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학년도 아주대학교 일반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 김철, "대학이념이 역사적 변천과정과 21세기 대학이념에 대한 고찰,"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1권, 제2호, pp.25-46, 2006.
- 한숭희, 이은정,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 고등교육과 평생학습의 화학적 결합," 평생학습사회, 제12권, 제1호, pp.1-31, 2016.
- W. J. Bennett and D. Wilezol, 이순영 역, 대학은 가치가 있는가, 문예출판사, 2014.
- L. Harvey and D. Green, "Defining Quality,"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Vol.18, pp.9-34, 1993. https://doi.org/10.1080/0260293930180102
- 조영하, "21세기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찰-사회적 연대의 관점에서," 교육행정학연구, 제28권, 제1호, pp.1-30, 2010.
- M. Udam and M. Heidmets, "Conflicting Views on Quality: Interpretations of 'A Good University' by Representatives of the State, the Market and Academia," Quality in Higher Education, Vol.19, No.2, pp.210-224, 2013. https://doi.org/10.1080/13538322.2013.774805
- J. Jungblut, M. Vukasovic, and B. Stensaker, "Student Perspectives on Quality in Higher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5, No,2, pp.157-180, 2015. https://doi.org/10.1080/21568235.2014.998693
- L. Harvey, "Understanding Quality," EUA Bologna Handbook: Making Bologna Work, Brussels European University Association, 2006.
- 김상철, 주영달, 방지우, 정양순, 신범철, 윤지희, 김명현, "인증기관 대학평가의 쟁점과 과제," 교육문제연구, 제20권, 제1호, pp.157-201, 2017.
- 이두휴, "한국의 대학평가정책과 평가국가의 특성," 민주주의와 인권, 제19권, 제4호, pp.159-198, 2019.
- 최정윤, 정진철, 이정미,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비교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25-58, 2009.
- 곽은주, 대학교육의 질에 대한 정부의 관점: 정부재정지원사업 평가지표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R. L. Brooks, "Measuring University Quality," Review of Higher Education, Vol.29, No.1, pp.1-21, 2005. https://doi.org/10.1353/rhe.2005.0061
- E. G. Bogue and K. B. Hall, Quality and Accountability in Higher Education, Praeger, 2003.
- A. W. Astin and A. L. Antonio, Assessment for Excellenc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2.
- 서지영, 서화정, 김병주,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쟁점과 과제-평가내용과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39권, 제4호, pp.157-182, 2021.
- J. Groen, Perceptions of Transformation and Quality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of PhD Student Experience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ttawa, 2020.
- 신현석, 변수연, 전재은, "학부교육의 질과 성과의 의미에 대한 성찰과 쟁점," 교육행정학연구, 제34권, 제1호, pp.73-102, 2016.
- S. Lagrosen, R. Seyyed-Hashemi, and M. Leitner, "Examination of the Dimensions of Quality in Higher Education," Quality Assurance in Education, Vol.12, pp.61-69, 2004. https://doi.org/10.1108/09684880410536431
- 김흥규, Q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김순은, "Q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0권, 제4호, pp.1-25, 2010.
- S. R.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 김소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1호, pp.528-542,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1.528
- M. P. ten Klooster, M. Visser, and M. D. T. de Jong, Comparing Two Image Research Instruments: The Q-sort Method versus the Likert Attitude Questionaire, Food Quality and Preference, Vol.19, pp.511-518, 2008. https://doi.org/10.1016/j.foodqual.2008.02.007
- https://shawnbanasick.github.io/ken-q-analysis/
- 김지혜, "비교과 프로그램과 핵심역량과의 관계," 교양학연구, 제8권, 제1호, pp.15-40, 2021.
- 홍성연, "대학생의 전환을 지원하는 학생 지원 모형개발," 교육학연구, 제57권, 제1호, pp.1-27, 2019.
- 김경근, "한국사회의 서열 중시 문화: 기원, 동인 및 교육적 유산," 교육사회학연구, 제31권, 제4호, pp.33-69, 2021. https://doi.org/10.32465/KSOCIO.2021.31.4.002
- 민상희, 손애리, 장사랑 "대학교육 학생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338-352,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0.338
- 이은정, 이정훈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예측 요인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4호, pp.317-330,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4.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