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구들의 기원지(起源地) 재고(再考)

Reconstruction of the Origin of the Gudle

  • 투고 : 2020.09.29
  • 심사 : 2020.10.31
  • 발행 : 2021.03.30

초록

이 글은 기존에 알려진 구들의 기원지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구들의 기원지는 2006년 송기호에 의해 여러 지역에서 발생하였다는 다원설이 제기되었으며, 현재까지 가장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 가설이 나오고 10년이상 지나면서 다원설은 오히려 구들의 계통과 발달 과정을 밝히는데 혼란을 야기할 뿐 아니라 확대 재생산되고있다. 다원설에서 구들의 기원지로 제시된 곳은 중국 동북-한반도 서북한지역(세죽리-연화보유형문화), 한중러 삼국의 국경이 접하는 지역 일대-연해주 남부지역(단결-크로우노프카문화), 자바이칼-몽골 북부지역(흉노문화) 등 세곳이다. 이들 지역은 서로 거리가 멀고 문화적으로도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설정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그동안 독자적인 발생지로 이해되어왔다. 물론 세죽리-연화보유형문화, 단결-크로우노프카문화, 흉노문화 사이에 상호 연관성을 찾기 어렵다는 점은 충분히 인정된다. 하지만 다원설에서 주장하듯, 구들이 여러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했다고 보기에 이들 지역에서 나타나는 구조와 형태는 물론이고 결합되는 물질자료까지 대체로 일치하는 것은 의심스러운 점이다. 게다가 출현 시기와 지역 역시 기원전 3~2세기의 동아시아지역에만 한정되는 것도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구들의 구조와 기술적 특징은 열효율을 높여주는 폐쇄 구조의 아궁이, 축열을 해주는 고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배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충분한 기술적 이해 없이 아무나 독자적으로 만들 수 없는 복합적인 기술 구조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구들은 아궁이, 고래, 배연구조 중 하나라도 갖춘 시설을 사용하던 곳에서 발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구들의 기원지로 알려진 지역에서 선행하는 폐쇄 구조의 아궁이나 배연시설을 갖춘 노(爐)가 존재하거나 발달과정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원설에서 기원지로 알려진 세 곳 모두 이러한 구조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 지역에서 구들은 기존에 없던 토기 기종, 철제 농공구류 등 새로운 물질문화 요소와 함께 급격히 등장할 뿐이다. 결국 이들 지역은 구들을 발명할 수 있는 조건이 전혀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세지역 모두 구들의 기원지가 아니라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verify the existing theory that districts occurred independently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Song Giho (2006) claims that the origin of the Gudle, is an example of polygenism that occurred in various areas in the world,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This argument has been corroborated by a large number of research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lineage of Gudle and its process of development, if a theory of polygenism is continued to be taken into account. The place which is targetet by this theory is the North-We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south of Primorsky Krai, and in the northern area of Zabaikal-Mongolia. This means that these areas developed independently because they were far from each other and had no direct cultural relationship. However, the structure of Gudle, shape, and assemblages of earthenware it cannot be explained by polygenism, as they are the same in every place. Furthermore, it is also questionable as to the timing and region of emergence of the culture in East Asia over a limited time frame of 3-2 BC. Gudle are formed by furnaces with roofs and walls, Gorae, which saves heat, and it has smoke ventilation that draws smoke out. Therefore, the Gudle is not a structure that anyone can make without advanced technical understanding. So far, the only facility with furnaces and smoke ventilation that appear before the Gudle is Buttumak. Thus, the Gudle is likely to have been invented in the place where Buttumak were used. The area as known for the origin of Gudle was observed to verify the existence of the Buttumak's structure, but none of these facilities were found. The Gudle suddenly appeared within a new culture that had never existed before. That means that none of the three places ha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Gudle could be invented, so it must have been introduced from outside. In conclusion, the three places that I mentioned above are not the origin of Gudle. So, the origin of Gudle has to be found elsewhe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욱, 2009, 동아시아 고고학.고대사 연구 속에서 옥저문화의 위치-옥저.읍루 문화권의 제기를 중심으로-, 고고학으로 본 옥저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 강인욱, 2010, 기원전 4-서기 1세기의 고고학 자료로 본 흉노와 동아시아 -흉노학의 정립을 위한 토대 구축을 겸하여-, 중앙아시아연구 15, 중앙아시아학회.
