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historical study of the Large Banner, a symbol of the military digni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 후기 무위(武威)의 상징 대기치(大旗幟) 고증

  • JAE, Songhee (Dept. of Fashion Industry, Graduate School of Future Industry Converg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 KIM, Youngsun (D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tudie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제송희 (서울여자대학교 미래산업융합대학원 패션산업학과) ;
  • 김영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대학 무형유산학과)
  • Received : 2021.09.11
  • Accepted : 2021.10.31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The Large Banner was introduc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with a new military system. It was a flag that controlled the movement of soldiers in military training. In addition, it was used in other ways, such as a symbol when receiving a king in a military camp, a flag raised on the front of a royal procession, at the reception and dispatch of envoys, and at a local official's procession. The Large Banner was recognized as a symbol of military dignity and training rites. The Large Banner wa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in the context of two different types of decorations. Type I includes chungdogi, gakgi and moongi. Type II includes grand, medium, and small obangi, geumgogi and pyomigi. Each type is decorated differently for each purpose. The size of the flag is estimated to be a square of over 4 ja long in length. Flame edges were attached to one side and run up and down The Large Banner used the Five Direction Colors based on the traditional principles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 pattern of the Large Banner is largely distinguished by four. The pattern of large obangi consists of divine beasts symbolizing the Five Directions and a Taoism amulet letter. The pattern of medium obangi features spiritual generals that escort the Five Directions. The pattern of small obangi has the Eight Trigrams. The pattern of moongi consists of a tiger with wings that keeps a tight watch on the army's doors. As for historical sources of coloring for Large Banner production, the color-written copy named Gije, from the collection of the Osaka Prefect Library, was confirmed as the style of the Yongho Camp in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and it was also used for this essay and visualization work. We used Cloud-patterned Satin Damask as the background material for Large Banner production, to reveal the dignity of the military. The size of the 4 ja flag was determined to be 170 cm long and 145 cm wide, and the 5 ja flag was 200 cm long and 175 cm wide. The conversion formula used for this work was Youngjochuck (1 ja =30cm). In addition, the order of hierarchy in the Flag of the King was discovered within all fla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above historical study, the two types of Large Banner were visualized. The visualization considered the size of the flag, the decoration of the flagpole, and the patterns described in this essay to restore them to their original shape laid out the 18th century relics on the background. By presenting color, size, material patterns, and auxiliary items together, it was possible not only to produce 3D content, but also to produce real products.

대기치는 임진왜란 중에 새로운 군사 제도와 함께 도입된 깃발이다. 군사 훈련에서 표식으로 세워 군사들의 움직임을 통제하거나 상급자를 영접하기 위해 세우던 사방 4자 이상의 큰 깃발로 군영에서 국왕을 영접할 때 국왕 행차 앞에 세우는 어전 대기치, 사신 영접과 파견, 지방관의 행차 등에 다양하게 쓰였다. 군사 훈련권을 상징하는 대기치를 통해 무위를 과시하는 사회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대기치의 깃대 장식을 영두·주락(상모)·운봉을 갖춘 I유형과 영두·주락·치미를 갖춘 II유형으로 나누어 형식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I유형에는 청도기·각기·문기가, II유형에는 대·중·소 오방기와 금고기·표미기가 속하는데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장식을 달리하였다. 깃발의 크기는 네 변이 4자 이상의 정사각형에 상하와 세로 한 면에 화염각을 달아 세로가 약간 긴 정사각형에 가까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기치는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오방색을 기본으로 활용하였다. 대기치의 문양은 오방을 상징하는 신수와 도교 부적 글자를 결합한 대오방기, 오방을 호위하는 신장들을 그린 중오방기, 팔괘문을 그린 소오방기, 군문을 엄격히 지키라는 뜻의 익호 문양의 문기로 대별된다. 대기치 제작을 위한 채색 사료로 오사카부립도서관 소장품 컬러 필사본 『기제』를 18세기 중후반의 용호영의 견식으로 비정하고 본 논고 서술과 시각화 작업에서도 중요하게 활용하였다. 대기치의 바탕 재료는 군권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수입 운문대단을 썼다. 크기는 영조척 1자(30cm)를 적용하여 4자 깃발은 세로 170cm, 가로 145cm, 5자 깃발은 세로 200cm, 가로 175cm로 확정하였다. 아울러 국왕 의장기 중 대기 > 중기 > 대기치로 조선 후기 전체 깃발 안에서의 위계 질서를 확인하였다. 위의 문헌 및 회화 분석을 통한 고증과 유물 자료를 토대로 두 유형으로 나눈 대기치를 시각화하였다. 시각화에서는 본 논고에서 고증한 깃발의 크기, 깃대 장식, 깃발별 문양 장식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깃발의 바탕은 운문대단으로 18세기 운보문단 유물에 표현된 운문과 보문 문양을 제시하여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고자 하였다. 색상과 크기, 재질의 문양, 부대물품 등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3D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실물 제작까지 가능하도록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1년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연구 개발 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References

