 2022년 6월 21일자.
  43. 뉴시스, 2020, "철원군 양지.음지마을, 귀농.귀촌 전원마을 인기,"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00521_0001032351, 2020년 5월 21일자.
  44. 머니투데이, 2019, "20년 후 군입대 남성 15만명...국방력마저 위협하는 인구감소,"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120611233848602, 2019년 12월 10일자.
  45. 산림청, 2022, 군사 안보에서 녹색 안보로, '철원 남북산림협력센터'준공,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05586, 2022년 4월 26일자 보도자료.
  46. 신아일보, 2020, "철원 자등리, 민.군 상생 테마도시로 거듭난다,"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57679, 2020년 12월 22일자.
  47. 연합뉴스, 2021, "철원 고석정 꽃밭, 지역사회에 활력... 경제효과 60억원 창출," https://www.yna.co.kr/view/AKR20211012135600062, 2021년 10월 12일자.
  48. 전국매일신문, 2022, "철원 김화읍 청양리 일원 군 유휴지, 파크골프장 조성,"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0785, 2022년 7월 7일자.
  49. 조선일보, 2019, "軍부대 해체.이전 앞둔 강원 접경지역 주민들 '주민보다 더 많은 군인 사라지면 우리는 끝장',"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2/10/2019121000303.html, 2019년 12월 10일자.
  50. 파이낸셜뉴스, 2021, "철원군, 군 유휴지 환경오염정화 작업 추진...민간부문 활용," https://www.fnnews.com/news/202105101433061679, 2021년 5월 10일자.
  51. 한겨레, 2021, "철원군.의회 '3사단 사령부 이전 재검토를'," https://www.hani.co.kr/arti/area/gangwon/979658.html, 2021년 1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