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y to the Method of Teaching Korean Speculative Expression Using Visual Thinking : Focusing on '-(으)ㄹ 것 같다', '-나 보다'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한국어 추측 표현 교육 방안 : '-(으)ㄹ 것 같다', '-나 보다'를 대상으로

  • Lee, Eun-Kyoung (Department of Project Management, Soongsil University) ;
  • Bak, Jong-Ho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Joongbu University)
  • 이은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프로젝트경영학과) ;
  • 박종호 (중부대학교 한국어학과)
  • Received : 2021.06.23
  • Accepted : 2021.07.27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으)ㄹ 것 같다' and '-나 보다' among the various semantic function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discussed ways to train speculative expressions more efficiently by expanding them from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rough visualizations applied visual thinking at rea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peculative representa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represents the speaker's speculation about something or situation, with slight differences in meaning depending on the basis of the speculation and the subject of the speculation. We propose a training method that can enhance the diversification and efficiency of teaching-learning through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or knowledge, speculative representations that exhibit fine semantic differences in various situations. Utilizing visual thinking in language education can simplify and provide language information through visualization of language knowledge, and learners can be efficient at organizing and organizing language knowledge.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long-term memory of language information through visualization of language knowledge. Attempts of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be applied 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education method, which is meaningful in that the visual thinking proposed in this study can give interest and efficiency to international students.

이 연구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 추측 표현 중 '-(으)ㄹ 것 같다'와 '-나 보다'를 대상으로 그 의미와 기능을 분석하고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비주얼 씽킹을 적용한 시각화를 통해 전통적인 수업 방법에서 확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추측 표현을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Visual Thinking'은 '생각의 시각화'인데, 머릿속 지식이나 생각, 느낌 등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것이다. 이 비주얼 씽킹을 활용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육 내용의 시각적 전달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메타 언어적 정보 전달의 수업 방식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인 추측 표현은 화자의 어떤 일이나 상황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는데, 추측의 근거와 추측의 주체 등에 따라 그 의미에 미세한 차이가 있다. 다양한 상황에서 미세한 의미 차이를 보이는 추측 표현을 정보나 지식의 시각화를 통해 교수-학습의 다변화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비주얼 씽킹을 언어 교육에 활용하게 되면 언어 지식의 시각화를 통해 언어 정보를 단순화해서 제공할 수 있고 학습자들은 언어 지식을 정리하고 체계화하는 데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언어 지식의 시각화를 통해 언어 정보를 장기기억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법의 시도는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방법을 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 제안한 비주얼 씽킹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은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에 또 다른 흥미와 효율성을 줄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20), 정책정보공표.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50&boardSeq=82916&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09&opType=N/2021.05.31.
  2. 강현주(2018). 상호작용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한국어말하기 교육 방안. 영주어문, 40: 389-412.
  3. 김진호(2012).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능력제고를 위한 연구-가천대학교'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30: 33-55.
  4. 문정현(2018). 외국인 유학생의 기초학문 수학 능력 제고 방안.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9): 669-677.
  5. 오경숙(2018). 국어교육 문법과 한국어교육 문법 용어의 변별성 고찰. 문법교육, 32: 69-95.
  6. 정진현(2020). 외국인 학부 유학생의 전공 이수 과정의 어려움 및 요구 조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9: 395-421.
  7. 양명희(2017). 한국어교육에서의 유사 문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 3(2): 253-278.
  8. 황은영(2021).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안. 한국어교육연구, 14: 199-223.
  9. 이은하.김영규(2017). 인지적 개인차-수정전피드백-목표언어구조의 복잡성 간 상호작용에 대한 제2언어 습득 연구의 비판적 고찰: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연구 및 교육 현장을 위한 제언. 외국어교육연구, 31(2): 87-139.
  10. 박종호(2019). 베트남 유학생들의 행복한 대학생활 적응 방안-생활.경제, 복지 환경, 대학 전공 교육, 언어 연수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8): 495-504.
  11. 송대헌(202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드라마 <도깨비> 속 관용표현 교육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5): 181-191.
  12. 조광주, 김종두(2019).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3(4): 241-253.
  13. 온은주(2015). Visual Thinking으로 하는 생각정리기술. 서울: 영진닷컴.
  14. 김유림(2020).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의 교수 학습 지도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해동, 김화정, 김영진, 최시강, 노해은, 임진묵, 공세환, 비주얼러닝연구소(2015). 교실 속 비주얼씽킹 : 텍스트에서 그림으로 교실의 상식을 바꾸다, 서울: 맘에드림.
  16. Bilbokaite, R(2008), Analysis of visual thinking meaning in science education. Problems of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4: 7-13.
  17. 강문정(2018). 역사학습정리를 위한 비주얼 씽킹 활용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은주(2020).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을 적용한 초등 음악 감상 지도 방안 연구. 음악교육연구, 49(1): 51-74.
  19. 김정은, 이형철(2019).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과학교육연구소, 58: 387-398.
  20. 김현정(2018). Visual Thinking을 활용한 국악 수업 방안 연구. 음악교육연구, 47(1): 87-104.
  21. 오영주(2021). Visual Thinking을 활용한 교양 영어 강의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 21, 12(1): 1347-1360.
  22. 하흔흔.박덕유(2019).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추측 양태 표현의 이해 양상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25(2): 783-810.
  23. 조보람(2020). 한국어 유사 문법 표현 교육 방안 연구 - 추측, 의도 의미를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안주호(2004). 한국어 추측 표현의 통사 의미 연구. 새국어교육, 68: 97-121.
  25. 김동욱(2000). 한국어 추측 표현의 의미 차이에 대한 연구. 국어학, 35: 171-197.
  26. 이지연(2019). 한국어 추측 표현의 화용적 특성 연구-개연의 추측 표현을 대상으로. 이중언어학, 74: 417-445.
  27. 강비(201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추측 표현 교수.학습 방안 연구: 중.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황주하(2018), 한국어 추측 표현 교육 방안 연구: 고빈도 추측 표현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이아총(2019),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것' 양태 구문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양명희, 이선웅, 안경화, 김재욱, 정선화, 유해준(201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초급. 서울: 집문당.
  31.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샘터. https://kcenter.korean.go.kr/2021.05.22.
  32. 강현화, 이현정, 남신혜, 장채린, 홍연정, 김강희(2017).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 연구. 서울: 한글파크.
  33.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2.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4. 우치갑, 이미향, 김장환, 이영옥, 강은이, 고정순(2015). 비주얼 씽킹 수업: 그림을 그리면 생각이 보인다. 수원: 디자인펌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