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tructure of a Local Prison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comparison of excavation sites and antique maps

조선시대 지방 옥(獄) 구조에 관한 고찰 - 발굴 유적과 고지도 비교를 중심으로 -

  • LEE, Eunseok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1.09.27
  • Accepted : 2021.11.03
  • Published : 2021.12.30

Abstrac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on a local fortress (eupseong) in the Joseon Dynasty, but the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prison (獄), which is part of the internal government, has not been conducted properly. Since the prison was first discovered in Gyeongju in 1997, there has been a necessity for research on the deployment and structure of the prison. This includes the office where jailers worked and had night duty and also the enclosure that keeps the prisoners inside. But the research came to a standstill because there was no comparative data. However, compared to the more recent findings of the Yeonil Prison and the Gonju Prison, we can identify that the structure was built during the early to the late Joseon Dynasty. King Sejong designed the standard prison blueprint called Anokdo (犴獄圖) in 1426 to manage prisoners nationwide and revised it once in 1439 to give better treatment during the winter and summer seasons. The Yeonil Prison operated from 1421 to 1743 and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isons during the early to mid-Joseon period. It was very similar to the Gyeongju Prison on a smaller scale, which was operat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wo main structures, one east and one west, and a circular fence. This structure was maintained even in the Gongju Priso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remains visible in photographs. The prison of the Joseon Dynasty had a circular fence with an estimated height of 3 meters and two buildings that separated male and female prisoners. The prison was divided into men on the east and women on the west with tile-roofed house structures that were difficult to escape. In front of the circular fence, there was an office with a thatched roof for the jailers and access to the prison was only possible through a double prison gate. The layout of the building reflects the improvements of the king's prison design made during Joseon Dynasty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prisoners who are on trial and separating men and women in order to embody humanism.

조선시대 지방 읍성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그 내부 관청 건물의 하나인 옥(獄)에 대해서는 고고학적인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죄인들이 머무는 옥사의 배치나 구조, 옥리(관헌)들이 사무를 보거나 숙직 근무를 서는 집무소, 탈출을 방지하는 담장의 구조 등에 대해서는 1997년 경주에서 옥이 처음 발굴된 이후 연구의 필요성이 계속 제기되어 왔으나 비교 대상이 없어 답보 상태였다. 그러나 그 후 발굴된 연일옥 자료와 공주옥 등의 사진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조선 전기부터 말기까지 축조된 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세종은 전국의 죄수들을 잘 관리하도록 1426년 표준적인 설계도인 안옥도(犴獄圖)를 배포하였고, 동·하절기 처우 개선 등을 위해 1439년 한 차례 수정하기도 하였다. 1421년부터 1743년까지 운영된 연일옥은 조선 전기부터 중기까지의 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데, 조선 후기까지 운영된 경주옥과 비교할 때 원형 담장, 동서 옥사의 배치와 구조 등 그 형식이 매우 유사하며 규모만 작을 뿐이다. 이러한 구조는 조선 말기 사진으로 남아 있는 공주옥까지 계속 그 형식이 유지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조선시대 옥은 타원형의 담장과 남녀를 구분하여 수용하는 건물이 나누어져 있었고, 담장의 높이는 약 3m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옥사는 동쪽이 남자, 서쪽이 여자 옥사로 구분되며 지붕으로 탈출이 어려운 기와집 구조였다. 원형 담장 앞에는 옥리(押牢)들이 근무하는 초가 지붕의 집무소가 있었는데, 2중의 옥문을 통해야만 옥의 출입이 가능하였다. 조선시대 왕들은 인본주의 유교 사상을 구현하고자 미결수들이 머무는 옥의 환경을 개선하고 남녀를 구분하여 수감토록 한 것이 건축물의 배치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1872년 지방지도>, <전주지도>, <경주읍내전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 <도성대지도>(서14165) (서울역사박물관)
  3. 경성치형협회, 1924, 「조선형무소 사진첩」.
  4.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03, 「慶州 西部洞 19番地 遺蹟 -統一新羅 道路.建物址, 朝鮮 獄址-」.
  5. 민지광, 2021, 「지리적 시선으로 본 조선시대 영일현(포항시) 읍성의 잦은 이전과 공간 분포」, 네이버 블로그.
  6. 서문당, 1988, 「사진으로 보는 조선시대」.
  7. 서산시, 1995, 「海美邑城 復原 및 綜合整備計劃 報告書」.
  8. 심재우, 2015, 「지옥의 풍경, 옥에서 펼쳐진 고통의 낱낱 - 조선의 감옥과 형구」, 「사물로 본 조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9. 영남문화재연구원, 2005, 「江東-浦項 間 道路 工事 區間 內 浦項 牛伏.南城里 遺蹟」.
  10. 林在杓, 1998a, 「대한민국 傳統 矯正施設(圓形獄)에 關한 硏究 (上)」, 「矯正」 2월호.
  11. 林在杓, 1998b, 「대한민국 傳統 矯正施設(圓形獄)에 關한 硏究 (下)」, 「矯正」 3월호.
  12. 林在杓, 1998c, 「대한민국 전통 矯正施設(圓形獄)에 關한 硏究 - 發掘 現場 調査를 中心으로」, 「矯正」 4월호.
  13. 林在杓, 2001, 「朝鮮時代 人本主義 刑事 制度에 관한 硏究 - 圓形獄과 恤刑을 중심으로」, 檀國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4. 한서대학교 박물관, 2003, 「해미읍성 I」.
  15. 한서대학교 박물관, 2005, 「해미읍성 II」.
  16. 국립중앙도서관 (옥사진) https://www.nl.go.kr/
  17. 서사시 홈페이지 (옥사진) https://www.seosan.go.kr/
  18. 청도군 홈페이지 (옥사진) https://www.cheongd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