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nges in Future Sport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Baseball Robot Umpire

야구 로봇 심판 도입에 따른 미래 스포츠 변화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1.07.20
  • Accepted : 2021.08.26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future sports by introducing baseball robot umpire.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participants selected five baseball fans who were interested in basebal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ball fans expressed displeasure with the frequent misjudgment i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game, and doubted the fairness of the umpire's judgment. And repeated misjudgment of professional baseball has contributed to the decline in viewing and viewing of baseball. Second, baseball fans were positive about the introduction of robot umpire as a way to reduce bad calls in baseball games, and considered the accuracy, consistency, and recordability of robot umpire to complement their limitations. Third, the application of baseball robot umpire will serve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the fairness and efficiency of baseball games, which will positively change the image of sports.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robot umpire in baseball games could exert desirable influence on people and contribute to restoring the ethics of sports and strengthening fairness.

본 연구는 야구 로봇 심판 도입에 의한 미래의 스포츠 변화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심층면담 자료, 신문 자료, 국내 논문, 국외 논문, 그리고 인터넷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연구의 자료를 통해서 오심에 대한 야구 팬들의 태도를 확인했고 로봇 심판의 장점을 파악했다. 그리고 로봇 심판의 적용에 따른 미래 스포츠의 변화를 추론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야구 팬들은 야구 경기에서 발생하고 있는 심판의 오심에 대해서 반감을 나타냈고, 야구 심판에 대해서 불신감을 드러냈으며, 야구에 대한 흥미가 저하되고 있었다. 둘째, 야구 팬들은 심판의 오심을 해결하기 위해서 로봇 심판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로봇 심판은 사람보다 정확하고, 일관적이며, 기록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셋째, 심판의 한계를 보완하는 로봇 심판의 보급은 미래 스포츠 경기의 공정성과 윤리성을 강화시켜, 스포츠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Green, E., & Daniels, D.(2015). Impact aversion in arbitrator decisions. Available at SSRN 2391558.
  2. 구강본, 김영갑(2006). 스포츠현장에서의 '오심 (誤審)' 논쟁 읽기.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4(2), 211-228.
  3. Collins, H.(2010). The philosophy of umpiring and the introduction of decision-aid technology. Journal of the Philosophy of Sport, 37(2), 135-146. https://doi.org/10.1080/00948705.2010.9714772
  4. 박현우(2016). 심판의 오심 판정과 스포츠 정의.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4(3), 69-84.
  5. 연합뉴스(2020). '로봇 심판'의 시대에. 홍해인 기자.
  6. 이학준(2006). 인문, 사회과학편: 심판오심과 도덕적 책임. 한국체육학회지, 45(6), 81-89.
  7. 한상구, 채승일, 김진훈, 이호근(2014). 오심올림픽: 올림픽을 통해 본 오심 문제와 해결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5(1), 11-20.
  8. 김동현, 이광호, 류상호(2012). 한국 프로농구 심판들의 오심경험에 관한 윤리적 해석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7(1), 33-44.
  9. 방열(2004). 한국 프로농구의 심판문제 및 그 개선방안.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1(2), 159-175.
  10. 최태호, 이광호(2012). U-리그참가 대학축구 선수들의 심판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7(1), 11-24.
  11. Huang, J., & Hsu, H. J.(2020). Approximating strike zone size and shape for baseball umpir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erformance Analysis in Sport, 20(2), 133-149. https://doi.org/10.1080/24748668.2020.1726156
  12. Kim, J. W., & King, B. G.(2014). Seeing stars: Matthew effects and status bias in major league baseball umpiring. Management Science, 60(11), 2619-2644. https://doi.org/10.1287/mnsc.2014.1967
  13. Parsons, C. A., Sulaeman, J., Yates, M. C., & Hamermesh, D. S.(2011). Strike three: Discrimination, incentives, and evalua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101(4), 1410-35. https://doi.org/10.1257/aer.101.4.141
  14. 박성주(2018). 심판판정과 비디오판독 도입에 관한 윤리적 쟁점 연구.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6(2), 31-41.
  15. 홍상민(2019).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스포츠 과학의 미래. 한국체육과학회지, 28(3), 775-784.
  16. 성상훈, 설수영, 강현욱(2017). 프로야구 시청자들의 비디오판독에 대한 인식과 시청몰입, 시청만족 및 재시청의도간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3), 17-30.
  17. 김영갑(2017). 사회트렌드와 스포츠 (1): 4차 산업혁명과 스포츠.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5(4), 101-115.
  18. 박우철(2018). 4차 산업혁명과 미래의 상담.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05-120.
  19. 최정호, 이제욱(2019). 스포츠 4 차 산업혁명 기술의 효과적 융합을 위한 법. 제도적 개선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5, 61-77.
  20.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s and techniqu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1. Guba, E. G., & Lincoln, Y. S.(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Sage.
  22. Green, E., & Daniels, D.(2015). Impact aversion in arbitrator decisions. Available at SSRN 2391558.
  23. Williams, M. T.(2019). MLB Umpires Missed 34,294 Ball-Strike Calls in 2018. Bring on Robo-Umps? Bu. Edu/Today/MLB-Umpire-Strike-Zo ne-Accuracy.
  24. KBO.KBSA(2020). 2020 Official Baseball Rules. 서울: 스포츠투아이(주).
  25. 황수웅, 박일혁(2020). MLB 투구기록을 활용한 프로야구 심판의 'Strike' 판정 오류 영향 요인 탐색.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2(3), 25-38. https://doi.org/10.21797/KSME.2020.22.3.003
  26. 한상구, 채승일, 김진훈, 이호근(2014). 오심올림픽: 올림픽을 통해 본 오심 문제와 해결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5(1), 11-20.
  27. 이데일리(2020). 프로야구, 로봇 심판 시대가 온다. 앞으로의 기대와 숙제. 이석무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085686625866992&mediaCodeNo=258. 2021.07.20
  28. 경향신문(2019). 승부조작 의혹 제기한 심판들, 복직 깜깜. 이하늬 기자.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907271637001. 2021.07.20
  29. 박형길(2018). 스포츠에 대한 부정적인 상징 형성에 따른 행위요인 탐색: 합리적 행위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1(1), 43-61.
  30. 지민준(2014). 스포츠참여자의 스포츠사고 유형별 민형사상 책임에 관한 논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1), 159-165.
  31. 박형길, 권순용(2015). 한국 야구의 영역별 발전을 위한 탐색적 분석.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3(4), 321-334.
  32. 김태동, 최경호(2016). 강원도 스포츠 ICT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접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5), 109-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