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and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미디어 방임적 중재 및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의 구조적 관계

  • 장지우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 김선희 (부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22.08.22
  • Accepted : 2022.12.05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and the over use of smart media in preschool children. Methods: Quant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to measure maternal parenting stress, smart media neglect mediation, and over use of smart media in preschool childre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neglectful smart media mediation i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was verified using the Amos 23.0 and SPSS 26.0 programs Results: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In addition, mother'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mediated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on preschooler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t role of maternal stress in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And maternal competence such as supervision and limit setting is an important role in preschool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and divers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reduce.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주, 심혜원 (2020). 양육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결혼만족도와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13(2), 23-50. https://doi.org/10.47801/KJIMH.13.2.2  
  2. 강보람, 이강이 (2018). 미디어사용시간과 부모의 미디어중재가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5(1), 1-23. https://doi.org/10.45284/kjhd.2018.25.1.1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2020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4. 권연정, 이승연 (2013). 만 2세반 영아를 둔 어머니들의 스마트기기 이용지도 양상과 어려움 및지원요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73-109.  
  5. 권혜림, 이완정 (2022). 디지털 환경에서 영유아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행과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1), 1-22.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1.001  
  6. 금정연, 정정희, 정효진 (2019).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놀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2), 75-97. https://doi.org/10.22154/JCLE.20.2.4  
  7. 김대웅, 김창숙, 박윤현 (2019). 공공 문화시설 및 여가시설 이용 편리성, 양육 스트레스, 유아 미디어 이용시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4(5), 1-18. https://doi.org/10.20437/KOAECE24-5-01  
  8. 김민석,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분석 및 부모 관련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2(1), 77-99.  
  9. 김선희, 윤재희 (2021). 영유아기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된 위험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5(3), 197-225. https://doi.org/10.32349/ECERR.2021.6.25.3.197  
  10. 김윤경, 김호정, 윤미경, 박주희 (2018). 유아의 스마트 기기 최초 이용시기 및 이용시간이 외현화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 개입행동의 조절효과.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6(6), 541-533. https://doi.org/10.6115/fer.2018.039  
  11. 김윤나, 박희숙 (2016).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4), 337-353.  
  12. 김은영, 임신일 (2021).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의 유튜브 시청 실태, 아동교육, 30(1), 79-101. https://doi.org/10.17643/KJCE.2021.30.1.04  
  13. 김은지, 전귀연 (2020).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자기효능감과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 경향성간의 관계: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이용지도와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이용시간의 이중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8(4), 59-79. https://doi.org/10.7466/JFBL.2020.38.4.59  
  14. 김은진 (2020). '유튜브 육아' 연구: 육아 과정에서 어머니의 유튜브 이용과 통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5(3), 41-85. https://doi.org/10.47020/JLC.2021.08.25.3.41  
  15. 김지선, 이강이 (2019).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스마트미디어 중재,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 사회적 유능감의 구조적 관계. 아동학회지, 40(6), 63-76. https://doi.org/10.5723/kjcs.2019.40.6.63  
  16. 김지은, 신나리 (2014). 유아기 어머니의 놀이성, 놀이지지신념 및 양육스트레스가 친밀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4), 571-585. https://doi.org/10.5934/kjhe.2014.23.4.571  
  17. 김진경, 강은영, 윤혜주 (2021).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6), 149-168. https://10.14698/jkcce.2021.17.06.149  
  18. 김진경, 윤혜주 (2020).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6), 53-7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053  
  19.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20. 김환남, 이선애, 이은경, 천재현, 김성희 (2014). 스마트미디어 노출 환경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4), 127-153.  
  21. 남경희 (201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미디어 중재역할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3(1), 117-137.   https://doi.org/10.16978/ECEC.2018.13.1.005
  22. 문경임 (2017).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다사용과 부모 관련 변인.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박라진 (2016). 유아의 실행기능 및 부모중재가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24. 박세령 (2021).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에 대한 개념화. 열린부모교육연구, 13(1), 213-237. https://doi.org/10.36431/JPE.13.1.11  
  25. 박선영 (2013). 아동의 스마트기기 중독성과 부모 중재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박소영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배병렬 (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제2판). 청람.  
  28. 서민영, 임은미 (2010).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게임중독경향과 인성특성의 관계. 아동교육, 19(4), 163-175.  
