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갈등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종교적 방안에 관한 고찰 - 불교의 역사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ligious Options for Resolving Conflicts and Conflicts -Focusing on the historical cases of Buddhism-

  • Kim, sengsik (Majoring in Engaged Buddhism Dept. of Buddhist Studies, Joong-Ang Sang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 투고 : 2022.11.11
  • 심사 : 2022.11.30
  • 발행 : 2022.12.01

초록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our society is already one of disputes. Since circa 2010, the average number of lawsuits filed every year is upwards of six million cases, and resolving disputes through trials is already fully saturated. The functional roles of the court reflect that there are many lacking areas such as systems, tools, and procedures related to social integration. In addition, ADR, which is carried out in advanced capitalist nations to supplement the judicial functions, has also been implemented in our society for the past 60 years. However, for the reason why the usage rate of ADR did not increase for legal consumers, we cannot overlook government activities that did not make sufficient promotions related to the lack of awareness. In Korea, ADR is mainly composed of government-initiated types, and in particular, there is no ADR framework act that can play an integrated role. Furthermore, for the conciliation system of the court, over 80%of conciliation are conducted focusing on court of lawsuits, and legal basis and procedures between institutes are different for administrative ADR, and communication does not go smoothly, thus making it inefficient. Such examples cannot avoid being a background for criticism when considering the fundamental ideologies and beliefs of ADR. The Vinaya Pitaka of sangha related to ADR is a separate method for operating communities. This is the BDR (Buddhist Dispute Resolution) method that encompasses personal ethics, organizational ethics, harmony through various community gatherings, and adhikaranasamatha on the four issues that could occur in legal review procedures. This has become the sufficient background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for parisa sangha and gana sangha among individuals.

키워드

참고문헌

  1. 「마하승기율」 券7(「大正藏」 22, p.282下).
  2. 「사분율」 券5(「大正藏」 22, p.595上).
  3. 「오분율」 券3(「大正藏」 22, p.20下).
  4. 권수진, 「분쟁조정제도에 관한 법제정비 방안」, 「성균관법학」 제28권 제4호, 성균관대학교법학연구원, 2016.
  5. 권오민, 「부파분열과 파승」, 「불교연구」 제38집, 2013.
  6. 김상영, 「일본의 ADR(대체적 분쟁해결) 기본법에 대한 검토」, 「법학연구」 61(3), 2020.
  7. 김상영, 「ADR의 이념론」, 「財産法硏究」 제27권 제3호, 2011.
  8. 김성식, 「불교적인 대체적 분쟁해결(ADR) 방법 연구」, 중앙승가대학교 박사학위, 2021.
  9. 김연, 「법원이 관여하지 않는 특별 조정절차의 검토」, 「민사소송(한국민사소송법학회지)」 제14권 제1호, 한국사법행정학회, 2010.
  10. 김용길, 「국제분쟁 해결수단으로서 싱가포르 조정협약의 주요 쟁점」, 「중재연구」 제32권제1호, 한국중재학회, 2022.
  11. 김용길, 「한국의 조정산업 활성화 및 입법 제정의 필요성」, 「한국조정산업 활성화 어떻게 할 것인가?」, 국회입법 세미나 자료(국회의원회관), 2018.
  12. 김용길, 「중재합의 효력범위에 관한 고찰-대법원 2011.12.22. 선고 2010다76573 판결을 중심으로」, 「중재연구」 제23권 제2호, 한국중재학회, 2013.
  13. 김정천, 「佛敎 修行의 頭陀行 硏究」(동국대 박사학위), 2003.
  14. 대한상사중재원, 「중재50년사」, 2016.
  15. 신군재, 「ADR을 통한 전자상거래 분쟁해결방안에 관한 고찰」, 「국제상학」 제17권제2호, 한국국제상학회, 2002.
  16. 안성훈.오카자키 마유미, 「나이사이(內濟)제도에 대한 小考-일본 에도(江戶)시대의 전통적인 대체적 분쟁해결방법-」, 「피해자학연구」 제20권 제1호, 2012.
  17. 안성훈.심재우.조균석.김선혜, 「형사사건에서의 전통적 대체분쟁해결방안에 대한기초연구- 한.중.일의 대체적 분쟁해결방안 비교연구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18. 양경승, 「우리나라 ADR의 활성화방안과 기본법 제정을 위한 연구」, 언론중재위원회, 2010.
  19. 이수종, 「ADR의 사회통합적 기능 - 헌법상 재판청구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저스티스」, 2013.
  20. 이자랑, 「단사인(斷事人) 제도와 승가 분쟁 해결의 원칙:제2결집의 사례를 중심으로」, 「불교와 사회」 10권 1호, 2018.
  21. 이자랑, 「멸쟁건도」의 다수결 원칙(yebhuyyasika)을 통해 본 승가 분쟁 해결의이념」, 「선문화 연구」 제12집, 2012.
  22. 이자랑, 「화합승의 의미와 실현 방법에 관한 고찰」, 「불교학연구」 제52호, 2017.
  23. 조국현,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우리나라 조정산업의 진흥을 위한 연구-미국의사법중재 및 조정서(JAMS)와 미국 중재협회(AAA)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59권 제3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24. 조홍식, 「代案的 紛爭解決制度(ADR)의 經濟學 - 環境紛爭調停制度에 대한 評價를中心으로」, 「比較私法」 13.1, 2008.
  25. 조홍준, 「ADR의 社會統合的 機能」, 「저스티스」, 2013.
  26. 최석범, 「국가주도형 ADR과 민간주도형 ADR에 관한 연구」, 「仲裁硏究」 第20卷第3號,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