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물관리 정책에 따른 설계기준 개정 고려 사항

  • 오창조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통합물관리지원단) ;
  • 허건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통합물관리지원단) ;
  • 도종원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통합물관리지원단)
  • Published : 2021.11.28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 합동, 2021,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
  2. 관계부처 합동, 2021,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이행계획.
  3. 농식품부, 1982, 농지개량사업 계획 설계기준(댐편).
  4. 농식품부, 1998b,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관개편).
  5. 농식품부, 2002,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필댐편).
  6. 농식품부, 2004,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수로편).
  7. 농식품부, 2009,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관수로편).
  8. 농식품부, 2012,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배수편),
  9. 농식품부, 2013,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표준코드 개발 연구.
  10. 농식품부, 2016,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개편연구.
  11. 농수산부.농업진흥공사 1984, 수리시설 내한 능력조사 종합보고서.
  12. 남원호, 홍은미, 김태곤, 최진용, 2014,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의 미래용수공급 지속가능성 전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6(4).
  13. 이재응, 2012, 이수안전도 평가방법의 개선방향, 한국수자원학회 45(12) :51-57.
  14. 한경대학교, 2021, 기후변화에 대응한 빅데이터 기반 농업용저수지 이수안전도 산정.관리 기술개발.
  15. 충남대학교, 2021, 농업용수 공급관리 효율화 방안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