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in Changgyeonggung Palace through the Preservation Principles of Cultural Heritage

문화재 보존원칙으로 본 창경궁 조경 복원정비 양상 해석

  • Kang, Jae-Ung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 So, Hyun-S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강재웅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소현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22.11.02
  • Accepted : 2022.12.12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interpreted the logical validity of the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atterns of Changgyeonggung Palace, where modern landscapes coexi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in the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attitude concerning the Changgyeonggung management organization were identifi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Office of the Imperial Garden, an imperial property was nationalized. The Cultural Heritage Managing Department was opened in 1961, and Changgyeonggung Palace were preserved as designated as historical sites in 1963. An environmental purification was implemented by the Changgyeonggung Office as a follow-up measure for restoration in 1983. A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romoted in 1999 and the Royal Palaces and Tombs Center was established in 2019, the palace has been managed professionally as a palace landscape to provide a viewing environment. Second, In the 'Purification Period of Changgyeongwon(1954~1977)', environmental purification was carried out to restore amusement facilities, install facilities for cherry blossom viewing, and develop the place into a national zoo. In the 'Reconstruction Period of Changgyeonggung(1983~1986)', restoring function as an urban park, reserving green areas, the outside space was recreated in the traditional feel, and the forest area was generally maintained. In the 'Supplementation Period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Space(1987~2009)', a uniform green landscape was created with pine trees and various vegetation landscapes centered on the flower beds. In the 'Improvement and Maintenance Period of Viewing Environment(2010~2022), a master plan was reestablished on the premise of utilization, but maintenance has been carried out in a small scale centering on unit space. Third, regarding the validity of the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It was found in terms of 'originality' that the recovery of the palace system has not been expanded for over 40 years in existing are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hich shows whether multi-layered history was taken into account, Changgyeongwon was excluded from the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base year twice. In terms of 'integrity,' the area of the Grand Greenhouse where the historic states coexists needs a maintenance policy that binds the greenhouse, carpet flower bed, and Chundangji Pond. The 'utility' identified as the utilization of spaces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 sense of place in the Grand Greenhouse area, which is concentrated with programs different from other areas.

