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한혜란, "한국, OECD 회원국 중 초미세먼지 오염 가장 심각," 연합뉴스, 2020.02.25.
- 통계청, 2018 사회조사, 2019.
- 김혜인, 김영욱, "환경 커뮤니케이션에서 통제 언어 및 메시지 소구 방향의 영향력," 광고연구, 제116호, pp.138-179, 2018.
- 이병관, 윤태웅, "공익광고의 프레이밍 효과에 관한 연구 메타 분석,"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4권, 제2호, pp.33-60, 2012.
- 박진우, 박희랑, 김재영, "환경 관여도 및 환경 메시지 소구유형의 광고효과: 성별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7권, 제5호, pp.215-226, 2006.
- A. J. Rothman and P. Salovey, "Shaping perceptions to motivate healthy behavior: The role of message framing," Psychol. Bull., Vol.121, No.1, pp.3-19, 1997. https://doi.org/10.1037/0033-2909.121.1.3
- H. S. Gurm and D. G. Litaker, "Framing procedural risks to patients: is 99% safe the same as a risk of 1 in 100?," Acad. Med., Vol.75, No.8, pp.840-842, 2000. https://doi.org/10.1097/00001888-200008000-00018
- 김은주, 김연신, "친환경제품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메시지프레이밍 효과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 사회 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4호, pp.117-126, 2018.
- B. E. Meyerowitz and S. Chaiken,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on breast self-examination attitudes, intentions, and behavior," J. Pers. Soc. Psychol, Vol.52, No.3, p.500,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3.500
- 박유식, 경종수, "광고유형과 오디언스 특성이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13권, 제5호, pp.177-200, 2002.
- 김정현, "메시지 프레이밍과 소구 유형, 지각된 위험 및 자기 검색도가 지구 온난화 경고 공익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81호, pp.357-381, 2008.
- 김종흠, "환경오염의 심각성 인식, 가치지향성, 메시지 전달방식이 친환경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14권, 제1호, pp.155-175, 2013.
- F. F. Brunel and M. R. Nelson, "Explaining gendered responses to "help-self" and "help-others" charity ad appeals: The mediating role of world-views," J. Advert., Vol.29, No.3, pp.15-28, 2000. https://doi.org/10.1080/00913367.2000.10673614
- 권중록, "공익광고캠페인 주제와 수용자 비용 및 유익성과의 관계: 인구통계학 변수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1호, pp.5-42, 2005.
- 유선욱, 박계현, 나은영,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3호, pp.27-53, 2009.
- K. Hallahan, ""Seven models of framing: Implications for public relations," J. Public Relat. Res., Vol.11, No.3, pp.205-242, 1999. https://doi.org/10.1207/s1532754xjprr1103_02
- A. Tversky and D. Kahneman,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 choice," Science, Vol.211, No.4, pp.453-458, 1981. https://doi.org/10.1126/science.7455683
- 백혜진, 이혜규,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메시지.수용자.미디어 전략,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3.
- D. Kahneman and A. Tversky,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Vol.47, No.2, pp.263-292, 1979. https://doi.org/10.2307/1914185
- 최진성, 권호인, "효과적인 자살예방 캠페인을 위한 메시지 프레이밍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pp.81-91,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3.081
- 전홍식, 김동욱, "흡연 여부에 따른 담배회사의 메시지 유형별 금연광고가 광고태도, 금연의도 및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21권, 제5호, pp.27-55, 2010.
- 조형오, "금연광고 메시지 유형의 효과분석: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방향의 매개역할," 광고학연구, 제11권, 제1호, pp.133-157, 2000.
- 김성재, 유명길, "메시지 프레이밍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조절초점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8호, pp.177-18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8.177
- D. Maheswaran and J. Meyers-Levy,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and issue involvement," J. Mark. Res., Vol.27, No.3, pp.361-367, 1990. https://doi.org/10.2307/3172593
- N. Yu and F. Shen, "Benefits for me or risks for others: A cross-Cultur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message frames and cultural appeals," Health Commun., Vol.28, No.2, pp.133-145, 2013. https://doi.org/10.1080/10410236.2012.662147
- 김현철, 박현승, "전통문화 공공캠페인 메시지 전략에서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지향성의 역할: 가치지각과 심각성 인식에 대한 영향력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29권, 제6호, pp.49-76, 2018.
- 부경희, "공익광고 메시지의 귀인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메시지 프레이밍 중개요인들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2권, 제4호, pp.7-35, 2001.
- 최현경, 이명천, 김정현, "메시지 프레이밍과 지향성이 공익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통안전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0권, 제2호, pp.34-65, 2008.
- W. A. Kamakura and T. P. Novak, "Value-system segmentation: Exploring the meaning of LOV," J. Consum. Res., Vol.19, No.1, pp.119-132, 1992. https://doi.org/10.1086/209291
- 김선미, 최민철, "사회적 가치지향성과 해석수준에 따른 기부가능성," 경영컨설팅연구, 제21권, 제3호, pp.379-394, 2021.
- J. A. Joireman, T. P. Lasane, J. Bennett, D. Richards, and S. Solaimani, "Integrating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he consideration of future consequences within the extended norm activation model of proenvironmental behaviour," Br. J. Soc. Psychol., Vol.40, No.1, pp.133-155, 2001. https://doi.org/10.1348/014466601164731
- 박병도, "국제환경법상 환경영향평가에 관한 연구," 환경법연구, 제27권, 제2호, pp.159-186, 2005.
- 조향숙, 김시월, "대학생 소비자의 교내 일회용품 사용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1권, 제5호, pp.121-132, 2002.
- S. A. Rains and M. M. Turner, "Psychological reactance and persuasive health communication: A test and extension of the intertwined model," Human Commun. Res., Vol.33, No.2, pp.241-269, 2007.
- 이종민, 류춘렬, 박상희,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에 관한 연구: 개인적 관여도와 상황적 관여도의 역할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3호, pp.282-307, 2007.
- 남인용, "광고주 유형, 메시지 유형, 자기 검색도, 관여도가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1호, pp.116-146, 2001.
- R. P. Bagozzi, "Attitudes, intentions, and behavior: A test of some key hypotheses," J. Pers. Soc. Psychol., Vol.41, No.4, pp.607-627, 1981. https://doi.org/10.1037/0022-3514.41.4.607
- 조형오, 김병희, "금연광고 메시지가 대학생의 흡연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45권, pp.25-50, 1999.
- 이성준,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페이스북 뉴스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188-20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188
-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 D. E. Montano, D. Kasprzyk, K. Glanz, B. K. Rimer, and F. M. Lewi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ssey-Bass, 2002.
- 대학내일 20대연구소, 2021 MZ세대 친환경 실천 및 소비트렌드,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