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Perceived by Cooks on Self-efficacy, Collective Efficacy, and Job Performance: Focusing on Hotel Culinary Department

공유 리더십에 대한 조리사 인식이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호텔조리부서 대상

  • 전상경 (영산대학교 조리예술학부/서양조리전공)
  • Received : 2022.01.03
  • Accepted : 2022.02.08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This study assumed that chef's shared leadership perceived by chefs in hotel culinary department affects self-efficacy, group efficacy,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i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through leadership sharing. And based on the results, we tried to suggest a manpower management plan suitable for the hotel culinary department and provide basic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efs working in 8 luxury hotels in Seoul and Busan. A total of 30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analysis,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packages were use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improvement of hotel cook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chef's shared leadership did not affect job performance through collective 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a differentiated and efficient manpower management plan is needed to enhance job performance by enhancing shared leadership and self-efficacy for cooks, where collaboration and division of labor are important, and individual ability is important due to the nature of their work.

본 연구는 호텔 조리부서에서 조리사가 인식하는 조리장의 공유 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그리고 직무성과에 영향이 있을 것을 가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공유 리더십에 의한 각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호텔조리사 조직에 맞는 인력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기초자료 제공을 목표로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부산의 특급호텔 8곳에 근무하는 조리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302부 설문지에 대하여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호텔조리사들에게 조리장의 공유 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를 높이는 부분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반면, 조리장의 공유 리더십은 집단효능감과 집단효능감을 통한 직무성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협업과 분업이 중요한 조직이며 업무의 특성상 개인의 능력이 중요한 조리사에게는 공유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을 높임으로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으며 차별적이고 효율적인 인력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경, "신흥 리더십 연구의 특성과 공유 리더십의 팀 효율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합학회지," 제15권, 제6호, pp.207-217, 2017.
  2. 홍성철, 권용주, "호텔기업 밀레니얼 세대 공유 리더십이 팀 효능감과 조직웰빙에 미치는 영향 : 팀 효능감 매개효과," 관광레저연구, 제31권, 제5호, pp.229-252, 2019.
  3. 이정탁, 김성수, "특급호텔조리사의 조직문화와 지식공유, 직원창의성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연구," 한국조리학회, 제26권, 제7호, pp.70-78, 2020.
  4. A. M. Ward, How Leadership May Affect Attrition: Lived Experiences of Executive Chefs.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Northcentral University, 2017.
  5. 조한진, 이규태, "호텔 기업 공유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32권, 제7호, pp.51-63, 2018.
  6. 문승현, 공유리더십이 발언행동,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창의자기효능감과 변화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7. J. Zhu, Z. Liao, K. C. Yam, and R. E. Johnson, "Shared leadership: A state-of-the-art review and future research agenda," Special Issue: The JOB Annual Review, Vol.39, No.7, pp.834-852, 2018.
  8. A. M. Ward, How Leadership May Affect Attrition: Lived Experiences of Executive Chefs.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Northcentral University, 2017.
  9. D. Swift, K. Malek, and A. Swift, "The Differences Between ACF Professional Chefs and Chef Educators: Concern for Task Versus Concern for People,"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Education, Vol.31, No.2, pp.87-98, 2019. https://doi.org/10.1080/10963758.2018.1485496
  10. 전상경, "호텔조리부서에서 효과적인 직무성과를 위한 쉐프의 공유 리더십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427-440,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4.427
  11. 김남이, 청희우, "초심.상급 간호사의 무형식 학습, 리더십 공유 및 조직 사회화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9, 2018.
  12. M. L. Francisco, G. C. Tomas, G. P. Inmaculada, J. P. Juan, and F. Katrien, "How many leaders does it take to Lead a sports tea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leaders and the effectiveness of professional sports teams," PLoS ONE, Vol.14, No.6, 2019.
  13. Craig. L. Pearce and Jay. A. Conger, "Shared leadership: Reframing the hows and whys of leadership," Sage Publications, 2020.
  14. J. L. Denis, A. Langley, and V. Sergi, "Leadership in the Plural," Academy of Management Annals, Vol.6, No.1, pp.211-283, 2012. https://doi.org/10.1080/19416520.2012.667612
  15. C. N. Lacerenza and E. Salas, "The New Leader on the Block: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of Shared Leadership," In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Jan,2017, 17153.
  16. 김남이, 박정희, "간호사의 일과 삶 균형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과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대한간호학회, 제27권, 제2호, pp.118-126, 2021.
  17.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6.
  18. M. E. Gist and T. R. Mitchell, "Self-efficacy: A the oreticalanalysis of its determinants and malleabillity," Academyof Management Review, Vol.17, No.2, pp.183-211, 1992. https://doi.org/10.5465/amr.1992.4279530
  19. 정학범, 김재구, "서번트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 조직시민 행동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pp.1-22, 2010.