  29. 석민아, 문인경, 이병호 (2021). 코로나 19로 인한 부모의 가정보육 경험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6(3), 199-230. https://doi.org/10.20437/KOAECE26-3-08  
  30. 소혜진, 임성민, 조상연, 고민숙, 문진화 (2018).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의 변화: 2015-2016년과 2017년의 연구결과 비교. 대한소아신경학회지, 26(4), 251-262. https://doi.org/10.26815/jkcns.2018.26.4.251  
  31. 심숙영 (2009). 아동놀이와 뉴미디어 게임, 아동과 권리, 13(1), 107-129  
  32. 안수빈, 홍예지, 박영아, 이강이 (2020). 스마트기기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스트레스가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함께 사용여부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발달연구, 27(1), 185-205. https://doi.org/10.15284/kjhd.2020.27.1.185  
  33. 오주현, 박용완 (2019). 영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사용 실태 및 부모 인식 분석. 육아정책연구, 13(3), 3-26. https://doi.org/10.5718/kcep.2019.13.3.3  
  34. 윤대현 (2021. 05. 04). 자식에게 가장 큰 선물은 행복한 부모.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1/05/04/7AASWIZ7IFHWLDLIT6HO3R3N54/?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에서 2022년 11월 10일 인출  
  35. 윤정민, 홍정순 (201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다차원적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11(3), 151-174. https://doi.org/10.36431/JPE.11.3.8  
  36. 이금희, 김성재, 유혜진 (2020).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관련한 부모요인 규명: 체계적 고찰및 메타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0(3), 349-368. https://doi.org/10.4040/ jkan.19186  
  37. 이병호 (2012). 가정에서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에 관한 탐색연구. 유아교육학논문, 16(6), 511-532.  
  38. 이정림, 도남희, 오유정 (2013). 영유아의 미디어 매체 노출 실태 및 보호대책. 육아정책연구소.  
  39. 이현주, 채선미, 방경숙, 최희승 (2015).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문제행동및 어머니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2), 107-114. https://doi.org/10.4094/chnr.2015.21.2.107  
  40. 이혜미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부모와 또래집단의 중재유형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임명희, 박윤조 (2011).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발달과 영아특성변인, 어머니특성변인 간의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4), 57-82.  
  42. 장지우, 김선희 (202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 유아의 자기통제력 및 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정도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학회지, 41(1), 61-74. https://doi.org/10.5723/kjcs.2020.41.1.61  
  43. 전주혜 (2020).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의 지속적 예방을 위한 요인 탐구 : 스마트폰리터러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전초원 (2014).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유아의 단어 및 도형 기억과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정경미, 이경숙, 박진아, 김혜진 (2008).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Korean-Parenting Stress Index: KPSI) 의 표준화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3), 689-707.   https://doi.org/10.15842/kjcp.2008.27.3.007
  46. 정여주, 신윤정, 장유진, 고경희, 윤제현, 이도연, 김소아, 전보성 (2022). 청소년 게임이용문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아시아교육연구, 23(2), 421-445. https://doi.org/10.15753/aje.2022.6.23.2.421  
  47. 장채욱, 성창훈 (2016).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잠재 변인과 합성 점수의 추정방법 비교. 스포츠과학연구지, 29, 13-26.  
  48. 제정희 (2021).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와 과의존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최윤희 (2022). 어머니 우울 증상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스마트미디어 중재의 순차매개효과와 유아 발달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0. 하지영 (202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대상 스마트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13(3), 187-213. https://doi.org/10.36431/JPE.13.3.9  
  5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2016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미래창조과학부.  
  52. 홍정은, 홍수종, 이경숙 (2022). 24 개월 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특성 분석과 양육군집 탐색에 대한 연구.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15(1), 19-47. https://doi.org/10.47801/KJIMH.15.1.2  
  53.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ediatric Psychology.
  54. Beyens, I., Valkenburg, P. M., Piotrowski, & J. T. (2019).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arental mediation across early and middle childhood.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45(2), 226-250. https://doi.org/10.1093/hcr/hqy016  
  55. Braune-Krickau, K., Schneebeli, L., Pehlke-Milde, J., Gemperle, M., Koch, R., & von Wyl, A. (2021). Smartphones in the nursery: Parental smartphone use and parental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within parent-child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0-5 years): A scoping review.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42(2), 161-175. https://doi.org/10.1002/imhj.21908  
  56. Bremer, J. (2005). The internet and childre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Child and Adolescents Psychiatric Clinics, 14(3), 405-428. https://doi.org/10.1016/j.chc.2005.02.003  
  57. Clark, L. S. (2011). Parental mediation theory for the digital age. Communication theory, 21(4), 323-343. https://doi.org/10.1111/j.1468-2885.2011.01391.x  
