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라인 협력학습 회계수업 적용방안 및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Cooperative Learning applied in Accounting Class

  • 송승아 (서울여자대학교 경영학과)
  • 투고 : 2022.03.04
  • 심사 : 2022.03.24
  • 발행 : 2022.04.28

초록

본 연구는 S 대학교의 온라인 협력학습 질의응답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비대면 교육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코로나 상황으로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 시행으로 인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심리적 고립감을 느끼기 쉬우며 학습 무기력 상태에서 혼자 공부하여야 하고 문제를 해결해 가야 하는 어려운 시기에 온라인 교육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최소화하는 방법의 하나로 온라인 협력 학습 방법론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여러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학습과 온라인 협력학습, 학습 촉진 방법론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구체적인 학습 촉진 방법으로 온라인 질의응답 방법론을 채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묻고 답하기(Q&A)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내용을 점검하고 지식을 나누고 소통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으며, 질문자와 답변자의 익명성 보장, 향상점수제, 절대평가와 같은 성과평가 관련 요소들이 질의응답을 활용한 온라인 협력학습의 성공 요소로 설문 분석 결과 밝혀졌다. 온라인 비대면 학습이 지속될 가능성이 큰 미래에 실제 적용 가능한 작은 변화이지만 유의미한 교수방법론 적용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 현장을 바꾸고 보완해 함께 실력을 향상해 나갈 방법 및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factors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non-face-to-face educa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a University's online cooperative learning Q&A. Due to the Corona situation, both professors and learners can easily feel psychological isola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all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s one of the methods,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to various teachers and learners by sharing class cases in which the online cooperative learning methodology was applied. Previous studies on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and learning promotion method were reviewed, and the online Q&A method was adopted as a specific learning promotion method to conduct research. In the Q&A process, learners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check their learning content, share knowledge and communicate, and performance evaluation-related factors such as guaranteeing anonymity of the questioner and answerer, improvement points system, and absolute evaluation were ask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y are the success factors of online cooperative learning. It is a small change that can be applied in practice in the future where online non-face-to-face learning is likely to continue, but by sharing meaningful cases of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ologies, both professors and learners being motivated and actively involved in. It is expected that we will be able to suggest method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skills together by changing and supplementing the learning field.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서울여자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한 것임(2022-0276).

참고문헌

  1. Dewey, Democracy and Education, Mcmilan, 1916.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e-러닝 및 블렌디드러닝 가이드북. 연구보고 CR 2007-15-부록, 2007.
  3. 변영계, 김광휘,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1999.
  4. K. Murphy, R. Drabier, and M. Epps, "A constructive look at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via computer conferenc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lecommunications, Vol.4, No.2, pp.237-261, 1998.
  5. D. Johnson and F. Johnson, Joining Together: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 Pearson, 2004.
  6. 김영환, 이상수, 정희태, 박수홍, 원격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3.
  7. 김현섭,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 수업디자인연구소, 2015.
  8. T. M. Newcomb and E. K. Wilson, College peer groups: problems and prospects for research, Chicago: Aldine, 1966.
  9. 전명남, 학습전략, 학지사, 2015.
  10. 조은순, 염명숙, 김현진, 원격교육론, 양서원, 2012.
  11. 백영균, 웹기반 학습의 설계, 양서원, 1999.
  12. 윤혜원, 김선영, "코로나-19 원격수업에서 온라인 협력학습 메시지 분석을 통한 의사소통 유형 탐색," 인문사회21, 제12권, 제6호, pp.3491-3504. 2021.
  13. P. J. Hills, Teaching, Learning, and Communication, Croom Helm Ltd. London, 1986.
  14. 안정민,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강의 참여대학생들의 협력학습 경험 탐색: 근거이론적 접근,"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1호, pp.577-605, 2021.
  15. 전주현, "비대면 수업 융합교과의 효과적인 팀학습지원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제241권, 제2호, pp.181-205, 2021.
  16. 한승연, 박양주, 우영희, 온라인 협력학습의 사례, 전략, 기법, 문음사, 2013.
  17. 도로시 리즈, 질문의 7가지 힘, 더난출판사, 2016.
  18. 강명희, 이미화, 송상호, 이러닝 성공전략, 서현사, 2005.
  19. 정문성,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