  20. 서예정, 한진수, "호텔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직무성과 간의 관계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33-44, 2019.
  21. 박종철, 최현정, "호텔기업 구성원의 사내기업가정신, 자기효능감, 혁신행동 및 인지적 성과의 구조적 관계," 호텔경영학연구, 제30권, 제4호, pp.17-31, 2021.
  22. 박정하, "호텔 조리사들이 지각하는 주방의 물리적 환경, 자기효능감, 생산성 간의 인과 관계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34권, 제7호, pp.183-196, 2020.
  23. A. Bandur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gist, Vol.28, No.2, pp.117-148, 1993.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802_3
  24. D. Jenni, H. John, and E. Rachel, "The Power of Collective Efficacy," Educational Leadership, Vol.75, No.6, pp.40-44, 2018.
  25. S. J. Zaccaro, A. L. Littman, and M. A. Marks, "Team leadership.Leadership" Quarterly, Vol.12, No.4, pp.451-483, 2001.
  26. C. Greenberg-Walt and A. G. Robertson, "The evolving role of executive leadership," In W. Bennis, G. M. Spreitzer & T. G. Cummings(Eds), 2001.
  27. 양영선, 허희옥, "인지.정서조절, 집단효능감, 스캐폴딩이 대학생의 프로젝트학습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34권, 제2호, pp.197-226, 2018.
  28. L. W. Porter, R. M. Steers, and R. T. Mowday, "Organizational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9, No.5, pp.603-609, 1974. https://doi.org/10.1037/h0037335
  29. G. T. Milkovich and J. W. Boudreau, Human resource management, Irwin, 1994.
  30. N. Piercy, D. Gravens, and N. Morgan, "Sales force performance and behavior based management pressures in business-to-business sales organiza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32, pp.79-100, 1998. https://doi.org/10.1108/03090569810197480
  31. 김진종, 오석윤, "호텔기업의 부서 간 갈등이 소진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리부서에서 인식하는 식음료부서와의 갈등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7권, 제1호, pp.143-159, 2018.
  32. B. Hu and Y. Zhao, "Creative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employee innovatio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44, No.5, pp.815-826, 2016. https://doi.org/10.2224/sbp.2016.44.5.815
  33. 송인숙, 권상집, "직원 훈련, 서번트 리더십, 자기 효능감, 훈련의 전이 행동, 지식 공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식경영연구, 제18권, 제4호, pp.261-286, 2017. https://doi.org/10.15813/kmr.2017.18.4.011
  34. 권혁기, 박봉규, "변혁적 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일몰입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7권, 제2호, pp.203-218, 2010.
  35.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6. A. Edmondson,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ing Behavior in Work Teams," Issue published, Vol.44, No.2, pp.350-383, 1999.
  37. E. A. Locke and G. P. Latham, "Self Regulation through Goal Sett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1991.
  38. 신은경, 차오위, 김진강, "호텔 종사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긍정적 심리자본의 조절효과," 동북아관광연구, 제11권, 제3호, pp.83-108, 2015.
  39. 정영자, 유주연, 이석만, "호텔 주방환경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27권, 제5호, pp.351-363, 2013.
  40. 김정은, "병사의 자기효능감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내재적 입대 동기의 매개 및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3권, 제2호, pp.41-56, 2016.
  41. A. T. Pescosolido, "Group Efficacy And Group Effectiveness: The Effects of Group Efficacy Over Time on Group Performance and Development," Small Group Research, Vol.34, No.1, pp.20-42, 2003. https://doi.org/10.1177/1046496402239576
  42. A. Grille and S. Kauffeld,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Shared Professional Leadership Inventory for Teams (SPLIT)," Psychology, Vol.6, No.1, pp.75-92, 2015. https://doi.org/10.4236/psych.2015.61008
  43. N. J. Hiller, D. V. Day, and R. J. Vance, "Collective enactment of leadership roles and team effectiveness: A field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7, pp.387-397, 2006. https://doi.org/10.1016/j.leaqua.2006.04.004
  44. 방호진, 공유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 분위기가 팀 성과, 팀 몰입 및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팀 성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5. 나용근, 김영중, "호텔조리사가 인지한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자기효능감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조리학회, 제26권, 제7호, pp.82-93, 2020.
  46. M. L. Riggs and P. A. Knight,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Failure on motiv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 causal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9, pp.75-76, 1994.
  47. A. Bandura, "Exercise of human agency through collective efficac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9, No.3, pp.75-78, 2000. https://doi.org/10.1111/1467-8721.00064
  48. 최해수, "호텔기업의 직무특성, 집단 효능감, 직무 만족 간의 인과관계 연구," 관광연구, 제28권, 제3호, pp.119-143, 2013.
  49. 김태구, 이계희, "호텔 직원의 지식 공유에서 조력자-과정-결과 관계를 위한 수정 및 확장된 Triandis 모델," 서비스 산업 저널, 제32권, 제13호, pp.2059-2090, 2012.
  50. T. J. Brown, J. C. Mowen. D. T. Donavan, and J. W. Licata, "The Customer Orientation of Service Workers: Personality Trait Effects on Self-and Supervisor Performance Rating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9, No.1, pp.110-119, 2020. https://doi.org/10.1509/jmkr.39.1.110.18928
  51. 류지용, 박지수, 박기봉,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특급호텔 조리직원을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 제19권, 제3호, pp.194-208, 2013. https://doi.org/10.20878/cshr.2013.19.3.014014014
  52. 구동우, "호텔조리장의 어댑티브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라포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 제26권, 제5호, pp.66-78,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