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olicy-making, Leadership and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for Audiovisual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국내 시청각 기록관리 정책 리더십 및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 최효진 (한국외대 정보.기록학연구소, 새 공공영상문화유산 정책포럼)
  • Received : 2022.03.15
  • Accepted : 2022.04.20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The focus of this paper lies on the fact that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audiovisual archives are still not specialized in both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s. The use of online video platforms including 'YouTube' has became common. Accordingly the production and collection of high-definition and high-capacity audiovisual archiv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However, it also emphasizes that there are no references or principles in the current Public Records Act and its enforcement rules, public standards, and guidelines. This paper ultimately examines the provisions that are related to audiovisual archives of the current Public Records Act, which needed to be revised and enacted due to the lack of an audiovisual archives management manual of national institutions, public broadcasters, and organizations can refer to.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what kind of systems and guidelines are used in audiovisual archives management.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standardization of audiovisual records of the National Archives. It also analyses the systems and the guidelines methodically for efficient audiovisual record management i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sector. It suggests the new direction of relevant public standards and guidelines through this research. Futhermore, it measures to activate the audiovisual management policy-making functions of the National Archive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Public Audiovisual Archives as an organization was also reviewed in this paper. The Public Audiovisual Archives will collect Public Audio and Videos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through the legal deposit system. And it will be operated by the management and the utilization system so that it can be used for public as a collective memory. Finally, it will takes a charge of a professional role in audiovisual record management field, such as technology standardization to safeguard and protect the copyrights through this process.

본 논문에서는 '유튜브' 등을 비롯한 온라인동영상 플랫폼 활용이 일반화되고 고화질·고용량 시청각 기록의 생산·수집량이 급증하는 상황에서도 공공·민간 부문 모두에서 시청각 기록의 '관리'와 '활용'은 여전히 전문화되고 있지 않은 상황에 주목하였다. 공공기관이나 방송사, 일반 기업이나 단체 등 시청각 기록을 생산하는 주체들이 기본적으로 참고할만한 '시청각 기록관리 매뉴얼' 등이 부재할 뿐만 아니라 현행 『공공기록물법』 및 동법 시행령·시행규칙, 공공표준, 지침 및 매뉴얼 등 공공기록관리에서조차 시청각 기록관리의 원칙을 제시하지 못한 가운데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현행 『공공기록물법』의 시청각 기록 관련 조항을 분석하고 제·개정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국가기록원의 시청각 기록 표준화 현황을 검토하고 공공기록관리 부문에서 효율적인 시청각 기록관리를 위해 제도적으로 마련한 제도와 지침을 분석하여, 기록관리 현장에서 해당 제도 및 지침들이 시청각 기록을 관리하는 데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행 국내 법·제도 개선의 필요성, 관련 공공표준 및 지침 내용 개정 방향 등을 제시하였으며, '국가기록원' 등의 시청각 기록관리 정책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안과 시청각 기록관리 및 관련 정책을 담당한 전문기구인 '공공영상'아카이브 신설 필요성 또한 검토하였다. '공공영상'아카이브는 영상납본제 등을 통한 체계적이고 망라적으로 '공공영상'을 수집하고 이를 사회적 기억으로서 공적 활용될 수 있도록 관리·활용 체계를 운영한다. 이 과정에서 '공공영상' 보호(Safeguarding)와 관련한 기술 표준화, 저작권 및 초상권 권리보호 등 시청각 기록관리와 관련한 전문적 역할을 수행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2021). 2021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2. 국가기록원 (2011a). 디지털화 영상기록물 자동복원기술 연구 개발.
  3. 국가기록원 (2011b). 디지털화 영상기록물 자동복원 병렬처리 구조설계 및 시스템 개발.
  4. 국가기록원 (2012). 훼손된 디지털화 음성기록물 자동복원기술 연구개발.
  5. 국가기록원 (2013). 디지털시청각물 보존포맷 설계 및 변환기술 연구.
