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 여성과 남성의 세대별 가사노동시간의 변화(1999-2019) : 가정관리 및 가족돌봄 시간을 중심으로

Trends in the Household Labor Time of Korean Adults by Gender and Generation over the Last 20 Years (1999-2019)

  •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 기은광 (서정대학교 상담아동청소년과) ;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Seo, Jiwon (Division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Ki, Eunkwang (Dept. of Care and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Seojeong College) ;
  • Koh, Sun-Kang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University)
  • 투고 : 2021.03.15
  • 심사 : 2021.05.11
  • 발행 : 2021.05.31

초록

가정관리와 가족돌봄을 하위개념으로 하는 가사노동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축을 형성한다. 본 연구는 '일-생활 균형'이 중시되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일과 생활의 측면에서 나타난 변화를 일과 생활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5년 단위의 통계청 생활시간조사(1999-2019)의 시간일지와 질문지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평일과 주말 각각 가사노동시간(가정관리/가족돌봄)의 사용량과 참여율을 성별, 세대별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전체 집단의 평일 가사노동시간은 2019년 여성이 남성의 3.8배에 이르나, 지난 20년간 여성의 평일 가사노동시간은 가정관리에서 32분, 가족돌봄에서 13분 감소하여 총 45분 감소한 반면, 남성의 경우 가정관리에 서 19분, 가족돌봄에서 1분 미만으로 증가하여 약 19분 증가하였다. 가사노동 참여율은 여성은 지속하여 높게 유지된 반면, 남성은 46%에서 63%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남성의 시간사용이 증가한 가정관리영역은 음식준비, 청소 및 정리순이었다. 둘째, 세대별로 보면, 청년세대의 가사노동시간은 20년 동안 여성의 경우 66분 감소한 반면, 남성은 15분 증가하였다. 청년여성의 경우 80%가 가사노동에 참여하였으나 약간 감소추세가 나타난 반면, 청년남성의 참여율은 45%에서 59%로 증가하였다. 20년 전보다 청년여성은 대부분의 가정관리에서 시간을 덜 사용하고 미성년가구원돌봄 영역에서만 약간의 증가를보인 반면, 청년남성은 가정관리와 가족돌봄 두 영역 모두 시간을 더 사용하였다. 중년세대 역시 청년세대와 마찬가지로 가사노동시간과 참여율에서 여성은 감소하고 남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년남성은 20년 전보다 음식준비에 8분을, 미성년가구원돌봄에 2분을 더 사용하였다. 노년세대의 경우에는 다른 세대와 달리, 여성과 남성 모두 가사노동시간이 각각 5분, 18분의 증가하였고, 참여율도 여성과 남성 모두 증가하였다. 이러한 가사노동시간사용의 성별, 세대별 변화를 토대로 하여 향후 한국사회의 일상생활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여전히 불평등하지만 지난 20년간 그 차이가 점차 좁혀지는 성차와 더불어, 전 생애주기에 걸쳐 가사노동시간 사용에서 나타나는 세대별 변화를 이해함으로써 성별, 세대별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e concept of household labor is composed of housework and family care, and it provide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aily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work-life bal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usehold labor time of Korean adults by gender and generation over the last 20 years. Data was taken from the five Statistics Korea Life Time Surveys from 1999 (t1) to 2019 (t5) (n=69,196).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and gener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ousehold labor time over the study period. Household labor time for females was 3.8 times that of males in 1999, but females' household labor time decreased over the next 20 years while males' increased, including both housework and family care. The female participation rate in household work also remained steady, while that for males increased. Second, in the younger and middle generations, a similar gender and generational pattern was seen. Third, in the older generation, household time and participation rates for both females and males increased. The family welfare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춘영.김정순.유정옥(2014). 노인의 성별에 따른 자살 생각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5(1), 24-32.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1.24
  2. 구혜령.이기영(2000). 상품특성에 대한 태도와 가사노동 상품대체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 (3), 39-52.
  3. 김미선.이재열(2020). 가사노동은 여전히 아내의 몫인가?- 생계부양유형의 변화와 유형별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분담 변화. 2020년 여성가족패널조사 학술대회 및 대학원생 논문경진대회 발표논문.
  4. 김선미(2008). 가사도우미에 의한 가사노동대체,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 (4), 15-33.