  3. 강인욱, 2012, 북흉노의 국가 형성과 동이 세계로의 영향, 흉노와 그 동쪽의 이웃들, 국립중앙박물관.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한국고고학사전.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한국고고학 전문사전 -청동기 시대편 -.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한중철기자료집I- 중국 동북지역 출토 철기.
  7. 국립중앙박물관, 2008b, 몽골 흉노 무덤 자료집성, 도서출판 성림.
  8. 김남응, 2004, 문헌과 유적으로 본 구들 이야기 온돌 이야기, 단국대학교출판부.
  9. 김동훈, 2005, 韓國 터널式 爐施設에 관한 試論 : 鐵器時代와 三國時代를 中心으로 ,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우, 1964, 세죽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2), 고고민속 4.
  11. 김정문, 1964, 세죽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1), 고고민속 4.
  12. 김재윤, 2009, 동북한과 중국 연변지구의 초기 철기시대문화, 고고학으로 본 옥저문화, 동북아역사재단.
  13. 김재윤, 2016, 한중러 접경지역 철기시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범위에 대한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제93호, 한국상고사학회.
  14. 나선민, 2016, 中西部地域 原三國-漢城期 百濟 시루(甑) 硏究,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노브고라도바, E. A.(정석배 역), 1995, 蒙古의 先史時代, 학연문화사.
  16. 보스트레초프, 2009, 크로우노프카문화를 중심으로 본 연해주 초기철기시대 농경의 확산, 철기시대 한국과 연해주, 주류성출판사.
  17. 브로댠스키, D. L.(鄭惜培 譯), 1996, 沿海州의 考古學, 學硏文化社.
  18. 니콜라이 N. 크라딘, 2011, 이볼가(Ivolga) 성지 유적의 예를 통해 본 흉노 제국 내 정착민, 한국상고사학보 71호, 한국상고사학회.
  19. 사와다 아사오(김숙경 옮김), 2007, 흉노 -지금은 사라진 고대 유목국가 이야기, 아이필드.
  20. 송기호, 2006, 한국 고대의 온돌-북옥저, 고구려, 발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1. 수보티나, A., 2005, 鐵器時代 韓國과 러시아 沿海州의 土器文化 比較硏究-硬質無文土器를 中心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신영훈, 1997, 우리문화 이웃문화, 문학수첩.
  23. 양시은.G. 에렉젠, 2016, 몽골지역 흉노 고분의 최신 연구 성과, 제40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24. 오강원, 2016, 기원전 3-1세기 中國東北과 西北韓地域의 物質文化와 燕.秦.漢, 44회 한국상고사학회 학술발표회 -원사시대 사회문화 변동의 본질-, 한국상고사학회.
  25. 오강원, 2017, 초기철기시대 동요하 중상류역-제2송화강 하류역 남안 장각두형토기 공반 문화의 출현과 배경, 동북아 철기시대 토기제작의 전통과 변용,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문화심층연구 공동연구팀.
  26. 오승환 2008, 부뚜막의 구조와 이용, 취사의 고고학, 서경문화사.
  27. 李炯周, 2001, 韓國 古代 부뚜막施設 硏究, 忠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8. 李弘鍾, 1993, 부뚜막施設의 登場과 地域相, 嶺南考古學 12, 嶺南考古學會.
  29. 林潤美, 1989, 韓國先史時代爐址 硏究, 崇實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30. 에렉젠, G., 2018, 3절 몽골의 판석묘문화와 찬드만문화, 북방고고학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엮음, 진인진.
  31. 에렉젠, G. & 양시은, 2017, 흉노(몽골의 첫 번째 유목제국, 흉노의 문화유산), 진인진.
  32. 유은식, 2006, 두만강유역 초기철기문화와 중부지방 원삼국문화, 崇實史學 第19輯, 崇實大學校 史學會.
  33. 유은식, 2015, 동북아시아 초기 쪽구들의 발생과 전개, 고고학 14-3호, 중부고고학회.
  34. 林澐(복기대 역), 2013, 4) 단결문화에 대한 논의, 북방고고학 논총, 학연문화사.
  35. 장경호, 1992, 韓國의 傳統建築, 문예출판사.
  36. 장윤정, 2012, 흉노 마구의 확산과 고대 동아시아 기마문화의 수용, 흉노와 그 동쪽의 이웃들, 국립중앙박물관.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37. 정찬영, 1966, 우리나라 구들의 유래와 발전, 고고민속 4호,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38.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1990, 조선유적유물도감-고조선,부여,진국 편- 2.
  39. 朱南哲, 1987, 온돌과 부뚜막의 고찰, 文化財 12호, 文化財管理局.
  40. 지병목, 1999, 시베리아 바이칼호 연안지역의 청동기문화, 國史館論叢 85, 국사편찬위원회.
  41. 崔秉鉉, 1998, 原三國土器의 系統과 性格, 韓國考古學報 第38輯, 韓國考古學會.
  42. 한영희, 1983, 주거생활, 한국사론 13上, 국사편찬위원회.
  43. 홍형우, 2008, 두만강유역 및 연해주 철기문화의 발생과 전개, 21세기의 한국고고학, 주류성.
  44. 홍형우, 2009, 연해주 초기철기시대의 연구 현황과 과제, 철기시대 한국과 연해주, 주류성.
  45. 臼杵 勳, 2004, 鐵器時代の東アジア, 同成社.
  46. 大貫靜夫, 1999, 東アジアの考古学-世界考古學.
  47. 桝田 治, 2004,竈排煙考, 堀田啓一先生古稀記念 獻呈論文集, 堀田啓一先生古稀記念 獻呈論文集作成委員會.
  48. 王增新, 1964, 遼寧撫順市蓮花堡遺址發掘簡報, 考古 6期.
  49. 村上恭通, 1987, 東アジアの初期鐵器時代, 古代文化 39-9, 古代學協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