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mparison of Later Commentaries about Kyeokguk theory of Jeokcheonsu

『적천수(滴天髓)』 격국론의 후대 평주 간 비교연구

  • Yi, Bo-young (Dept. of Oriental Study,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
  • Kim, Ki-Seung (Dept. of Oriental Study,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 이보영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 김기승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Received : 2021.12.27
  • Accepted : 2022.01.18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This study used a method of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editions of Jeokcheonsu, and aims to confirm why different views have arisen on commentaries that differ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one original text, which interpretation is more valid among them. The biggest part of the misunderstanding of Myeongri theory in Jeokcheonsu is Kyeokguk theory. Jeokcheonsu does not set a high value on Kyeokguk, and it is highly regarded as the Myeongri classics that emphasizes Eokbuyongsin. However,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original text by theory, we can see there are about 5 sentences that directly mention Eokbu theory, but 9 sentences that explain Kyeokguk theory and 15 sentences if we include the sentences that explain Jonggyeok and Hwagyeok. Even looking that metaphoric speech is mainly used, it is also clear that it's not a book written to be read by a beginner of Myeongri. This is Myeongri texts written to convey more profound logic and enlightenment to a person who has sufficient knowledge by having learned the principle of Myeongri. A single sentence of 'Jaegwaninsubunpyeonjeong Gyeomronsiksanggyeokgukjeong' would have been sufficient to explain the Kyeokguk theory, because it's written on the assumption of the reader's level. Among the later commentaries about the theory of Myeongri contained in Jeokcheosu, 4 persons'commentaries on the original text of 'Palkyeok', 'Gwansal', Sangkwan', 'Wolryeong', 'Saengsi', 'Cheongtak' related to Kyeokguk theory was compared and analyzed.

이 연구는 『적천수』에 대한 다양한 판본들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한가지 원문을 두고 평주한 시각에 따라 달라져 있는 주석에 대하여 어떤 해석이 더 타당한 것인가를 확인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적천수』의 명리이론에 대한 오해 중에서 가장 크게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 격국론이다. 『적천수』는 격국을 중시하지 않았으며 억부용신을 강조하는 명리 고전이라는 평가를 많이 받는다. 하지만 원문을 이론별로 분류해 본 결과 억부론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문장은 5개 남짓에 불과 하지만, 격국론을 설명하고 있는 문장은 9개 그리고 종격과 화격을 설명한 것까지 포함한다면 격국을 설명하는 문장이 15개에 이른다. 은유적 화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만 보더라도 명리 초급자에게 읽히고자 저술된 서적이 아님도 분명하다. 명리의 원리를 이미 학습하여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이들에게 더 심오한 이치를 전달하고 깨우침을 갖게 하고자 저술된 명리서이다. 이런 수준의 독자를 가정하고 저술되었기에 "재관인수분편정(財官印綬分偏正) 겸론식상격국정(兼論食傷格局定)"이라는 하나의 문장이면 격국론에 대한 설명으로 충분하였을 것이다. 『적천수』에 담겨있는 후대 평주 간 명리이론중에서 격국론에 관련된 '팔격', '관살', '상관', '월령', '생시', '청탁'원문에 대한 4인의 평주를 비교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徐樂吾, 「滴天髓補註」, 台北: 武陵出版社, 1999.
  2. 徐樂吾(編註), 「滴天髓徵義」, 台北: 武陵出版社, 2016.
  3. 劉伯溫(著), 「滴天髓輯要」, 台北: 瑞成書局, 1996.
  4. 任鐵樵 增註, 袁樹珊 選輯, 「適天髓闡微」, 臺北:武陵 出版有限公司, 2011.
  5. 水繞花堤館主, 「滴天髓新註」, 台北: 有林出版社, 2011.
  6. 구경회, 「적천수강해」, 서울: 동학사, 2013.
  7. 김기승.김현덕, 「적천수천미」, 다산글방, 2017.
  8. 김기승, 「과학명리」, 서울: 다산글방, 2016.
  9. 김기승.나혁진, 「명리학사」, 다산글방, 2017.
  10. 수요화제관주 著, 나명기 譯, 「완역 명학신의」, 서울: 드림엔비젼, 2013.
  11. 서락오 보주, 이무학 譯, 「적천수보주」, 서울: 삼하, 2001.
  12. 임철초 증주, 원수산 선집, 김동규 역, 「적천수천미」, 명문당,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