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역할에 대한 원장, 중간관리자, 교사의 인식에 관한 혼합연구

A Mixed-Method Study About Perceptions of Directors, Middle Managers, and Teachers Regarding the Role of the Middle Managers in Daycare Centers

  • 송민지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
  • 강진주 (원광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22.02.15
  • 심사 : 2022.04.08
  • 발행 : 2022.04.29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bout the role of middle managers in daycare center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4 educators including directors, middle managers, an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Jeonbuk. An interview was then conducted with 18 educators working at six different centers. IPA for the survey and thematic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interview content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communication among managers, daycare staff,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be improved most urgently; in the interview, middle managers as a solver of the uncomfortabl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and teachers and as a linker between generations were emphasized. Also, the directors and middle managers recognized that the skills to have as middle managers needed to be improved most urgently, and the teachers recognized nothing needed to be improved urgently. Different emphasis for the need of supports for environment and systems was made in the interview by each posi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the official position of middle managers in a daycare center to promote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1학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 수행됨

참고문헌

  1. 강지연, 탁진국 (2019). 중간관리자의 의사소통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2(4), 439-475. https://doi.org/10.24230/kjiop.v32i4.439-471
  2. 고은경, 강진주 (2018). IPA 기법을 통한 교사들의 유아권리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인식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4), 1-24.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4.001
  3. 고은지, 도미향 (2016).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코칭연구, 9(3), 77-99.
  4. 고태경, 임현지, 왕정하, 최다은, 이철승 (2021). 세대 문화와 기업 문화: 기업 내 세대 간 문화적 차이에 따른 일 만족도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9(2), 39-96. https://doi.org/10.17328/kjcs.2021.29.2.002
  5.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6. 교육부, 유아교육정책과 (2021. 09). 유아교육법.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10909&lsiSeq=232607#0000에서 2022년 02월 01일 인출
  7. 김낙흥 (2010).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1), 235-258.
  8. 김낙흥, 손수민 (2010).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역할수행과 역할갈등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4(2), 395-416.
  9. 김보현 (2020)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중간관리자의 역할이 어린이집 운영관리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7(2), 153-173. https://doi.org/10.22155/JFECE.27.2.153.173
  10. 김대욱, 김낙흥 (2010). 주임교사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405-426.
  11. 김영주, 김대욱 (2015). 코칭 리더십 활동을 통해 본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9(5), 501-524.
  12. 김은준 (2008). 모바일테크놀로지와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휴대전화를 매개한 여성의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1), 216-243.
  13. 김정림, 조혜진 (2012).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65-83.
  14. 김진숙 (2020).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중간관리자 역할에 대한 기대 불일치.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현주 (2016).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필요요인 개념도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현주, 박수경 (2016). 개념도(Concept Mapping)를 활용한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필요요인 탐색.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125-159.
  17. 김희숙, 이유미, 김선정 (2021).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자아존중감이 원장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4), 671-683.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4.671
  18. 모아라, 신혜경 (2015). 보육교직원이 인식하는 주임교사의 역할 기대 및 역할수행. 아동복지연구, 13(1), 23-36.
  19. 모아라, 이소현 (2017).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대인관계 어려움에 대한 고찰. 아동교육, 26(2), 173-185. https://doi.org/10.17643/kjce.2017.26.2.09
  20. 박지영, 전홍주 (2019). 국공립어린이집 주임교사가 직무를 수행하며 경험하는 어려움과 보람. 아동교육, 28(4), 209-230. https://doi.org/10.17643/kjce.2019.28.4.12
  21. 박형경, 문혁준 (2017).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관련 변인: 직업 선택 동기, 직무환경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5(3), 221-232. https://doi.org/10.6115/fer.2017.017
  22. 보건복지부 (2021. 08). 영유아보육법.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11209&lsiSeq=232561#0000에서 2022년 02월 01일 인출
  23. 손현경 (2015). 어린이집 주임교사가 인간관계에서 갖는 어려움과 극복을 위한 노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송미숙 (2016).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과 보람.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신현석 (1998). 주임(보직교사)의 지위와 역할: 인사법규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교육법학연구, 10, 215-240.
  26. 심현정, 김현주, 김남연 (2009).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 수행 및 어려움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5), 5-26.
  27. 오교선, 공인숙 (2016).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87-202. doi:10.14698/jkcce.2016.12.187
  28. 오상석 (2019). 세대 간 차이와 조직몰입의 관계: 외재적 보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19(3), 163-190. https://doi.org/10.22914/JLP.2019.19.3.006
  29. 오혜영, 류진한 (2016). 세대공감이 세대 구성원으로서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세대 간 이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15(1), 44-82.
  30. 윤혜진 (2012).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자격과 역할에 관한 인식.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기섭 (2010). 유아교육 보육 이원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이병록, 이광연(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1, 53-72.
  33. 이애란 (2020).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 역할수행의 중요도 인식과 역할수행 평가에 관한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현미 (2018).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주임교사의 리더십이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임보라 (2019).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임성진 (2012).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갈등관리 유형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장옥선, 서현아 (2021).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조직헌신 간의 관계에서 원장 도덕적 리더십의 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2(3), 419-439. https://doi.org/10.22154/JCLE.22.3.17
  38. 정혜원, 이완정 (2018).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을 매개로 보육교사의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6), 171-185.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6.171
  39. 최은희 (2011). 어린이집과 유치원 운영제도 비교 연구(연구보고서 2011-10). 충청남도: 충청남도 여성정책개발원. https://www.cwpdi.re.kr/0102/board/basicTasks/?mode=V&idx=76276946204041088에서 2022년 2월 12일에 인출
  40. 최인서 (2012). 어린이집 주임교사 역할에 대한 보육교사와 주임교사인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한소라 (2017). 어린이집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Abalo, J., Varela, J., & Manzano, V. (2007). Importance values for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 formula for spreading out values derived from preference ranking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0(2), 115-121. https://doi.org/10.1016/j.jbusres.2006.10.009
  43. Cobern, W. W., & Adams B. A. (2020). When interviewing: how many is enough?. International Journal of Assessment Tools in Education, 7(1), 73-79. https://doi.org/10.21449/ijate.693217
  44. Creswell, J. W. (201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45. Graue, M. E., & Walsh, D. J. (1998). Studying children in context: Theories, methods, and ethics. Thousand Oaks, CA: Sage. https://doi.org/10.4135/9781452243153
  46. Linnan, L., Arandia, G., Bateman, L. A., Vaughn, A., Smith, N., & Ward, D. (2017). The health and working conditions of women employed in child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4(3), 1-14. https://doi.org/10.3390/ijerph14030283
  47. Martilla, J. A., & James, J. 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48. Mason, M. (2010). Sample size and saturation in PhD studies using qualitative interviews.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11(3), 1-19. https://doi.org/10.17169/fqs-11.3.1428
  49. Mintzberg, H. (1989). Mintzberg on management: Inside our strange world of organizations. New York: Free Press. https://doi.org/10.1016/0090-2616(90)90050-y
  50.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d). What does it mean to be a director?. Retrieved January 21, 2022, from https://www.naeyc.org/sites/default/files/globally-shared/downloads/PDFs/resources/pubs/chapter-1-from-survive-to-thrive.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