  1. 「경국대전(經國大典)」
  2. 「국조속오례서례(國朝續五禮序例)」
  3. 「기제(旗制)」
  4. 「기효신서(紀效新書)」
  5. 「만기요람(萬機要覽)」
  6. 「병학지남(兵學指南)」
  7. 「병학지남연의(兵學指南演義)」
  8. 「선조실록」
  9. 「속대전(續大典)」
  10. 「속병장도설(續兵將圖說)」
  11. 「승정원일기」
  12. 「육전조례(六典條例)」
  13.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14. 「인조실록」
  15. 「일성록」
  16. 「춘관통고(春官通考)」
  17. 「현종실록」
  18. 「화기도감의궤(火器都監儀軌)」
  19. 경기문화재단, 2005, 「국역증보판 화성성역의궤 (상)」, p.35.
  20. 국립고궁박물관, 2006, 「조선 왕실의 가마」, pp.37, 45.
  21. 국립고궁박물관, 2008, 「수자기(帥字旗) - 136년 만의 귀환」, p.15.
  22. 국립고궁박물관, 2018, 「왕실문화도감 - 의장」, p.146.
  2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독일 라이프치히그라시 민속박물관 소장 한국 문화재」, pp.511~ 517.
  24. 국방군사연구소, 1995, 「兵學指南演義 (I)」, pp.15~18, 91~158.
  25.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1, 「紀效新書 (上)」
  2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3, 「紀效新書 (下)」.
  27. 김석형 역, 2001, 「동국병감.병학지남」, 여강출판사.
  28. 원창애 외 역주, 2017, 「역주 훈국등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p.159.
  29. 柳成龍 著, 朝鮮史編修會 編, 1936, 「鎭管官兵編伍冊殘卷」, pp.8, 40~42.
  30. 육군박물관, 2014, 「형명」.
  31. 육군사관학교 한국군사연구실, 1977, 「韓國軍制史 - 近世朝鮮後期篇」, 육군본부, pp.14~15.
  32. 김종수, 1994, 「17세기 訓鍊都監 軍制와 都監軍의 활동」, 「서울학연구」 2, pp.157~166.
  33. 노영구, 2002, 「朝鮮 後期 兵書와 戰法의 연구」,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34. 노영구, 2008, 「조선 후기 漢城에서의 閱武 시행과 그 의미 - 大閱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2, pp.3, 13~14, 22.
  35. 노영구, 2016, 「일본 오사카부립도서관 소장 '기제(旗制)'의 체재와 내용상 특징」, 「민족문화연구」 71, pp.439~447.
  36. 노영구, 2017, 「조선 후기 전술 변화와 중앙 군영의 편제 추이」, 「군사연구」 144, pp.34~36.
  37. 노영구, 2020, 「군사 훈련과 군사 의례」, 서울역사박물관, 「한양의 삼군영」, pp.110~117.
  38. 노영구.권병웅, 2015, 「조선 후기 의궤 반차도에 나타난 군병 배치 및 군사용 깃발의 표현 양식」, 「역사와 실학」 56, pp.109~136.
  39. 박정애, 2020, 「19세기 京華世族의 學藝 性向과 實景圖 향유 양상 - 洪奭周와 韓章錫 가문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38, pp.178~179.
  40. 박금수, 2013, 「조선 후기 진법과 무예의 훈련에 관한 연구 - 훈련도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박사학위논문.
  41. 박흥수, 1967, 「李朝 尺度에 관한 연구」, 「대동문화연구」 4, p.221.
  42. 이경희.이은주, 2015, 「조선 후기 왕세자 의장기의 크기와 재료에 관한 연구」, 「韓服文化」 18(4), pp.67-81.
  43. 이민정.박경자.안인실, 2019, 「조선 후기 면제갑주(綿製甲冑) 문양에 대한 연구 I.II」, 「복식」 69(6), 69(7), pp.113~135, 51~71.
  44. 이은주.제송희, 2020, 「1795년 정조의 화성 城操와 <서장대 야조도> 비교 분석」, 「민족문화」 56, pp.439~444.
  45. 이종봉, 2019, 「韓.中.日 近世 時期 度量衡制 比較 硏究」, 「역사와 경계」 110, p.433.
  46. 제송희, 2016, 「조선 후기 관원 행렬의 시각화 양상과 특징」,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39(3), pp.7~47.
  47.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http://kostma.korea.ac.kr/
  48. 국립고궁박물관 https://www.gogung.go.kr/
  49. 국립중앙도서관 원문정보DB https://nl.go.kr/
  50.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
  51.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http://kyujanggak.snu.ac.kr/
  52. 디지털 장서각 http://jsg.aks.ac.kr/
  53. 여강출판사 www.krpia.co.kr/
  54.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시대 법령자료 http://db.history.go.kr/law/
  55.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