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Evacuation Scenario Using Delphi Technique -Focus on The Mobile Application and psychology-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화재피난 시나리오 개선 연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재실자 심리를 중심으로 -

  • Lee, Sang ki (Konkuk University Global Campus, Graduate School of Design) ;
  • Kim, Sung Hyun (Konkuk University Global Campus, Graduate School of Design)
  • 이상기 (건국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디자인대학원 ) ;
  • 김성현 (건국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디자인대학원 )
  • Received : 2022.06.06
  • Accepted : 2022.06.2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Based on the service scenario proposed by the existing Kim Tae-wan (2018) who can safely evacuate inmates with the help of a mobile application linked to a fire detection system in the event of a fire, the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enario by incorporating more realistic scenarios with mobile stimuli that can help them escape or act through the Delph In addition, to make the scenarios produced more realistic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copper lines of a typical building, expert scenario verification and Delphi technique were applied to exclude unnecessary or impractical aspects of the existing scenarios. The results of the second Delphi survey showed that the primary psychology that could be seen at the time of the fire alarm were doubts, safety concerns and alarm, and the results of the second Delphi survey were analyzed,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ontent adequacy (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was derived. Finally, this was applied to create a scenario in which a mobile application was assisted to evacuate the fire response phase. This study will allow the use of methods to increase the evacuation rate of those who are in the event of a fire.

본 연구에서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감지시스템과 연동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도움을 받아 재실자들이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기존의 김태완 외3명(2018)이 제안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토대로 1950년 RAND사가 개발한 다양한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문제해결을 하는 기법인 델파이 조사(Delphi Method)를 통해 좀 더 현실적인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피난심리나 행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모바일 자극을 접목하여 시나리오를 고도화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또한 제작되어지는 시나리오가 일반적인 건물의 구조와 동선까지 고려하여 좀 더 현실적으로 만들기 위해 전문가 시나리오검증과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기존 시나리오에서 불필요하거나 현실적으로 실현이 어려운 부분을 제외 하였다. 연구 결과 1차 델파이 조사에서 화재경보 시에 보일 수 있는 주요 심리로 꼽혔던 것은 의구심, 안전불감, 경각심이었으며, 2차 델파이 조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내용타당도(CVR)와 수렴도, 합의도를 모두 만족하는 것은 의구심과 경각심 두 가지 심리가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이 내용을 적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도움을 받아 화재 대응 단계에서 피난하는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화재발생시 재실자들의 피난률을 높이기 위해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건국대학교 KU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임

References

  1. 김태완, 이상기, 신동민, 이성필. 일반건물 맞춤형 대피동선 안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사례연구.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8 
  2. 강용주. 델파이 기법의 이해와 적용사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8 
  3. 장기용, 이성필, 김태완. PSS에 기반한 신속한 화재대피유도 서비스디자인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207, 2019 
  4. 행정안정부(2018). 재난연감, 사고발생 및 인명피해.
  5. 최연구. 미래를 예측하는 힘 : 살림지식총서372. (주)살림출판사, 2009 
  6. Lawshe.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ume 28, Issue 4., 197 
  7.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14. 통계청 
  8. Hopper, L., Taylor, R. & Pepperdine, S., 2002. The MFB's Human Behaviour Research Project, London: Interscience Communications Ltd. 
  9. Proulx, G., 1993. A Stress Model for People Facing a Fir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ume 13, pp. 137-147.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146-x
  10. Canter, D., Breaux, J. & Sime, J., 1980. Domestic, Multiple Occupancy, and Hospital Fires. In: D. Canter, ed. Fires and Human Behaviour.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117-136. 
  11. Helbing, D. & Mukerji, P., 2012. Crowd disasters as systematic failures: analysis of the Love Parade disaster, Zurich: Springer. 
  12. Kuligowski, E. D. & Hoskins, B. L., 2010. Occupant Behavior in High-rise Office Building Fire, s.l.: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13. Saterhed, P., Hansson, M., Strandlund, J. & Nilsson, T., Sakerhetsguide for evenemang, Karlstad: Raddningsverket/Rikspolisstyrelsen.(2008) 
  14. Canter, D., Breaux, J. & Sime, J., 1980. Domestic, Multiple Occupancy, and Hospital Fires. In: D. Canter, ed Fires and Human Behaviour.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117-136. 
  15. DRURY, John; COCKING, Chris. The mass psychology of disasters and emergency evacuations: A research report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Brighton: University of Sussex, 2007. 
  16. FAHY, Rita F., et al. Toward creating a database on delay times to start evacuation and walking speeds for use in evacuation modeling. In: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human behaviour in fire. Boston, MA, USA, 2001. p. 175-183. 
  17. Abu-Safieh, S. F., 2010. Virtual Reality Simulation of Architectural Clues' Effects on Human Behavior and Decision Making in Fire Emergency Evacuation . In: R. D. Peacock, E. D. Kuligowski & J. D. Averill, eds. Pedestrian and Evacuation Dynamics 2010. New York: Springer, pp. 337-347. 
  18. 이철규, 문상호, 이상규, 이계은 (2019). 실시간 IoT 정보 활용 피난시스템의 피난성능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2(2), 281-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