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bout Mathematical Modeling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변화

  • Received : 2022.01.07
  • Accepted : 2022.01.25
  • Published : 2022.01.31

Abstract

Recently, as the educational paradigm shifts from teacher-centered to learner-centered, the active construction of knowledge of learners is becoming more important. Accordingly, classes using mathematical modeling are receiving attention. However, existing research is focused on teachers 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to preservice teach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mathematical modeling was examined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we looked at how positive experiences of mathematical modeling change their percep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had very little experience in mathematical modeling during their school day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s changed more positively than when a theoretical class on mathematical modeling was conducted, rather than when the experience of mathematical modeling was actually sh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the course of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습자의 능동적인 지식의 구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교사 또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연구의 내용과 결과들을 예비교사들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창시절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그들의 인식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학창시절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경험이 매우 적었으며,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론적인 수업을 진행했을 경우보다 실제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경험을 같이 했을 때 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봉(2016).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 35-53.
  2. 강옥기(2010). 수학적 모델링의 정교화 과정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1), 73-84.
  3. 고창수, 오영열(2015). 수학적 모델링 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347-370.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5. 김민경, 민선희, 강선미(2009). 초등교사들의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411-431.
  6. 김민성(2019).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대학원생들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239-262.
  7. 김선희(2005). 문제 중심 학습의 방법으로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고찰. 학교수학, 7(3), 303-308.
  8. 김선희, 김기연(2004).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포함된 추론의 유형 및 역할 분석. 학교수학, 6(3), 283-299.
  9. 김수미(1993). 중등학교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0. 김용석, 김소형, 한선영(2019).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의 태도 변화.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논문집>, 33(3), 231-254.
  11. 김윤정, 김민정(2015).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강점활용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7(2), 229-252. https://doi.org/10.17927/TKJEMS.2015.27.2.229
  12. 노경섭(2014).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13. 박선화(2015). 수학교과 핵심역량과 수학과의 성격 및 목표 시안.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정책 연구 공개 토론회, 17-40.
  14. 박진형(2017).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 의한 창의적 사고 촉진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7(1), 69-88.
  15. 박진형, 이경화(2013).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수학화의 기호학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2), 95-116.
  16. 손홍찬, 류희찬(2005). 함수 지도와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 스프레드시트의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15(4), 505-522.
  17. 송지준(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18. 신문승(2019). 능동적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초등 프로젝트기반학습의 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813-830.
  19. 신은주, 권오남(2001). 탐구지향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1(1), 157-177.
  20. 신은주, 이종희(2004). 모델링 과정에서 지각적, 인지적, 메타인지적 활동의 상호작용에 관한 사례연구. 학교수학, 6(2), 153-179.
  21. 신현성(2007). 모델링학습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의미변환에 대한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2), 419-430. https://doi.org/10.24231/RICI.2007.11.2.419
  22. 오영열, 박주경(2019). 초등수학에 적용된 수학적 모델링 과제 탐색. 한국초등교육, 30(1), 87-99. https://doi.org/10.20972/KJEE.30.1.201903.87
  23. 원태연(2009). SPSS 시각화통계자료분석. 홍릉과학출판사.
  24. 이순묵(1995). SPSS를 사용한 공통요인분석의 문제점. 교육평가연구, 8(1), 5-33.
  25. 이순문(2000).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6. 이순묵, 윤창영, 이민형, 정선호(2016). 탐색적 요인분석: 어떻게 달라지나?. 한국심리학회지, 35(1), 217-255.
