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평면도형의 교수·학습 요소에 따른 삼각형에 관한 초등학교 교과서 분석

Analysis for Triangles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Focusing on the Instructional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of 2-D Shapes

  • 투고 : 2021.10.14
  • 심사 : 2021.10.29
  • 발행 : 2021.10.31

초록

도형 영역은 초등학생들의 학습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다른 영역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평면도형에서 핵심적으로 지도해야 할 교수·학습 요소를 문헌에서 추출하였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삼각형을 지도할 때 가르쳐야 하는 교수·학습 요소가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에 적절히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 알기의 경우 실제 물건의 모양에 초점을 두고 평면도형을 인식하는 활동이 부족하며, 기준에 따라 평면도형을 분류할 때 분류 기준이 이전 차시와 다르게 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 적용하기의 경우, 평면도형에 대해 토론하는 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계 알기의 경우,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도형 사이의 관계는 다루지 않기 때문에 정의와 속성을 통해 도형 사이의 관계 파악하기, 분류 활동을 통해 도형 사이의 관계 파악하기, 도형 사이의 관계에 대해 토론하기의 전반적인 부분이 부족하게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형의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 삼각형에 관한 추후 교육과정 자료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wo-dimensional shapes have a great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nd are closely related to other content area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that should be taught in two-dimensional shapes were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It also was analyzed that revised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year 2015 were properly implemented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the activities in the textbooks are not able to recognize 2-D shapes which are focusing on shapes of the actual object. In the case of Classifying two-dimensional shape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presented differently from what was learned in the previous course. In the aspect of Applying the Concept, the activities in order to Discuss two-dimensional shapes were not sufficient. Lastly, in view of the fac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not consider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wo-dimensional shapes. For that reason, the following Knowing Relationships parts are insufficiently presente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s through Definitions and Properties,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s throughout classification activities, and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wo-dimensional shapes, it is suggested that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helps to enlarge the teaching methodology of triangles and provide educational perspectives for development in other shape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완(2013).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개선을 위한 네 가지 문제점. 학교수학, 15(3), 569-583.
  2. 강완, 김남준(2010).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수단위 추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1), 45-56.
  3. 강완, 김현미(2010).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도형영역 교수단위 추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3), 323-338.
  4. 강완, 나귀수, 백석윤, 이경화(2013). 초등수학 교수 단위 사전. 서울: 경문사.
  5. 강홍재, 권성룡, 김성준, 김수환, 신준식, 이대현, 이종영, 최창우(2018).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교수법. 동명사.
  6. 권미선, 방정숙(2015). 범자연수의 핵심 교수.학습 요소에 따른 수업 모형 개발 및 지도의 실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123-147.
  7. 교육부(1992). 국민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8. 교육부(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 [별책 8].
  9.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10. 교육부(2017a). 수학 2-1. 서울: 천재교육.
  11. 교육부(2017b).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12. 교육부(2018a). 수학 4-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13. 교육부(2018b). 수학 3-1. 서울: 천재교육.
  14. 교육부(2018c). 수학 4-2. 서울: 천재교육.
  15. 교육부(2018d). 수학 3-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16. 김수미, 정은숙(2005). 범례 제시를 통한 도형 개념지도 방안. 수학교육학연구, 15(4), 401-417.
  17. 김유경, 방정숙(2017).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7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0(1), 19-36.
  18. 박경미 외(2015).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정책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9. 박만구(2010). 초등 수학교과서의 삼각형의 개념에 대한 예 공간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143-161.
  20. 방정숙(2010). 평면도형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1-21.
  21. 조영미(2019). 초등수학에서 도형의 '이름 짓기' 지도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 259-284.
  22. 최수임, 김성준(2012). 정의하기와 이름짓기를 통한 도형의 이해 고찰: 초등학교 4학년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4), 719-745.
  23. Chval, K., Lannin, J., & Jones, D. (2016). Putt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into practice 3-5. Reston, VA: NCTM.
  24. Clements, D. H. & Sarama, J. (2014). Learning and teaching early math: The learning trajectories approach (2nd Ed.). New York: NY: Routledge.
  25. Copley, J. (2017). Putt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into practice K-2. Reston, VA: NCTM.
  26. Lehrer, R. & Slovn, H. (2014).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3-5. Reston, VA: NCTM.
  27. Goldenberg, E. P. & Clements, D. H. (2014).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geometry and measurement for teaching mathematics in K-2. Reston, VA: NCTM.
  28. Katagiri, S. (2004). Shidou naiyou no taikeika to hyouka. Meijitosho Shuppan corporation. 이동률, 정동권 공역 (2015). 초등학교 수학의 지도내용 체계화와 평가: 수학적인 생각을 기르기 위하여. 서울: 경문사.
  29. Reys, R. E., Lindquist, M. M., Lambdin, D. V., & Smith, N. L. (2015).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11th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공역 (2017).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경문사.
  30. Sarama, J. & Clements, D. H. (2009).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Learning trajectories for young children. New York: NY: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