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Eating-out Motivation, Dining Out, and Delivery-Takeout in COVID-19 : The Moderating Role of Interpersonal Contact Anxiety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한·중 소비자의 외식동기와 방문외식, 배달-테이크아웃 소비선택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대인접촉 불안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숙 (백석대학교 교양대학)
  • Received : 2022.01.17
  • Accepted : 2022.02.16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ntact anxiety due to COVID-19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out motivations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dining out, and delivery-takeou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Korean consumers' interpersonal contact anxiety,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contact anxiety had a moderating effect to weaken the positive influence of rational motivation on dining ou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hinese consumers' interpersonal contact anxiety,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contact anxiety had a moderating effect to weaken the positive influence of rational motivation on dining out. But the positive influence of emotional motivation on dining out was increased. Also,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contact anxiety had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ed the positive influence of rational motivation on delivery, and it also had the effect of weakening the positive effect of emotional motivation on delivery.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contact anxiety had a moderating effect to strengthen the positive influence of emotional motivation on takeout.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외식동기와 방문외식, 배달-테이크아웃 소비선택 간의 관계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대인접촉 불안감의 조절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한국소비자의 외식동기가 외식선택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접촉 불안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바, 대인접촉 불안감은 이성적동기가 방문외식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약하게 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비자의 외식동기가 외식선택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접촉 불안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바, 이성적동기가 방문외식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약하게 하고, 감성적동기가 방문외식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강하게 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접촉 불안감은 이성적동기가 배달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강하게 하고, 감성적 동기가 배달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약하게 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적동기가 테이크아웃에 미치는 정적 영향은 강하게 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0S1A5B5A17087486)

References

  1. 윤은옥, 미리보는 2022 외식 트렌드, 2022식품외식산업전망대회 자료집, 2021.
  2. 최예린, "코로나 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 달라진 어린이집 일상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제22권, 제1호, pp.253-279, 2020.
  3. S. Berezka, V. Rebiazina, and S. Muravskaia,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in the BRICS countr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role of trust and anxiety," BRICS Journal of Economics, Vol.2, No.1, pp.53-73, 2021.
  4. Y. Zhong, S. Oh, and H. C. Moon, "What Can Drive Consumers' Dining-Out Behavior in China and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ustainability, Vol.13, No.4, p.1724, 2021. https://doi.org/10.3390/su13041724
  5. 하성지, 김면, "중국 진출을 위한 떡볶이 브랜드 디자인 개성의 현지화에 관한 연구-한중 소비자간 문화차이를 중심으로," 제47권, pp.385-394, 2015.
  6. S. S. Cha and X. W. Wang, "A Cross-National Study on Selection Attributes of Instant Noodle between China and Korea," Journal of Food Products Marketing, Vol.26, No.1, pp.1-16, 2020. https://doi.org/10.1080/10454446.2019.1711483
  7. 황태호, 이강일, 원종구, 박국봉, 안승호, 조춘한, "베이커리 선택속성이 매력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한국소비자와 중국소비자비교-," 외식경영연구, 제17권, 제5호, pp.225-254, 2014.
  8. 이영주, 김기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따른 외식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식경영연구, 제23권, 제6호, pp.181-197, 2020.
  9. 제갈태환, 이승우, 황지윤, "코로나-19에서의 위생 대응과 외식고객의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 및 재방문 의도: 시나리오 기반 사례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49권, 제9호, pp.1036-1043, 2020.
  10. 홍인기, "코로나 19 위험지각이 외식인식, 태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제27권, 제12호, pp.174-182, 2021.
  11. S. S. Cha and M. H. Shin, "The Effect of Delivery Food on Customer Emotional Response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Food & Health Convergence, Vol.7, No.2, pp.1-10, 2021. https://doi.org/10.13106/KJFHC.2021.VOL7.NO2.1
  12. 양윤, 소비자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2014.
  13. 고재윤, 송학준, 우주리, "외식동기를 통한 패밀리 레스토랑 여성고객시장 세분화전략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제10권, 제1호, pp.71-89, 2007.
  14. T. L. Childers, C. L. Carr, J. Peck, and S. Carson, "Hedonic and utilitarian motivations for online retail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Vol.77, No.4, pp.511-535, 2001. https://doi.org/10.1016/S0022-4359(01)00056-2
  15. P. L. To, C. Liao, and T. H. Lin, "Shopping motivations on Internet: A study based o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Technovation, Vol.27, No.12, pp.774-787, 2007.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07.01.001
  16. E. Bridges and R. Florsheim,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goals: The online experie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1, No.4, pp.309-314, 2008. https://doi.org/10.1016/j.jbusres.2007.06.017
  17. K. C. Anderson, D. K. Knight, S. Pookulangara, and B. Josiam, "Influence of hedonic and utilitarian motivations on retailer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a facebook perspective,"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21, No.5, pp.773-779, 2014.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14.05.007
  18. 윤태환, "강원도 영동권 지역 대학생들의 외식동기에 의한 정보탐색방법," 한국조리학회지, 제22권, 제2호, pp.213-221, 2006.
  19. Y. H. C. Sun and A. M. Morrison, "Senior citizens and their dining-outtraits : Implications for restaur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26, No.2, pp.376-394, 2007. https://doi.org/10.1016/j.ijhm.2006.03.003
  20. 차희원, "윤리적 소비자의 외식동기, 행동, 구매의 탐색적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2.