  58. Christakis, E. (2018). The dangers of distracted parenting. The Atlantic, 322(1), 11-16.  
  59. Crum, K. I., & Moreland, A. D. (2017). Parental stress and children's social and behavioral outcomes: The role of abuse potential over tim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6(11), 3067-3078. https://doi.org/10.1007/s10826-017-0822-5  
  60. Dalope, K. A., & Woods, L. J. (2018). Digital media use in families: Theories and strategies for interventio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27(2), 145-158. https://doi.org/10.1016/j.chc.2017.11.001  
  61. Erickson, P. G. (1995) Harm reduction: What it is and is not, Drug and Alcohol Review, 14(3), 283-285, https://doi.org/10.1080/09595239500185361  
  62. Evans, G. W., Brooks-Gunn, J., & Klebanov, P. K. (2011). Stressing out the poor. Pathways, 23(2), 22-27. https://doi.org/10.4324/9780429494642-55  
  63. Jackson, L. A., Von Eye, A. Fitzgerald, H. E. Witt, E. A. & Zhao, Y. (2011). Internet use, videogame playing and cell phone use as predictors of children's body mass index(BMI), body weight,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and over all (1), self-esteem.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1), 599-604, https://doi.org/10.1016/j.chb.2010.10.019  
  64.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Guilford.
  65. Kuss, D. J. & Griffiths, M. D. (2012). Internet and gaming addic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neuroimaging studies. Brain Sciences, 2(3), 347-374. https://doi.org/10.3390/brainsci2030347  
  66. Livingstone, S., & Helsper, E. J. (2008).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Electronic Media, 52(4), 581-599. https://doi.org/10.1080/08838150802437396 
  67. Marlatt, G. A. (1996). Harm reduction: Come as you are. Addictive Behaviors, 21(6), 779-788. https://doi.org/10.1016/0306-4603(96)00042-1  
  68. MacCallum, R., Browne, M.,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149. https://doi.org/10.1037/1082-989X.1.2.130  
  69. Neuman, S. B. (1995). Literacy in the television age: The myth of the TV effect. Ablex.
  70. Sanner, C. M., & Neece, C. L. (2018). Parental distres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behaviors as mediato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7(2), 591-601. https://doi.org/10.1007/s10826-017-0884-4  
  71. Suarez-Alvarez, R., Vazquez-Bar io, T., & de Frutos-Torres, B. (2022). Parental Digital Mediation According to the Age of Minors: From Restraint and Control to Active Mediation. Social Sciences, 11(4), 178. https://doi.org/10.3390/socsci11040178  
  72. Raudaskoski, S., Mantere, E., & Valkonen, S. (2017). The influence of parental smartphone use, eye contact and 'bystander ignorance'on child development. In Media, family interaction and the digitalization of childhood. (pp. 173-184). Edward Elgar Publishing.  
  73. Rideout, V. (2014). Learning at home: Families' educational media use in America. In Joan Ganz Cooney Center at Sesame Workshop. Joan Ganz Cooney Center at Sesame Workshop.  
  74. Rodriguez, C. M. (2010). Parenr-child aggression; Association with child abuse potential and parenting style. Violence and Victims, 25(6), 728-741. https://doi.org/10.1891/0886-6708.25.6.728  
  75. Wartella, E., Rideout, V., Lauricella, A. R., & Connell, S. (2014). Revised parenting in the age of digital technology: A national survey. [Report for the center on media and Human development school of communication Northwestern University]. Northwestern University.  
  76. Warren, R., & Aloia, I. (2019). Parenting style, parental stress and mediation fo children's media use, Western Journal of Communication, 83(4), 483-500. https://doi.org/10.1080/10570314.2019.1582087  
  77. Wu, C. S. T., Fowler, C., Lam, W. Y. Y., Wong, H. T., Wong, C. H. M., & Yuen Loke, A. (2014). Parenting approaches and digital technology use of preschool age children in a Chinese community. Italian Journal of Pediatrics, 40(1), 1-8. https://doi.org/10.1186/1824-7288-40-44  
  78. Ziegenhain, U., & Deneke, C. (2012). Entwicklungspsychopathologische Voraussetzungen der Erlebensund Verarbeitungsweisenvon Kindern psychisch kranker Eltern. In M. Kolch, U. Ziegen-hain, & J. M. Fegert (Eds.). Kinder psychisch kranker Eltern. Herausforderungen fur eine interdisziplinare Kooperation in Betreuung und Versorgung (pp. 14-39). BeltzJuven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