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level of awareness of dangerous accident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hazardous accidents at work and the possibility of dangerous accidents due to COVID-19 targeting the participating seniors who are active in the Senior Club,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job placement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measures to improve risk accidents that may occur in organizations in charge of job placement for the elderly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o prevent dangerous accid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16 senior clubs in Busan, and 425 of the collected 430 were ultimately u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a job-dedicated institution for the elderly generally perceived the possibility of occupational risk accidents and risk factors due to COVID-19 to be low.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hazardous accidents at work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uring the participation period,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dangerous accidents with COVID-19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assification and age of the participating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ject manager suggested creating a safety accident management record sheet, preparing a risk management manual, and establishing a risk management system refl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전담기관인 시니어클럽에 활동하고 있는 참여 노인을 대상으로 업무상 위험사고와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사고 발생 가능성을 실증 분석하여 위험사고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 전담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사고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위험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과 자료수집은 부산광역시 소재 16개 시니어클럽 참여 노인으로 하였고, 수거된 430부 중 최종적으로 425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노인일자리 전담기관 참여 노인은 업무상 위험사고 발생 가능성과 코로나-19로 인한 위험요인 발생 가능성은 대체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업무상 위험사고 발생 가능성은 참여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코로나-19와 위험사고 발생 가능성은 참여노인 구분과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담당자는 안전사고 관리기록지 작성, 위험관리 매뉴얼 마련,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위험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