본 연구는 근대경관이 병존하는 창경궁을 대상으로 조경 복원정비 양상의 타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담관리 조직에 따른 조경 복원정비 태도 변화를 이해하였다. 1908년 어원사무국의 황실재산 국유화와 환경미화, 1961년 문화재관리국 출범과 1963년 사적 지정에 따른 문화재 보존, 1983년 창경궁사무소의 복원 후속처리로서 환경정화, 1999년 문화재청 승격과 2019년 궁능유적본부 발족 이후 전문적 조경관리와 관람환경 제공이 포함된다. 둘째, 해방 이후 '창경원 환경정화기(1954~1977)'에는 유원지 시설의 기능 복구, 벚꽃놀이를 위한 시설 설치, 국립동물원 도약을 위한 환경정화가 이루어졌다. '창경궁 중건기(1983~1986)'에는 도시공원 기능을 포함한 복원정비 공사, 완충기능의 유보녹지 설정, 외부공간의 전통적 재조성, 산림지역 통합 정비가 진행되었다. '전통조경공간 보완기(1987~2009)'는 소나무로 획일화된 녹지 경관조성, 화계 중심의 다양한 식생 경관이 도입되었고, '관람환경 개선·정비기(2010~2022)'는 활용을 전제로 한 기본계획 수립되었으나 단위 공간에 집중된 소극적 정비가 고수되고 있다. 셋째, 조경 복원정비의 타당성과 관련하여 문화재 보존원칙의 '고유성' 측면에서 권역별 궁제의 회복이 전각이 밀집한 구역에서 40여 년간 확장되지 않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다층위의 역사를 존중하는 여부로서 '시대성'은 두 차례 창경궁의 복원기준연대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았다. 조선과 근대의 원상이 병존하는 후원 권역의 대온실 일원은 자수화단, 춘당지가 하나의 영역으로서 '완전성'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문화재 공간의 활용 실태로 파악한 '효용성'은 내·외전 권역과 다른 프로그램들로 집중된 대온실과 춘당지의 장소성 확립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2008). 사적지조경 실태와 과제 I-궁궐 식재 정비방안 연구.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 이만희(2010). 창경궁 내전권역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조재모(2022). 창경궁 빈양문 일곽의 구성과 의례동선.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8(3): 179-188. https://doi.org/10.5659/JAIK.2022.38.3.179
  4. 최종희, 정종수, 이원호, 백종철(2006). 창경궁 통명전, 관덕정 일원의 식생경관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조사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3): 107-117.
  5. 백종철(2018). 문헌 분석을 통한 창경궁 식생보전방향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1): 11-19. https://doi.org/10.14700/KITLA.2018.36.1.011
  6. 정우진(2015). 조선시대 궁궐 후원의 체제와 운용 양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현숙(2008). 창경원 밤 벚꽃놀이와 야앵.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9(-): 139-162.
  8. 김정은(2017). 유원지의 수용과 공간문화적 변화 과정-창경원, 월미도, 뚝섬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하시모토 세리(2016). 한국 근대공원의 형성-공공성의 관점에서 본식민과 탈식민의 맥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정수진(2021). 문화유산의 근대와 탈근대. 서울: 민속원.
  11.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8771호.
  12. 강현(2016). 건축문화재의 원형 개념과 보존의 관계-한국 목조 건축문화재 수리 역사의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문화재. 49(1): 120-145.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1.120
  13. 신희권(2018). 문화유산학 개론. 서울: (주)사회평론아카데미.
  14. 이수정(2016). 한국의 문화재 보존.관리에 있어서 원형개념의 유입과 원형유지원칙의 성립, 그리고 발달과정. 문화재. 49(1): 100-119.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1.100
  15. 이원호(2016). 자연문화재에 있어 원형개념 적용의 문제점. 문화재. 49(1): 166-177.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1.166
  16. 김미진, 소현수(2021). 정비사업을 통해 본 부여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4): 38-49. https://doi.org/10.14700/KITLA.2021.39.4.038
  17. 김민선, 이재용, 김충식(2022). 문화재 수리의 조경분야 공종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0(2): 59-66. https://doi.org/10.14700/KITLA.2022.40.2.059
  18. 신희권(2020). 한양도성 복원 현황과 개선 방향-진정성과 완전성 측면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80(-): 73-111.
  19. 문화재청(2021). 문화재 보존원칙 정립 연구. 대전: 문화재청.
  20. "삼원셜시". 대한매일신보(1908.02.12.).
  21. 문화재청(2012). 문화재청 50년사(본사편). 대전: 문화재청.
  22. 구황실재산법. 법률 제339호.
  23. 문화재관리국직제. 대통령령 제1844호.
  24. 문화재관리국직제. 대통령령 제11297호.
  25. 문화재관리국(1993). 고궁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창경궁을 중심으로. 서울: 문화재관리국.
  26. 문화재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문화관광부령 제23호.
  27. 동식물관리규정. 문화재관리국 예규 제7호.
  28. 조경관리규정. 문화재훈령 제347호.
  29. 궁.능 조경관리 규정. 궁능유적본부훈령 제11호.
  30. 궁능유적본부 기본운영규정. 궁능유적본부훈령 제1호.
  31. 오창영 편(1993). 한국 동물원 팔십년사 : 창경원편(1907-1983). 서울: 서울특별시.
  32. "창경원흥행". 조선일보(1947.04.20.).
  33. "창경원식물원 수리공사 착수". 경향신문(1947.09.25.).
  34. "옛 모즙 다시 찾을 창경원, 춘당지.온실 등을 보수". 조선일보(1954.05.24.).
  35. 국가기록원(https://archives.go.kr).
  36. 창경원 정화공사 설계변경(2차)(1973.04.19.). DA0130062.
  37. 창경원 정비 복원 현장 검토 보고(1983.09.29.). BA0122756.
  38. 문화재관리국(1984). 창경궁 정비 계획(조경). 서울:문화재관리국.
  39. 창경궁 정비(조경)사업 설계용역(1983.11.25.). BA0122797.
  40. 제5차 창경궁 및 종묘 정비공사 추진대책회의 결과보고(1984.11.30.). BA0122773.
  41. 창경원 정비 복원 현장 검토 보고(1983.9.29.). BA0122756.
  42. 문화재관리국(1989). 창경궁 중건보고서(도판). 서울: 문화재관리국.
  43. 창경궁 복원정비공사 문제점 및 대책(1984.07.27.). BA0122773.
  44. 창경궁 조경정비 보완공사(2002.10.). DA1168824.
  45. 창경궁 문정전 화계 조경 계획도(1999.03.01.). CB0006227.
  46. 문화재청(2010). 창경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대전: 문화재청.
  47. 권준형(2011). 조선시대 건조물 수리공사 관련 용어 및 용례에 관한 연구-'重'字, '改'字가 사용된 용어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창경원 식물원에 우리 자생종만 전시키로". 조선일보(1985.03.31.).
  49. 창경원 정비 복원 현장 검토 보고(1983.09.29.). BA0122756.
  50.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2006).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 서울: 창덕궁관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