  27. 이순아(2015). 한국과 미국의 예비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견해 차이 들여다보기: 문화교류 프로젝트의 온라인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8(2), 57-92. https://doi.org/10.17318/JAE.2015.18.2.002
  28. 이정표(2018). 학습자 중심 교육을 위한 초등교사 역할의 재개념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1), 39-58.
  29. 이종희, 이아름(2012).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3), 815-838. https://doi.org/10.24231/RICI.2012.16.3.815
  30. 주미경(1997). 모델링 지도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1), 53-61.
  31. 최경아(2017). 수학 교과 역량 관점에서의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선행 연구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2), 187-210. https://doi.org/10.30807/KSMS.2017.20.2.006
  32. 최윤진, 전하람(2017). 예비교사들의 교직 정체성 형성과정: 공교육과 사교육 경험의 성찰과 재구성. 교육학연구, 55(2), 77-115.
  33. 최지선(2017).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수학교육학연구, 27(2), 313-328.
  34. 최희선, 한혜숙(2018). 수학적 모델링 기반 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문제제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755-782.
  35. 홍진곤, 장보윤, 김경록, 진석언(2008), 초등학교 수학영재의 수학교과 선행학습 정도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6(3), 123-138.
  36. 황혜정(2007). 수학적 모델링의 이해-국내 연구 결과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9(1), 65-97.
  37. Biembengut, M. S., & Hein, N. (2013). Mathematical modeling: Implications for teaching. In Modeling Students' Mathematical Modeling Competencies (pp. 481-490). Springer, Dordrecht.
  38. Blum, W. & Ferri, R. B. (2009). Mathematical modelling: Can it be taught and learnt?. Journal of Mathematical Modelling and Application, 1(1), 45-58.
  39. Cirillo, M., Pelesko, J. A., Felton-Koestler, M. D., & Rubel, L. (2016). Perspectives on modeling in school mathematics. In C. R. Hirsch, & A. R. McDuffie (Eds.), Mathematical Modeling and Modeling Mathematics (pp. 3-16). Reston, VA: NCTM
  4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SSCCI: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CCSSM). Retrieved from http://www.corestandards.org/Math/
  41. Costello, A. & Osborne, J. (200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10, 1-9.
  42. Dembo, M. H. & Gibson, S. (1985).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173-184. https://doi.org/10.1086/461441
  43. Doerr, H. (2016). Designing sequences of model development tasks. In C. R. Hirsch, & A. R. McDuffie (Eds.), Mathematical Modeling and Modeling Mathematics (pp. 197-205).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4. Gann, C., Avineri, T., Graves, J., Hernandez, M., & Teague, D. (2016). Moving students from remembering to thinking: The power of mathematical modeling. In C. R. Hirsch, & A. R. McDuffie (Eds.), Mathematical Modeling and Modeling Mathematics (pp. 97-106).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5. Gould, H. T. (2013). Teachers' Conceptions of Mathematical Modeling (Doctoral dissertation). Ph.D, Teachers College, NY.
  46. Jennrich, R. I. & Sampson, P. F. (1966). Rotation for Simple loadings: Psychometrika, 31, 313-323. https://doi.org/10.1007/BF02289465
  47. Kelchtermans, G. (2005). Teachers' emotions in educational reforms: Self-understanding, vulnerable commitment and micropolitical liter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8), 995-1006. https://doi.org/10.1016/j.tate.2005.06.009
  48. NCTM. (1980). An agenda for action: Recommendations for school mathematics of the 1980'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49.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50. NCTM. (1991).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 Frank Swetz and J. S. Hartzler(Eds.). Reston. VA :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51.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52. Pollak, H. (2003). A history of the teaching of modeling, A History of School Mathematics, 1647-1672.
  53. Pollak, H. (2007). Mathematical modelling-a conversation with Henry Pollak. In W. Blum, P. Galbraith, H. W. Henn, & M. Niss (Eds.), Modelling and Ap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14th ICMI Study(pp. 109 -120). New York: Springer.
  54. Silver, E. A. (1993).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In N. Nohda & F. L. Lin (Eds.). Proceedings of the Seventeenth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cn, Vol.1(pp.66-85), Tsukuba, Japan.
  55. Stein, M. K. & Smith, M. S. (1998).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4), 268-275. https://doi.org/10.5951/mtms.3.4.0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