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oldest Maehyang-bi (埋香碑) of Memorial Inscriptions existing on record; Yeong-am's 'Jeongwon (貞元)' Stone Monument

현존 최고(最古)의 매향비(埋香碑): 영암 정원명(貞元銘) 석비(石碑)

  • Sung, Yungil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0.09.29
  • Accepted : 2020.10.28
  • Published : 2021.03.30

Abstract

Yeong-am's 'Jeongwon (貞元)' stone monument, designated as the Jeollanam-do Cultural Heritage, is considered to be the oldest of the epigraphs in Jeollanam-do. Immediately after the discovery, the possibility of it being a Maehyangbi of Memorial Inscriptions was mentioned and attracted attention. However, there is an absolute age of the 'Jeongwon (貞元) of 2 years' (786), so despite it is a relatively early epigraph (金石文), there are not many papers on the theme related to this stone monument. I believe that this stone monument is a Maehyangbi (埋香碑). While reviewing and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 I decoded the text from the 42nd character of the 4th line. As a result of the review, that was conducted, it was confirmed that this stone monument is truly a Maehyangbi (埋香碑). In particular, it was recorded in the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ongguk-myungsanggi (東國名山記) that the letters of the Maehyangbi (埋香碑) are not recognizable. However, it is clearly stated that this stone monument is a Maehyangbi (埋香碑). Although there is no common expression for 'bury (埋)' or 'incense burial (埋香)' in the traditional Maehyangbi (埋香碑), which were popular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it can be seen that it is a Maehyangbi (埋香碑) from the words "hide (呑藏)" and "10 bundles of fragrant incense (合香十束)" that are engraved on the stone monument with the name 'Jeongwon.' In other words, it is thought that it meant 'hide (呑藏)' instead of 'bury (埋)'. Circumstantial evidence for the monument of Jingamseonsa (眞鑑禪師), built in 888, contains the an epigraph from the Unified Silla Era. There is a phrase on it that says 'Plant incense on the shore (海岸植香)' on the monument of Jingamseonsa (眞鑑禪師), and it conveys its meaning without using the character 'bury (埋)'. As a result of the absence of the character 'bury (埋)' on the stone monument with the name 'Jeongwon', it is not considered as a Maehyangbi (埋香碑). However, there is evidence that the stone monument with the name 'Jeongwon (貞元)' is in fact a Maehyangbi (埋香碑) and it is also in the Geumpyoseok (禁標石; Forbidden Stone) around Gukjangsaeng (國長生) and at the entrance of Dogapsa Temple (道甲寺). The letters written on the gold sign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charcoal used to burn incense (香炭) at the royal tombs of King Jeongjo (正祖) was produced around at Dogapsa Temple (道甲寺) in Wolchulsan (月出山). Since the charcoal used to burn incense (香炭) is naturally related to incense (香), it has been shown that the area around Wolchulsan, where Dogapsa Temple is located, has a long history related to incense (香). The letters visible on the stone monument, the record of Dongguk-myungsanggi (東國名山記)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letters on the Geompyoseok (禁標石; Forbidden Stone), all show that the stone monument with the name 'Jeongwon (貞元)' is a Maehyangbi (埋香碑).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arliest Maehyangbi (埋香碑) in existence is the Maehyangbi (埋香碑) in Yeongam (靈巖) Ippam-ri (笠巖里), which has two dates from 1371 at the end of Goryeo and 1410 at the beginning of Joseon, the stone monument with the name 'Jeongwon' which was set up in 786, would be the oldest Maehyangbi (埋香碑) that we know of. In addition, there is a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Maehyangbi (埋香碑) is proven in the record of Dongguk-myungsanggi (東國名山記), a document from the late Joseon period.