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동진, 윤강재, 정연, 채수미, 최지희, 배정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평가.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동진.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Health Plan 2030의 추진방향. 보건복지 ISSUR & FOCUS, 2021:1-7.
- 보건복지부. 2018 의료취약지 의료지원 시범사업 안내.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문종윤, 유병인, 박관준, 최종윤, 장원기, 박윤형. 환자-의사 간 원격의료 제도 도입에 대한 법적 사회적 적합성 고찰. 한국의료법학회지. 2013;21(2):201-219.
- Health Resources & Services Administration. Telehealth proꠓgrams [Internet]. Rockville (MD): Health Resources & Services Administration, c2019 [cited 2020 Jun 25]. Available from: https://www.hrsa.gov/rural-health/telehealth
- 장숙랑, 이주헌, 김창오, 허현희, 황종남, 김태연. 국민건강 증진종합계획 건강형평성 대표지표 개발 및 건강격차 해소 전략.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7;4(4):1-57. https://doi.org/10.14367/kjhep.2017.34.4.41
- 이현실. 노년층에 대한 원격진료 인식도 조사. 보건과학논집. 2005;31(2):75-83.
- 김종엽, 이관익. 비대면 의료서비스의 장점 및 필요성. 대한내과학회지. 2020;95(4):217-227. https://doi.org/10.3904/kjm.2020.95.4.217
- Hiesh HF, Shannon SE.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05;15:277-1288. https://doi.org/10.1177/1049732305276687
- 김현, 김미영. 충청남도 보건소 간호사의 간호정보역량 실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3;24(1):20-28.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20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전화상담 ․ 처방 및 대리처방 한시적 허용방안", [cited 2022 May 2].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search/search.jsp
- 노기영, 권명순, 장한진. 지역기반 만성질환 원격진료서비스 수용모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4;14(8):287-296.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287
- Harknee GA, DeMarco RF.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evidence for practice. Philadelphia: Wolters Kluwer Health, 2012,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박지은. 한국, 미국, 호주의 의료취약지 인센티브제도 비교 분석. 의료정책포럼. 2016;14(4):71-77.
- 주지홍. 원격의료 관련 의료법개정안에 대한 소고. 한국의료법학회지. 2009;17(2):61-84.
- 이주희.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의 원격진료 필요성에 관한 소고. 동아법학. 2020;88:245-272. https://doi.org/10.31839/DALR.2020.8.88.245
- 김현주, 허정식.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한국의료법학회지. 2015;23(1):7-20. https://doi.org/10.17215/kaml.2015.06.2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