  6. 국가기록원 (2014). 시청각기록물 자동 품질검사시스템 개발.
  7. 국가기록원 (2015). 시청각물 품질오류 검출 및 원인추적 분산처리 기술 연구.
  8. 국가기록원 (2016). 클라우드기반 시청각자료 통합 운영 및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연구.
  9. 국가기록원 (2017a). 디지털포렌식 기반 대용량 시청각기록 포맷변환절차 및 장기보존포맷 연구.
  10. 국가기록원 (2017b). 시청각기록 음성신호의 텍스트(문자) 변환 연구.
  11. 국가기록원 (2019. 9. 20.). (국가기록원)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기획단 5차 간담회 결과 보고.
  12. 국가기록원 (2020). 2019 국가기록백서.
  13. 국가기록원 (2020. 1.15.). 신뢰받는 기록관리를 위한 국가기록관리 중장기 발전계획(안) 2020-2024.
  14. 국가기록원 (2021). 2020 국가기록백서.
  15. 국가기록원 (2021. 6. 30.). 2021년도 국가기록원 주요통계연보.
  16. 권정아, 이제혁, 진숭식 (2011). 시청각기록물의 이관 및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121-142.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2.121
  17. 김근욱 (2021. 5. 9.). [유튜피아] 동영상 골리앗?...이젠 '검색'도 유튜브 시대. 뉴스1, 출처:https://www.news1.kr/articles/?4235560
  18. 남영준.문정현 (2010). 시청각기록물의 기술요소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67-8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0.21.4.067
  19. 박지태 (2018). 2017년도 기록물 생산현황 분석: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7, 113-136. https://doi.org/10.20923/kjas.2018.57.113
  20. 방송통신위원회.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 2021 방송산업 실태조사.
  21. 백욱인 (2021). 글로벌 혼종화 시대와 지적재산권.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편. 코로나19 이후의 한류. 서울: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2. 심보미.장윤금 (2018). 영상기록물 기술의 개선 방향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9(1), 325-34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1.325
  23. 에릭 레이먼드 저, 정직한, 최준호, 송창훈, 이기동, 윤종민 역 (2015). 성당과시장: 우연한 혁명으로 일어난 리눅스와 오픈소스에 대한 생각. 서울: 한빛 미디어.
  24. 이영주, 박은희, 김경환 (2006.9.). 방송통신융합시대 지상파 공영방송 프로그램의 공익성 확보 방안. 한국언론정보학회 세미나: 방송통신융합시대 MBC의 정체성 확립과 발전방안. 75-101.
  25. 최효진 (2018). 국내 공공영상아카이브 관리 체계 마련을 위한 과제: 프랑스 INA FRAME 영상아카이브 국제연수 참가를 통해 살펴본 해외 동향 분석. 기록학연구, 58, 95-145. https://doi.org/10.20923/kjas.2018.58.095
  26. 최효진 (2021). '공공영상문화유산'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방송.영상컬렉션 수집 및 활용 방향. 박사학위논문. 한국외대 정보.기록학과.
  27.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019). 방송.영상아카이브 필요성 및 운영방안 연구,
  28.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22). 미디어 공공성.다양성 확대를 위한 방송통신 콘텐츠의 공적 활용 방안: 디지털 방송통신 콘텐츠 아카이브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29.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2021 언론수용자조사.
  30. 한스 붐스 (1987). 사회와 기록유산의 형성: 사초평가를 둘러싼 쟁점 (Hans Booms (1987). Society and formation of documentary heritage; issues in the appraisal of archival sources. Archivari, 24, 69-107). In 오항녕 역 (2005). 기록학의 평가론: 사초를 어떻게 남길 것인가. 서울: 진리탐구출판사, 167-221.
