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 15호분에서 출토된 마구류인 입주부운주와 행엽 18건 19점을 분석하였다. 입주부운주와 행엽은 마구 장신구로 실용성보다는 신분 과시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는데 가야문화권 내 모든 고분에서 출토되고 있으므로 각 문화권 제작 기법 및 원료 산지를 비교할 수 있는 유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입주부운주와 행엽의 부위에 따른 제작 기법 및 원료 산지를 확인하여 5~6세기로 추정되는 비화가야의 금제 유물 제작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입주부운주는 순구리로 제작되었으며, 표면에 금(Au)·은(Ag)·수은(Hg) 등이 함께 검출되어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하였음이 확인된다. 어린문, 편원어미형 행엽의 분석 결과 바탕층(철)-중간층(구리)-도금층(금·은)이 확인되며, 구리(Cu)와 표면 금(Au)·은(Ag) 도금층은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한 철지금동판장 기법으로 확인된다. 심엽형 행엽은 바탕 금속에서는 철(Fe), 표면층에서는 은(Ag)이 주성분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철지은장 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바탕 금속과 도금층은 원두정을 이용해 고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창녕에서 출토된 마구류 19점의 원료 산지는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와 마부치히사오(馬淵久夫), 중국 납동위원소비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결과 보요(2점) 및 어린문 행엽(1점)은 한반도 남부 태백산분지의 구리 광석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16점은 중국의 구리 광석을 원료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analyzed 19 samples of harness fittings and pendants, which were excavated in Tomb No. 15 in Songhyeon-dong, Changnyeong. Harness fittings and pendants are used for ostentation, rather than practicality, and were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Gaya culture. So, they are considered artifacts that compar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raw material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venience studies of Bihwa Gaya, which is estimated to be from the 5th to 6th centu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harness fittings were made of pure copper and were gilded with Au·Ag alloys on their surfaces. Hg was detected together and plated with a mercury amalgam method. As a result of the pendant (fish scales-pattern, oval and fish-tail shape), analysis showed that Fe in the background metal, Cu in the middle layer, and Au and Ag on the surface were the main components. The method of adhesion between Cu and Au·Ag gilded layers are plated by a mercury amalgamation method. So, it was identified by the gilt-iron·gold·bronze technique. Since the pendant (heart shaped) is found to be the main component of Fe in the background metal and Ag in the surface layer, the metal was made gilt-iron·silver technique. The background metal and gilding were additionally fixed using a rivet. The raw materials of 3 harnesses excavated from Changnyeong are plotted in zone 2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nd 16 harnesses were plotted in Chinese copper ore by Mabuchi Hishao in the Chinese Penins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