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and Sleep Wake Disorders of the Elderly in Residential Facilitie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웃음요법이 시설거주 노인의 우울과 수면 장애에 미치는 효과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 김은정 (인제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 양진향 (인제대학교 간호대학)
  • Received : 2021.11.19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and sleep wake disorders among the elderly in residential facilities using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Twelve databases were searched. Two researchers independently performed the selection of the studies, data coding and assessment.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risk of bias (RoB) and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ies (RoBANs). To estimate the effect size, meta-analysis of the studies was performed using R version 4.04. Out of the 1,122 retrieved articles, o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and eleven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on-RC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eleven studies on depression was determined to be -1.04 (95% Cl: -1.53~-0.54, p<.0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below ten sessions and the effect of below 400 minutes'and 400 to 1000 minutes'interventions on depression. The overall effect size of five studies on sleep wake disorders was 0.83 (95% Cl: -0.26~1.93, p=.136),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below 300 minutes'interventions on sleep wake disorders. Laughter therapy was an effectiv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guidelines for laughter therapy need to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number of sessions and a duration of intervention to reduce depression and sleep wake disorders of the elderly in residential facilities.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시설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문제로 보고되고 있는 우울과 수면장애에 대하여 웃음요법의 적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시설거주 노인에게 웃음요법을 적용한 국내·외 실험연구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 특성을 파악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우울과 수면장애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와 중재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최종 선정된 12편의 실험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결과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웃음요법은 시설거주 노인의 우울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수면장애 감소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중재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웃음요법은 시행 횟수 10회 미만, 중재 소요 시간 400분 미만이나 400-1,000분 미만에서 우울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수면장애의 경우 전체 효과크기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중재 소요 시간 300분 미만에서 수면장애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이 시설거주 노인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이며, 이를 적용할 때 시행 횟수와 중재 소요 시간과 같은 중재 변인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시설거주 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우울과 수면장애와 같은 건강문제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추후 연구에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설거주 노인의 우울과 수면장애 감소를 위한 적용지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주요 인구 지표. https://kosis.kr/statHtml/stat Html.do?orgId=101&tblId=DT_1BPA002&checkFlag=N/2021.08.25.
  2. 통계청. 노인복지시설 현황. http://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Search.do?idx_cd=2766/2021.08.26.
  3. 성지아, 염은이, 도영숙(2014).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한국콘텐츠학회, 14(11), 798-809.
  4. 차수연, 허준수(2021).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시설거주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5), 808-823.
  5. Simning, A., & Simons, K.V.(2017). Treatment of depress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out significant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9(2), 209-226. https://doi.org/10.1017/s1041610216001733
  6. 김현준, 손윤정, 정혜진, 황인영, 김무영, 박기현, 이수형(2018).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우울증 유병률과 이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8(3), 455-461. https://doi.org/10.21215/kjfp.2018.8.3.455
  7. 심하은, 송경애(2021). 요양시설 입소 노인에서 인지, 수면양상, 타액 멜라토닌 농도 및 수면장애행동의 관련성. 23(2), 151-158. https://doi.org/10.7586/jkbns.2021.23.2.151
  8. 고진경, 황인옥, 오희영(2009).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입소초기 경험. 한국노년학회, 29(2), 477-488.
  9. 장은경, 박희옥(2018). 이압요법이 시설거주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우울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9(2), 133-142. 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2.133
  10. Tham, A., Jonsson, U., Andersson, G., Soderlund, A., Allard, P., & Bertilsson, G.(2016).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antidepressants in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5, 1-12. https://doi.org/10.1016/j.jad.2016.06.013
  11. 박지영, 전광희, 백양서, 박소영, 이주연(2021).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약물사용검토 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임상약학회, 31(1), 61-78.
  12. Goodenough, B., Low, L.F., Casey, A.N., Chenoweth, L., Fleming, R., Spitzer, P., Bell, J-P., & Brodaty, H.(2012).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umor therapy in residential care: The Sydney Multisite Intervention of LaughterBosses and ElderClowns (SMIL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4(12), 2037-2044. https://doi.org/10.1017/s1041610212000683
  13. 최종한(2015). 관주도 웃음치유 프로그램 모델 개발연구: 제천 시민 웃음치유 프로그램 '선샤인 제천'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 1-9.
  14. 채경숙(2015).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을 위한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이 우울과 자율 신경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과학회지, 17(3), 245-252.
  15. 한지형(2016). 웃음요법이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우울과 수면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경임, 은영(2011). 웃음요법이 입원 노인 환자의 통증, 우울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8(1), 28-38. https://doi.org/10.5953/jmjh.2011.18.1.028
  17. 황성호, 정현철, 황지원(2019). 웃음요법이 건강한 삶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융합학회, 10(9), 291-299. https://doi.org/10.15207/jkcs.2019.10.9.291
  18. 도은나, 조선희, 김선경(2018). 웃음치료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메타분석. 한국융합학회, 9(6), 347-355. https://doi.org/10.15207/JKCS.2018.9.6.347
  19. 김혜정, 홍성균(2015). 웃음훈련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목표몰입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4), 305-311.
  20. 강지숙(2017).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웃음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 489-501.
  21. 서혜영(2019). 생애주기별 웃음치료 효과의 메타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Higgins, J.P.T., &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http://handbook.cochrane.org/2021.03.07.28
  23.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G.(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BMJ: British Medical Journal, 339, b2535. https://doi.org/10.1136/bmj.b2535
  24. 이선희, 최원정, 이민, 설아람, 정유진(2015). 신의료기술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지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5. Rosenthal, R.(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3), 638-641. https://doi.org/10.1037/0033-2909.86.3.638
  26. 국민건강보험공단(2018). 노인장기요양보험 10년사. 국민건강보험공단.
  27. Zhao, J., Yin, H., Zhang, G., Li, G., Shang, B., Wang, C., & Chen, L.(2019)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laughter and humour interventions on depression, anxiety and sleep quality in adul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5(11), 2435-2448. https://doi.org/10.1111/jan.14000
  28. Ekman, P.(1992).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An old controversy and new finding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335(1273), 63-69. https://doi.org/10.1098/rstb.1992.0008
  29. 정덕유(2020). 노인과 건강. 현문사.
  30. 장효열, 김태임(2016).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수면 양상 및 영향요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3), 773-789.
  31. 이임선(2010). 몸과 마음을 치료하는 웃음 치료. 하남출판사.
  32. 오복자, 장은수(2014). 암환자에게 적용한 심리 사회적 중재가 코티졸과 면역기능에 미친 효과: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44(4), 446-457. https://doi.org/10.4040/jkan.2014.44.4.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