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inuance Use Intention of Kiosk Services: The Mediating Role of Satisfaction

외식업체 키오스크의 지속 이용 의도에 대한 연구: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효정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Received : 2022.01.14
  • Accepted : 2022.02.24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In the food market, kiosks are rapidly expanding. The kiosk improves the in-store consumer experience and economic prosperity of businesses. This research explores the continuance use intention of kiosks via a post-acceptance model with four antecedent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420 senior consumers, aged 50-70, who have experienced kiosk services. This study used SPSS 25.0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Amos 23.0 for confirmatory factor an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d mediate the effect of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erceived usefulness and confirm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kiosks. Second,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continuance use intention. Third,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continuance use intention. Fourth,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irmation and continuance use intention. These findings enhanced the understanding of seniors' attitude and response to kiosk services.

비대면 서비스가 보편화 되면서 키오스크가 외식업 분야에서 중요한 서비스 채널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외식업체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키오스크 이용 경험이 있는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지속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50-70대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20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5.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오스크의 인지된 유용성, 기대 일치가 키오스크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오스크의 인지된 유용성과 만족도가 키오스크에 대한 지속 이용 의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키오스크의 만족도가 인지된 유용성이 키오스크에 대한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키오스크의 만족도가 기대 일치가 키오스크에 대한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키오스크를 수용한 시니어들의 긍정적 반응을 이해하고, 시니어들을 배려한 키오스크 이용 환경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성혜진, "패스트 푸드점 키오스크를 사용한 고객들이 지각한 관계혜택이 신뢰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31권, 제10호, pp.337-354, 2019.
  2. 박지원, 이형룡, "패스트푸드점 고객의 키오스크 사용이 수용의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UTAUT2 모형의 적용 및 친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44권, 제2호, pp.207-228, 2020.
  3. 이옥주, 김하연, 이수범, "키오스크의 관계혜택이 지각된 유용성, 기대일치, 태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8권, 제5호, pp.73-88, 2019.
  4. 김효정, "키오스크 서비스 실패: 시니어들의 부정적인 키오스크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32권, 제4호, pp.135-158, 2021.
  5. 성윤정, 성윤정, 이원우, 서가현, 임진서, 전성원, 양영애, "만 65 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과 키오스크(KIOSK) 사용능력의 상관관계,"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35-142, 2019.
  6. 이현주, "50, 60대 장노년층 소비자의 셀프서비스 테크놀로지 사용행동의 결정요인," 소비문화연구, 제21권, 제4호, pp.1-23, 2018. https://doi.org/10.17053/JCC.2018.21.4.001
  7. Bhattacherjee,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Vol.25, No.3, pp.351-370, 2001. https://doi.org/10.2307/3250921
  8. 배재권, "소셜커머스 소비자의 후기수용 신념이 이용 후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3 대 소셜커머스 서비스를 대상으로," 로고스경영연구, 제14권, 제2호, pp.115-134, 2016.
  9. 이희민, 남궁영, "인스타그램 음식콘텐츠 정보품질과 유용성, 만족도, 지속사용의도 관계에 관한 연구: 후기 수용모델을 적용하여," 호텔경영학연구, 제29권, 제8호, pp.195-212, 2020.
  10. 최원식, "커피전문점의 비대면 서비스 사용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후기수용모델(PAM)을 중심으로,"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제26권, 제12호, pp.114-128, 2020. https://doi.org/10.20878/CSHR.2020.26.12.012
  11. Oliver,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7, No.4, pp.460-469, 1980. https://doi.org/10.2307/3150499
  12. 오정희, 오재우, 조광민, "후기수용모델을 적용한 1인 미디어 유튜브 홈 트레이닝의 지속의도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183-193, 2019. https://doi.org/10.15207/JKCS.2019.10.2.183
  13. 김송이, 박주영, 정철, "확장된 후기수용모형 (PAM)을 적용한 공항 셀프체크인 키오스크 (Kiosk)의 지속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논총, 제32권, 제3호, pp.145-165, 2020.
  14. 최영재, "유튜브 관광정보 특성이 지각된 유용성, 용이성, 즐거움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구조관계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의 적용," 관광레저연구, 제33권, 제7호, pp.85-109, 2021.
  15. 이현주, 이은희, 이기현, "모바일 소셜 커머스의 서비스 품질이 대학생 소비자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문화연구, 제20권, 제2호, pp.235-254, 2017.
  16.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