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Parenting Resources of Fathers in Single-Parent Families: Focusing on Divorced Man

부자가족 아버지의 자녀 양육 자원에 대한 사례연구: 이혼한 남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2.09.16
  • Accepted : 2022.11.11
  • Published : 2022.11.30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the parenting experience of fathers in single parent families as well as comprehensively determining their parenting experiences and the various parenting resources and support systems that have emerged in the process. The subjects were five divorced fathers who had not remarried and had been raising their children on their own.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nvolved data collect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inter-case analyses derived two topics, five categories, and 17 concepts related to the issues of inter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there was "psychological confusion in the early stages of parenting" because of the sudden onset of this responsibility after divorce. Second, in the parenting experience, the fathers felt that "family survival was at stake". Third the support systems that the fathers had in raising single parent families were "social resources" made available through workplaces, acquaintances,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Such systems also took the form of "family resources" including brothers and parents. An "internal resource" was the presence of children along with psychological sources of support, such as responsibility and the satisfaction experienced by the fathers through parenting. This study, uncovered the reality, resources, and support systems of fathers in single familie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serve as a basis for supporting practical measur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fathers in single-parent households.

본 연구 목적은 부자가족 아버지의 양육경험을 탐색하고 부자가족 아버지의 양육경험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양육의 자원과 지지체계를 심층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결혼 이후 이혼하여 재혼하지 않고 홀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 5명이다.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례 간 연구를 통하여 2개의 주제, 5개의 범주, 17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부자가족 아버지의 양육 경험과 이로 인한 양육 자원이 도출되었다. 부자가족 아버지가 경험한 양육의 경험으로는 첫째, 이혼 이후 갑작스러운 양육으로 인하여 '양육 초기의 심리적 혼란'이 나타났으며 둘째, 양육으로 인하여 '위태로운 가족의 생존'의 위기를 경험하였다. 부자가족 아버지가 가진 양육의 자원으로는 첫째, 직장, 지인, 기관, 정부를 통한 '사회적 자원'이 양육을 지속할 수 있는 지지체계가 되었다. 둘째, 형제들과 부모들과 같은 '가족적 자원'이 자녀 양육을 지속할 수 있는 자원이었다. 셋째, '내적 자원'으로 부자가족 아버지가 양육을 통하여 경험하는 책임감, 만족감과 같은 심리적 자원들과 함께 자녀의 존재가 양육을 지속할 수 있는 주요 자원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홀로 자녀를 양육하는 부자가족 아버지가 겪는 양육의 경험 속에 나타난 양육의 지지체계와 자원 등을 기술하였고, 이를 통해 부자가족 아버지 상담의 실천적 방안과 교육 개입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2014).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93-114.
  2. 고선강(2015). 부모의 성별에 따른 한부모가계의 경제자원차이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95-120.
  3. 김기화(2015). 부자가족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영란.황정임.최진희.김은경(2016). 부자가족의 가족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96.
  5. 김영은(2016). 조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재엽.양세정(2013). 한부모가족 가구주의 성별과 한부모: 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5(1), 1-22.
  7. 김희주.장연진(2020). 취약계층 여성의 임신.출산 및 초기양육 지원에 대한 질적 연구. 가족과 문화, 32(2), 1-30.
  8. 노영희.김상인(2016). 한부모의 자녀 양육어려움, 고용지위,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2), 167-185.
  9. 노정자(2011). 이혼을 경험한 한부모 남성의 홀로서기 과정 연구.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문은영(2011).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父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공공사회연구, 1(2), 135-174.
  11. 박주희.한석실(2017). Exploring the pretending elements in block play.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3(2), 23-38. https://doi.org/10.18023/ijece.2017.23.2.002
  12. 박현정.이기연.정익중(2014). 이혼한 한부모 아버지의 양육 경험: 가정이라는 밀림 속으로 들어간 남자. 한국가족복지학, 41(9), 199-224.
  13. 보건복지부(2016). 국민건강보험통계.
  14. 성미애(2020). 청소년 자녀가 있는 남성 한부모의 어려움 관련 변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8(1), 1-15.
  15. 여성가족부(2018). 한부모 가족 실태 조사.
  16. 오승하(2015). 한부모가정의 불안, 생활만족도, 사회적지지 간의 관계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선영(2014). 사춘기 자녀를 둔 저소득 한부모가정 아버지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혜정.송다영(2019). 한부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와 영향 요인: 가족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차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65, 43-65.
  19. 임경택(2015). 이혼남성의 자녀 양육 경험 연구.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임선호(2014). 저소득 한부모가족 지원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장연진(2016). 부자가족과 모자 가족 자녀의 사회적 자본 특성 비교. 가족과 문화, 28(2), 111-151.
  22. 통계청(2019). 장래 가구 추계. 통계청
  23. 통계청(2020). 혼인 이혼 통계. 통계청
  24. 한정원(2014). 한부모가족지원사업의 효과성 연구: 한부모가족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4(2), 159-195. https://doi.org/10.22772/PNUJWS.24.2.201406.159
  25. 황은숙(2007). 모자가정과 부자가정의 고충 비교 연구. 한부모가정연구, 2(1), 1-20.
  26. 한부모가족지원법. 법률 제4조 제1장 제17540호.
  27. Amato, P. R.(2005). The impact of family formation change on the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the next generation. The future of children, 75-96.
  28. Bernier, A. & Miljkovitch, R.(2009).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in father-child dyads: The case of single parenthood.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70(1), 31-52. https://doi.org/10.3200/GNTP.170.1.31-52
  29. John, W. Creswell.(2015). 질적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서울: (주)학지사.
  30. Denzin, N. K. & Lincoln, Y. S.(2005). Introduction: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1-32). Sage Publications Ltd.
  31. Simon, R. W.(1992). Parental role strains, salience of parental identity and gender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3(1), 25-35. https://doi.org/10.2307/2136855
  32. Stake, R. E.(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33.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Sage Publications, Inc.
  34. Robert, K. Yin.(201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ed.).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