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f Online Writing Class - Focusing on at G University and the Response of Learners -

온라인 글쓰기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G대학의 <교양글쓰기> 사례와 학습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

  • 송대헌 (김천대학교 기초교양학부)
  • Received : 2021.07.20
  • Accepted : 2021.08.26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e study presented an online class case focusing on G University's writing course, and analyzed students' satisfaction. Through this, it aim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online education and to explore efficient operation of online writing lectur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looking into the online writing class run by G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writing class was high. Despite the limited circumstances,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lass was high and they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online correction. However, there was also a challenge to address. Online writing education showed limitations in terms of smooth communication with students. Correction of writing can be done online sufficiently but the limitations of communication should be supplemente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interactive education. In addition, most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online correction, but some did not participat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voluntarily to make online classes take roots. After all,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online writing classes, strategies and systems for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prepared for utilization of various educational video media, sufficient learning of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 and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Only when these conditions are met, online writing classes will be able to operate steadily.

이 연구는 G대학교의 글쓰기 수업인 <교양글쓰기> 교과목을 중심으로 온라인 수업 사례를 선보이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교육의 가능성을 분석하며 온라인 글쓰기 강의에 대한 효율적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G대학에서 운영한 온라인 글쓰기 수업 사례를 살펴 본 결과 온라인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제한된 상황 속에서도 수업의 참여도도 높았으며 온라인 첨삭 활동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반면에 과제도 발견할 수 있었다.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글쓰기 교육은 학생들과의 원활한 소통이라는 관점에서는 한계를 갖고 있다. 글쓰기의 첨삭 지도는 온라인으로 충분히 가능하지만 쌍방향 교육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통의 한계를 보완해야 하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온라인 첨삭 지도에 참여한 학생들이 대부분이었지만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도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의 정착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필요한 과제이다. 결국 온라인 글쓰기 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용 영상매체를 활용하며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의 충분한 학습과 교수자와 학생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져야만 온라인 글쓰기 수업도 흔들림 없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김천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지원에 의한 것임(gc19044).

References

  1. 한송이.이가영(2020).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7(2): 395-418.
  2. 박소영(2020). 웹 기반의 통합적 독서토론 수업 모형 연구. 리터러시연구, 11(4): 295-332.
  3. 박광길(2020). 대학생의 온라인 글쓰기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교양학연구, 12: 25-57.
  4. 박해란(2020). 비대면 온라인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서원대학교 <사고와표현1>을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1(5): 11-35.
  5. 이영란(2019). 플립드 러닝의 효율적 교수법 방안 모색. 사고와 표현, 12(3): 161-184.
  6. 도재우(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53
  7. 임지원(2020). 문화융합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활성화를 위한 국어교재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7): 389-395.
  8. 정희모(2010). 대학 글쓰기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재. 리터러시연구, 1: 41-68.
  9. 교육부(2015). 국어과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0. 송대헌(2019). 대학생을 위한 교양글쓰기. 서울. 고반출판사.
  11. 조보람.박종호(2020).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인식 분석을 통한 교과 운영 개선 방안: J대학의 학생 설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8): 501-511.
  12. 김미은(2020).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591-541.
  13. 강소영(2020). 학부 유학생 대상 대학 글쓰기 온라인 강의 사례 및 개선 방안. 한국문예창작, 19(3): 219-249.
  14. 김은정(2012). 학문목적 글쓰기를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교양교육연구, 6(3): 541-568.
  15. 김연주(2019). 첨삭 기반 글쓰기 교육 모델 개발 연구 -경운대학교 <소통과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문화, 97: 247-271.
  16. 변상출(2014). 단계별 첨삭 지도를 통한 글쓰기의 실제 효율성 강화방식에 대한 고찰. 한민족문화연구, 47: 369-405. https://doi.org/10.17329/KCBOOK.2014.47.47.013
  17. 한겨레신문(2020. 4. 6.)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935811.html
  18. 정창권.윤종선(2020). 온라인 실시간 강의의 운영 사례와 교육 효과: 고려대학교 <글쓰기 I> 과목을 중심으로. 한국융합인문학, 8(3): 159-179.
  19. 주민재(2014).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교양교육연구, 12: 137-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