  21. 함선옥, 문혜영, "한식뷔페 레스토랑 고객의 외식동기, 메뉴만족, 고객만족도 간의 관계," 호텔경영학연구, 제26권, 제4호, pp.53-69, 2017.
  22. 성혜진, "혼밥 고객의 외식동기와 지각된 외식가치의 정준상관분석," 관광레저연구, 제31권, 제7호, pp.247-264, 2019.
  23. http://www.law.go.kr
  24. 김지영, 고선, "소비자특성과 배달-테이크아웃 외식행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제13권, 제3호, pp.7-21, 2017. https://doi.org/10.22509/KFSA.2017.13.3.001
  25. 윤태환, "외식동기와 일본음식점 선택속성과의 관계," 외식경영연구, 제8권, 제3호, pp.47-66, 2005.
  26. 제미경, 전향란, 이영애, "외식과 배달 및 테이크아웃 이용여부에 따른 소비자 집단별 식생활소비행태 차이분석," 소비문화연구, 제20권, 제3호, pp.27-50, 2017. https://doi.org/10.17053/JCC.2017.20.3.003
  27. 김효정, 김미라, "배달 또는 테이크아웃 음식소비행태 및 소비결정요인 분석,"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제29권, 제3호, pp.168-179, 2019.
  28. 정혜선, 최서은, 최동국, "배달음식에 대한 지각된 위험, 혜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6권, 제8호, pp.71-86, 2017.
  29. M. De Boer, M. McCarthy, C. Cowan, and L. Ryan, "The influence of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beliefs about convenience food on the demand for convenience foods in the Irish market," Food Quality and Preference, Vol.15, No.2, pp.155-165, 2004. https://doi.org/10.1016/S0950-3293(03)00054-5
  30. I. D. A. Ana, D. Schoolmeester, M Dekker, and W. M. Jongen, "To cook or not to cook: a means-end study of motives for choice of meal solution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Vol.18, No.1, pp.77-88, 2007. https://doi.org/10.1016/j.foodqual.2005.08.003
  31. 마크로밀 엠브레인, 배달음식 및 배달앱(App) 관련 인식 조사, 2015.
  32. https://stdict.korean.go.kr.
  33. C. D. Spielberger, Anxiety as Emotional State: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Academic Press, 1972.
  34. 사지연, 여정성, "소비자불안의 수준과 영향요인: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첨가물, 광우병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25권, 제1호, pp.145-172, 2014.
  35. J. W. Taylor, "The Role of Risk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Vol.38, No.2, pp.54-60, 1974. https://doi.org/10.2307/1250198
  36. W. B. Locander and P. W. Hermann, "The Effect of Self-Confidence and Anxiety on Information Seeking in Consumer Risk Redu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6, No.2, pp.268-274, 1979. https://doi.org/10.2307/3150690
  37. 주신옥, "항공사 고객들의 코로나19의 감염병 인식과 지각된 위험이 위험감소행동과 관광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250-263,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2.250
  38. http://ncov.mohw.go.kr.
  39. H. Xiao, Z. Zhang, and L. Zhang, "A diary study of impulsive buy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urrent Psychology, pp.1-13, 2020.
  40. 이동훈, 김지윤, 강현숙,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35권, 제2호, pp.355-383, 2016.
  41. H. Jung, M. Park, K. Hong, and E. Hyun, "The impact of an epidemic outbreak on consumer expenditures: An empirical assessment for MERS Korea," Sustainability, Vol.8, No.5, p.454, 2016. https://doi.org/10.3390/su8050454
  42. S. R. Baker, R. A. Farrokhnia, S. Meyer, M. Pagel, and C. Yannelis, "How does household spending respond to an epidemic? Consumption during the 2020 COVID-19 pandemic," The Review of Asset Pricing Studies, Vol.10, No.4, pp.834-862, 2020. https://doi.org/10.1093/rapstu/raaa009
  43. 한정훈, 김미경, "외식 배달앱 이용속성이 소비자 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의 위험인식을 조절효과로," 외식경영연구, 제24권, 제7호, pp.227-249, 2021.
  44. 서보원, "전염성 질병 관련 요인이 소비자의 외식소비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코로나 19를 중심으로," 융합관광콘텐츠학회지, 제7권, 제2호, pp.5-16, 2021.
  45. 김재중, 외식 소비가치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쉐린 가이드 서울 선정 레스토랑 이용 소비자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7.
  46. 사지연, 식품의 기술적 위험에 대한 소비자불안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2.
  47.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1173,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8. 서울연구원, "2/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비대면 경제," 정책리포트, 제303호, 2020.
  49. http://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625
  50. https://dream.kotra.or.kr/
  51. https://www.emerics.org:446/newsView.es?article_id=42924&mid=a20100000000
  52. J. Kim, J. Kim, and Y. Wang, "Uncertainty risks and strategic reaction of restaurant firms amid COVID-19: Evidence from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92 : 102752, 2021. https://doi.org/10.1016/j.ijhm.2020.102752
  53. https://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9084
  54. 조소려, 외식배달 서비스 고객 시장세분화 및 IPA분석 -중국 주요 외식배달 앱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