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영암 정원명(貞元銘) 석비(石碑)는 전남지역 소재 금석문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발견 직후부터 매향비의 가능성이 언급되어 더욱 주목되었다. 하지만 정원(貞元) 2년(786)이라는 절대 연대가 있어 비교적 이른 시기의 금석문임에도 불구하고 이 석비를 주제로 한 단독 논고는 많지 않다. 필자는 이 석비에 대한 기존 연구 성과를 검토하면서 3D 스캔 자료, 1995년 탁본 자료, 국립광주박물관 소장 탁본을 기초로 하여 4행 42자의 명문을 다시 판독하였다. 검토 결과 이 석비는 매향비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 문헌인 『동국명산기(東國名山記)』에 매향(埋香) 입석(立石)이나 글자를 알아볼 수 없다고 기록되어 이 석비가 매향비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고려 말~조선 초의 현존 매향비에 자주 산견되는 '매(埋)' 혹은 '매향(埋香)'이라는 표현은 없으나, '탄장(呑藏)'과 '합향십속(合香十束)'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는 점에서 매향비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매(埋)'의 의미를 '탄장(呑藏)'으로 대신 표현하였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한 방증 자료는 남북국시대 금석문인 888년 건립의 진감선사 대공탑비이다. 여기에는 '해안식향(海岸植香)'이라는 표현이 있어 '매(埋)'자를 쓰지 않아도 그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정원명 석비에 '매(埋)'자가 확인되지 않는다고 하여 매향비가 될 수 없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정원명 석비가 매향비라는 방증 자료는 도갑사 어귀에 있는 국장생(國長生) 주변 금표석(禁標石)의 명문에도 있다. 금표석의 명문은 조선 후기 중흥의 군주였던 정조의 능, 즉 건릉(健陵)에 사용되는 향탄(香炭)을 월출산 도갑사 주변에서 마련하였을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다. 금표석에 새겨진 '향탄(香炭)'은 당연히 향(香)과도 관련 있기 때문에 예전부터 도갑사가 있는 월출산 주변 지역이 향(香)과 관련되어 오래된 역사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석비에 보이는 명문, 조선후기 『동국명산기(東國名山記)』의 기록, 금표석의 명문 등, 이 모든 것이 정원명 석비가 매향비임을 알려주고 있다. 실물로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매향비가 고려 말 1371년과 조선 초 1410년 두 개의 연대를 보이고 있는 영암 입암리 매향비임을 고려할 때, 786년 건립의 정원명 석비는 조선 후기 문헌과 그 문헌을 증명하는 실물로서, 우리나라 최고(最古) 매향비라는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東國名山記.
  2. 新增東國輿地勝覽.
  3. 擇里志.
  4. 戶口總數.
  5. 강삼혜, 2014, 염거화상탑지와 탑에 대한 고찰, 선림원종.염거화상탑지, 국립춘천박물관, p.152.
  6. 姜炫求, 1991, 道岬寺의 國長生 銘文, 南佛會報 창간호, 南道佛敎文化硏究會, pp.12-18.
  7. 姜炫求, 2001, 道岬寺 國長生, 불교문화연구 8, 南道佛敎文化硏究會, pp.51-58.
  8. 국립광주박물관.남도불교문화연구회, 2020, 남도 불교 천년의 증언, p.295.
  9. 金京洙 編著, 1995, 영산강 삼백오십리, 향지사, p.199.
  10. 김창호, 2003, 貞元二年銘猪坪靈巖鳩林里碑의 검토, 梨花史學硏究 30, pp.79-85.
  11. 변남주, 2010, 前近代 榮山江 流域 浦口의 歷史地理的 考察, 목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66.
  12. 성균관대학교박물관, 2008, 新羅 金石文 拓本展-돌에 새겨진 신라인의 삶, p.23.
  13. 성춘경, 1988, 月出山의 佛敎美術, 月出山-바위 文化 調査, 全羅南道.光州民學會, p.118.
  14. 楊在星, 2009, 硏經齋 成海應의 山水記 硏究-東國名山記를 중심으로-, 嶺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p.85-87.
  15. 吳允熙, 1999, 內浦地方의 埋香碑, 史學硏究 58.59, p.663.
  16. 윤선태, 2005, 新羅 中代末-下代初의 地方社會와 佛敎信仰結社, 新羅文化 26, pp.113-135.
  17. 윤여정, 2009, 대한민국 행정지명 제1권 전남.광주편, 향지사, p.554.
  18. 이계표, 2000, 靈巖 貞元銘 石碑 校勘, 불교문화연구 7, 南道佛敎文化硏究會, p.17.
  19. 李鐘哲.吳美順.宣英蘭, 1986, 靈岩地方의 民俗資料, 靈巖의 文化遺蹟, 國立木浦大學校博物館.全羅南道.靈岩郡, pp.337-339.
  20. 李海濬, 1983, 埋香信仰과 그 主導集團의 性格, 金哲埈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p.377.
  21. 李海濬, 1988, 전남지방 발견의 埋香資料와 그 성격, 全南文化財 창간호, p.125-150.
  22. 全羅南道, 1990, 全南金石文, p.205.
  23. 鄭炅日, 1993, 麗末鮮初의 埋香碑 硏究,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43.
  24. 蔡雄錫, 2002, 여말선초 향촌사회의 변화와 埋香활동, 歷史學報 173, pp.95-125.
  25. 형광석, 2009, 매향비를 통해서 본 고대의 상대포, 동아시아의 고대 포구와 상대포, 영암군.사)왕인박사현창협회, pp.154-159.
  26. 형광석, 2010, 영암의 매향비와 주요 포구를 통해서 본 고대의 상대포에 관한 연구, 韓國島嶼硏究 22-3, pp.25-41.
  27. 황수영 편, 1996, 韓國古代金石文資料集 3, p.304.
  28. 황호균, 2000, 開仙洞 石燈 銘文考, 불교문화연구 7, 南道佛敎文化硏究會, p.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