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Tourists' Time Perception, Perceived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Nostalgic Urban Regeneration Tourist Destination

감성적 도시재생관광지 관광자의 시간관과 지각된 만족, 행동의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 이재달 (한국국제대학교 호텔관광학과)
  • Received : 2021.12.11
  • Accepted : 2022.04.13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As city tourism has recently been evaluated as a major indicator of urban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the role of cities as tourist destinations has received more attention. However,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many cities lead to population decline, extinction of traditional industries, and deterioration of living environments, weakening urban functions and competitiveness. Thus, it is essential for declining cities to build a measure to restore urban competitiveness by enhancing urban function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socio-cultural urban regeneration by exploring physical spaces for tourism destinations in declining cities. Different from general tourist destinations, tourism destinations of urban regeneration have a temporal perspective cover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How does the temporal perspective of urban regeneration tourist destinations affect touris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order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the sample of tourists who have visited urban regeneration tourism destinations. With SEM, this paper investigates structural relationships across variables by testing the hypothesis established in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he results show that precious memories of the past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ourists to visit urban regeneration tourist destinations.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areas of urban tourism, urban regeneration tourism, and urban regeneration tourism destin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develop socio-cultural contents of urban regeneration areas as tourism resources to establish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최근 도시관광이 도시경쟁력의 주요 지표로 평가됨에 따라 관광지로서의 도시기능 강화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오늘날 수많은 오래된 원도심은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인구감소, 전통산업의 소멸, 생활환경 악화 등의 사회현상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도시기능을 저하시키고 도시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쇠퇴하는 도시는 도시기능 강화를 통한 도시경쟁력 회복방안 마련이 필연적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쇠퇴한 도시의 물리적 공간과 역사적, 사회문화적 자산을 감성적 관광목적지 콘텐츠로 발굴하여 사회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한 구도심 경쟁력회복에 초점을 맞추었다. 감성적 도시재생 관광지는 일반 관광지와 달리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시간적 관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자의 관광행동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관광지의 개발전략을 위해, 감성적 도시재생관광지 관광자의 시간적 관점, 관광 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감성적 도시재생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획득한 자료로, 분석에 필요한 구성변인을 추출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이용한 변인간 구조관계를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관광지를 찾는 관광객들의 가장 중요한 관광행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거의 소중한 추억에서 비롯된 과거지향적 시간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도시관광, 도시재생 관광, 도시재생관광목적지 관광이라는 학술적 연구분야 확장에 기여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도시재생사업의 계획수립과 도시재생지역의 관광 콘텐츠 개발을 통한 쇠퇴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을 수립에 실무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도.정승진.장윤정(2022), "관광중심형 도시재생 관광지 방문객과 거주민의 물리적 환경평가 비교: 부산감천문화마을 대상으로",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6(2): 125~138. https://doi.org/10.21298/IJTHR.2022.2.36.2.125
  2. 국토교통부(2020.12.31.),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약칭: 도시재생법)".
  3. 권기철.서영욱(2020), "미래지향적 시간관, SNS 태도, SNS 추천의도의 구조적 관계",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1(4): 741~751.
  4. 권혁신.방두완(2021),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 연구: 지역리츠제 도입을 중심으로", 「도시재생」, 7(1): 5~20.
  5. 김성조.김재학(2020), "문화재야행 환경에서 지각된 장소성과 태도 및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관광학연구」, 44(8): 155~175.
  6. 김종구.문국경(2022), "지역의 사회적 자산이 도시재생사업 주민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3(1): 87~95. https://doi.org/10.6107/JKHA.2022.33.1.087
  7. 김종흠.조혜진(2020), "노스탤지어와 지각된 새로움을 기준으로 분류한 제품유형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과거의 시간적 거리감을 조절변인으로", 「소비자학연구」, 31(2): 129~150.
  8. 김지인.민제호(2021), "문화적 도시재생과 연계한 도시관광 성공요인 개발 연구", 「인문사회21」, 12(4): 2873~2886.
  9. 김흥식.한성미.박해연(2015), 「지역구도심 재생을 위한 도시관광 정책방안 연구」, 수원: 경기연구원.
  10. 남호성.황재훈(2021),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분석: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도시재생」, 7(2): 25~42.
  11. 박명섭.강용준.조성우(2012), "크루즈 서비스 선택속성이 관광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8(3): 193~214.
  12. 박인영.배기철(2019), "관광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이 전주 지역 주민의 주거만족도 및 지역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23(5): 803~825.
  13. 오은비.송나영.김태형(2019), "도시재생관광지의 공공디자인 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43(7): 103~122.
  14. 유재윤(2019), 「URBAN REGENERATION - A Primer on Korean Planning and Policy」, 세종: 국토연구원.
  15. 이성현.손지훈(2020), "IPA기법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지의 매력요인 분석", 「도시재생」, 6(3): 43~60.
  16. 이승준(2021), "시간적 초점이 도시재생관광지의 자아일치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17. 이재달.박일(2015), "생태관광 목적지 탐방객의 동기요인과 충성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과 전략", 「마케팅논집」, 23(2): 47~65.
  18. 조한나.김명진.전유미(2021), "섬여행의 관광동기, 지각된 가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관광진흥연구」, 9(3): 275~291.
  19.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0. Avci, S. (2013), "Relations between Self-Regulati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he Delay of Gratification in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 133(4): 525~537.
  21. Bhattacherjee, A. (2001),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25(3): 351~370. https://doi.org/10.2307/3250921
  22. Bluedorn, A. C. (2002), The Human Organization of Time: Temporal Realities and Experienc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3. Boulding, W., R. Staelin, A. Kalra and V. Zeithaml (1993),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1): 7~27. https://doi.org/10.2307/3172510
  24. Garciia, A. J. and B. Ruiz (2015), "Exploring the Role of Time Perspective in Leisure Choices: What about the Balanced Time Perspectiv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7(5): 515~537. https://doi.org/10.18666/jlr-2015-v47-i5-5876
  25. Kim, S. B., C. G. Byun and H. H. Ha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a Balanced Time Perspectives and Attitude Toward Trying Startup",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11(4): 110~129.
  26. Kotler, P. (1994), Marketing Management 8th ed,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27. Lazarus, R. S. (1991), "Cognition and Motivation in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6(4): 352~367. https://doi.org/10.1037/0003-066X.46.4.352
  28. Nuttin, J. (1985), Future Time Perspective and Motivation: Theory and Research Method, Leuven: Leuven University Press.
  29. Pearce, D. G. (2001),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Urban Tourism Resear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28(4): 926~946. https://doi.org/10.1016/S0160-7383(00)00082-7
  30. Shipp, A. J., J. R. Edwards and L. S. Lambert (2009),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Temporal Focus: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10(1): 1~22. https://doi.org/10.1016/j.obhdp.2009.05.001
  31. Westbook, R. A. and J. W. Newman (1978), "An Analysis of Shopper Dissatisfaction for Major Household Applianc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5(3): 456~466. https://doi.org/10.2307/3150594
  32. Yoon, H. S. and H. H. Yoon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al Consumption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Conscious Behavior",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22(1): 253~267.
  33. Zimbardo, P. and J. Boyd (1999), "Putting Time in Perspective: A Valid, Reliable Individual-Differences Metric",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6): 1271~1288. https://doi.org/10.1037/0022-3514.77.6.1271
  34. 국토교통부(2022),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 현황정보", 2022.4.12. 읽음. https://www.city.go.kr/index.do;jsessionid=E314C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