  5. 김소영(2017). 남편의 가사노동과 자녀돌봄 분담 유형별 관련요인 및 부부의 가사분담만족도 : 맞벌이 부부와 비맞벌이 부부 비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3), 47-72. DOI : 10.21321/jfr.22.3.47.
  6. 김소영.진미정(2016).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3), 65-84. DOI : 10.7466/JKHMA.2016.34.3.65.
  7. 김수진.고선강(2018).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가사노동 참여와 공유 활동이 부부관계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65-84. DOI : 10.22626/jkfrma.2018.22.2.004.
  8. 김애순 역(2003).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Levinson, D. J.(1986). The seasons of a man's life,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9. 김외숙.이기영(2012).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0. 김은지.김수정(2009). 성별 가사노동시간 측정 : 시간일지와 서베이문항 방식 비교. 조사연구, 10(2), 1-21.
  11. 김진욱(2006).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2, 149-177.
  12. 김진욱.권진(2017). 한국 기혼남성의 무급노동 시간에 대한 연구 : 생활시간조사 1999년~2014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5, 181-215. DOI : 10.17997/SWRY.55.1.7.
  13. 문숙재(1988). 가정생산: 가정노동의 생산성과 평가를 위한 접근. 서울 : 신광출판사.
  14. 문숙재.윤소영(1996). 가사노동의 사적 특성과 공적 특성에 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3), 199-210.
  15. 문숙재.윤소영(1998). 가사노동의 정책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1 : 가사노동의 측정을 위한 제안.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6(4), 35-48.
  16. 문숙재.최민영(2002). 가사노동 가치평가를 위한 기초적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6(1), 35-51.
  17. 배호중(2015).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사회과학연구, 31(4), 151-181.
  18. 송민선.김남초.이동한(2008). 우울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우울 영향 요인. 노인간호학회지, 10(1), 20-26.
  19. 송유진(2011).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한국인구학, 34(2), 45-64.
  20. 송혜림(1993). 가사노동의 가치평가 : 서구 산업사회와 한국에 있어서 사회정치적 관점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233-241.
  21. 송혜림(2005). 가사노동론. 울산 : UUP.
  22. 여성가족부(2021).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 마련을 위한 공청회 개최(1.24): 보도자료. 여성가족부.
  23. 윤숙현.문숙재(1997). 가사노동의 개인적 의미와 제도적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5), 119-129.
  24. 이기영.구혜령(1999). 가사노동의 사회화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1), 167-178.
  25. 이기영.이현아.김외숙.이연숙.조희금.이승미.김주희.한영선(2011). 가족공유 가사노동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2), 103-128.
  26. 이현아 (2021). 중년세대의 가사노동 변화 트렌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1), 47-61.
  27. 장인수(2020). 한국의 성별 가사노동시간 배분 양상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 2007, 2016년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보건사회연구, 40(2). 446-476. DOI : 10.15709/hswr.2020.40.2.446.
  28. 정지영(2020). 노년세대, 가사노동과 소비패턴의 변화. 2020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온라인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47-160.
  29. 조성남.박숙미 (2002). 한국의 세대관련 연구에 나타난 세대개념의 구분과 세대갈등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일 고찰. 사회과학연구논총, 9, 39-68.
  30. 조성은.정지영.윤소영(2006). 남성의 시장노동과 가사 노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29-140.
  31.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8). 건강가정론. 서울 : 신정.
  32. 조희금.서지원(2009).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가정생활 영역의 정책적 요구 : 자녀돌봄 및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61-81.
  33. 주익현.최성수(2019). 남자가 여자를 도와줄 때 : 부부 간 가사노동 분업에서 시간대 동기화의 중요성. 한국사회학, 53(2), 213-251. DOI : 10.21562/kjs.2019.05.53.2.213.
  34. 채화영.김주희.이기영(2011). 중고령자의 생활시간 유형화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2),129-146.
  35. 통계청(2020a).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 보도자료. 통계청.
  36. 통계청(2020b).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등록센서스방식>: 보도자료. 통계청.
  37. 허수현.김한성(2019).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분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4, 5-29.
  38. Lachman, E.(2001).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Inc. :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