  31. 홍덕용 (2012). 시청각기록물의 평가요소 중요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79-126. https://doi.org/10.20923/kjas.2012.32.079
  32. Edmonson, Ray (1997). "Nature of the AV Media" In Helen P. Harrison 편 (1997). Audiovisual Archives : A Practical Reader. Paris:General Information Programme and UNISIST,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10-17.
  33. Edmonson, Ray (1998). Une philosophie de l'archivistique audiovisuelle, Programme general d'information prepare par les membres de l'AVAPIN(Audiovisual archiving philosophy interest network). Paris: UNESCO.
  34. Edmonson, Ray (2016). Audiovisual Archiving - Philosophy and Principles(Third Edition). Bangkok: UNESCO Bangkok.
  35. FIAF Technical Commission (2019). Survey on Long-term Digital Storage and Preservation.
  36. Kofler, Birgit (1997). Legal Issues facing audiovisual archives In Helen P. Harrison 편 (1997). Audiovisual Archives : A Practical Reader. Paris:General Information Programme and UNISIST.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43-54.
  37. Sande, Steve (2014. 1. 21.). Backblaze stats show most/least reliable hard drives: Hitachi leads the pack with lowest annual failure rate. https://www.engadget.com/2014-01-21-backblaze-stats-show-most-least-reliable-hard-drives-hitachi-le.html.
  38. Stewart, Selby (2021. 12 .3.). Federal funding for National Film and Sound Archive to save hours of at-risk footage of Australian life. https://www.abc.net.au/news/ 2021-12-03/federal-funding-to-save-historical-records-of-australian-past/100671398.
  39.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6661호.
  40.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2558호.
  4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행정안전부령 제274호.
  42. 기록물관리 표준화 업무 운영규정. 국가기록원 훈령 제168호.
  43. 도서관법. 법률 제17706호.
  44. 문화산업진흥기본법. 법률 제18767호.
  45. 문화예술진흥법. 법률 제18769호.
  46. 문화재보호법. 법률 제18157호.
  47. 민간기록물 수집 및 관리 등에 관한 규정. 국가기록원 훈령 제206호.
  48.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18772호
  49. 방송법. 법률 제18516호.
  50.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법률 제17799호.
  51. 영상진흥기본법. 법률 제8744호.
  52. 영상진흥기본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9677호.
  53. 영상진흥기본법 전부개정법률안. 의안번호 3617, 발의연월일 2020.9.8.
  54. 지역문화진흥법. 법률 제17893호.
  55. 해외기록물 수집업무에 관한 규정. 국가기록원훈령 제207호.
  56. Public Records Act 1958. 영국 1958년 공공기록물법.
  57.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NAK8:2021(v2.2).
  58. 기록매체 요건 및 관리기준. NAK 12:2018 (v3.0).
  59. 특수유형 기록물 관리-제2부:시청각기록물. NAK 22:2009(v2.0).
  60. 기록물 디지털화 기준. NAK 26:2018(v2.0).
  61. 국가기록원 (2009). 영상기록 생산 및 관리지침.
  62. 국가기록원 (2019. 3.). 공통매뉴얼 기록물 관리지침.
  63. 국가기록원 (2020. 12.). 공공기관 기록물 관리지침.
  64. Recommendation for the Safeguarding and Preservation of Moving Images. In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21st session, Belgrade, 23 September to 28 October 1980, v. 1: Resolutions.
  65.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https://www.archives.go.kr/
  66. 미국아키비스트협회 용어사전 Dictionary of ARchives Terminology, https://dictionary.archivists.org/.
  67. 증평기록관 디지털아카이브 '증평, 우리의 기억' VR콘텐츠 https://larchiveum.net/contents/vr/
  68. 우토로마을아카이브 https://utoro.kin.or.kr/
  69. 프랑스 방송통신위원회 Conseil Superieur de l'Audiovisuel https://www.csa.fr/
  70. Seagate Hard disk drive reliability and MTBF / AFR https://www.seagate.com/kr/ko/support/kb/hard-disk-drive-reliability-and-mtbf-afr-174791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