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Professional Sport League through Exploration of Inducing Factors of Match Fixing

승부조작 유발요인 탐색을 통한 프로스포츠 활성화 방안

  • Bang, Shin-Woo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Park, In-Sil (Sport Industry Studies, Yonsei University) ;
  • Kim, Wook-Ki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gin University)
  • 방신웅 (청주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
  • 박인실 (연세대학교 스포츠응용산업학과) ;
  • 김욱기 (용인대학교 체육교육과)
  • Received : 2020.09.23
  • Accepted : 2021.04.26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rive strategic implications for activating professional sport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 sports officials such as players, teams, federations, agencies, etc., by searching for factors that cause match fixing and deriving preventive strategies based on them. Eight people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working in professional sports were selected using the snowball sampling techniqu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applying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method for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core categories (the learning effect from the cartel for entering university, the culture learned in a camp training, the manifestation of the latent learning effect, the negative effect of the human network, the personal disposition) were derived as factors causing match-fixing. As for the strategy to prevent match fixing, first, improving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riented on individual capability, second, improving the education system for student athlete, third, establishing a prevention system, fourth, continuing education, fifth, and activating the agent system as the core categories. Implications for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선수, 구단, 연맹, 에이전시 등 프로스포츠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승부조작 유발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방전락을 도출함으로써 프로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시도되었다. 스노우볼 샘플링 기법을 활용하여 프로스포츠계에서 근무한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을 8명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승부조작 유발요인으로 첫째, 대학 진학을 위한 카르텔로부터의 학습효과 둘째, 합숙환경에서 학습된 문화 셋째, 잠재학습 효과의 발현 넷째, 인적 네트워크의 부정적 효과 다섯째, 개인의 성향을 핵심범주로 도출하였다. 승부조작 예방 전략으로는 첫째, 개인능력 중심으로의 대학입시제도 개선 둘째, 학생선수 교육시스템의 개선 셋째, 예방시스템의 구축 넷째, 지속적인 교육 다섯째, 에이전트 제도의 활성화를 핵심범주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A2A03068833)

References

  1. 최은희(2011). 엔터테인먼트경영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소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5(5), 154-161.
  2. 양승훈(2006). 한국 CEO가 생각하는 엔터테인먼트의 개념적 정의: 한양대 최고엔터테인먼트과정 수료자를 중심으로. ceri엔터테인먼트연구, 6, 61-83.
  3. 곽동현(2012). 스포테인먼트 요인이 실용적/쾨락적 가치와 재관람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Harold, L. V.(2011). Entertainment Industry Econo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 Y., 8th ed
  5. 백승열(2009). SK와이번스의 스포테인먼트 경영사례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문화체육관광부(2018). 2017 스포츠산업 백서.
  7. 문화체육관광부(2014). 2012 체육백서.
  8. Sapolsky, B.S.(1980). The effect of spectator disposition and suspense on the enjoyment of sport contes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1(1), 1-10.
  9. 손석정(2013). 스포츠의 승부조작 실태와 그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스포츠와 법, 16(1), 83-103.
  10.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 =0005421965
  11. 박찬민, 김희연(2013). 프로스포츠 승부조작 사건 주체에 따른 소비자의 신뢰 및 태도변화. 스포츠와 법, 16(2), 47-68.
  12. 신진호, 임재옥, 김차용(2012). 국내 프로축구 승부조작 사건이 정규리그 성적 및 관중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8(1), 305-314.
  13. https://www.nocutnews.co.kr/news/922408.2012.03.14.
  14. https://www.yna.co.kr/view/AKR20150908055800060? input=1195m
  15. 황상규(2012). 승부조작 파문과 스포츠의 사회적 책임. 스포츠과학, 119, 83-88.
  16. 방신웅(2013). 팀의 패배에 대한 위기대응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팀에 대한 태도 및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황적 위기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4, 547-559.
  17. 송용팔(2010). 학문으로서의 엔터테인먼트산업.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1), 23-39.
  18. 김영갑(2012). 한국 스포츠문화의 고민거리: 승부조작과 한국적 문화지형과의 관계성.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0(4), 87-100.
  19. 김은영(2011). 한국 프로축구의 승부조작에 대한 도덕적 논고.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9(4), 171-191.
  20. 박성주(2016). 윤리적 관점에서 본 승부조작. 한국체육학회지, 55(4), 13-22.
  21. 이문성(2016).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본 스포츠의 승부조작.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4(2), 85-104.
  22. 이문성, 서경화(2013). 스포츠의 승부조작: 윤리 문제와 해결방안.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학회지, 21(1), 115-125.
  23. 강구민(2011). K리그 승부조작과 형사적 책임. 스포츠와 법, 14(4), 173-197.
  24. 김두상(2016). 프로야구 승부조작에 관한 형사법적 소고.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9(4), 159-173.
  25. 박상기(2011). 스포츠 승부조작과 형사책임. 스포츠와 법, 14(3), 217-236.
  26. 지민준 (2014). 국내 프로스포츠 승부조작 사례에 대한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3), 109-116.
  27. 최철호(2012). 승부조작과 불법인터넷스포츠도박에 대한 공법적 규제. 스포츠와 법, 15(1), 9-36.
  28. 권기남, 이정래, 이원희(2016). 스포츠 승부조작 사례를 통한 사회구조적 맥락 읽기.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29(2), 1-22.
  29. 권헌수, 한승백(2019). 이해를 둘러싼 짬짜미 관행: 학원스포츠에서의 암묵적 승부조작. 한국융합과학회지, 8(3), 39-56.
  30. 김현우, 이근모, 임새미(2016). 대학 축구선수의 승부조작 경험. 한국스포츠상회학회지, 29(3), 57-74.
  31. 전민수, 박재현, 최창환(2016). 성인 운동선수들의 스포츠 승부조작 경험에 관한 실태.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8(2), 35-50.
  32. 서희진, 한승백(2012). K리그 승부조작사건과 체육진흥투표권사업 운용의 문제점. 한국체육학회지, 51(4), 45-54.
  33. 손석정(2013). 스포츠의 승부조작 실태와 그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스포츠와 법, 16(1), 83-103
  34. 임수원(2012). 남자 고교 엘리트스포츠 승부 조작의 실상과 근절방안. 한국체육학회지, 51(4), 55-68.
  35. 정영열, 전주원, 김진국(2015). 프로스포츠 선수들의 승부조작에 대한 인식과 예방교육 전략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4(6), 273-284.
  36. 강준호(2005). 스포츠산업의 개념과 분류. 체육과학연구, 16(3), 118-130.
  37. 김화섭(2007). 스포츠 마케팅 전략(3개정판). 박영사, 서울.
  38. DiCicco-Bloom, B., & Crabtree, B. F.(2006).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Medical education, 40(4), 314-321. https://doi.org/10.1111/j.1365-2929.2006.02418.x
  39. Boyce, C., & Neale, P.(2006).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 guide for designing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for evaluation input(pp.3-12). Watertown, MA: Pathfinder International.
  40. Barriball, K. L., & While, A.(1994). Collecting Data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A discussion pap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2), 328-335.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4.tb01088.x
  41. Cohen, D. & Crabtree, B.(2006). Qualitative Research Guidelines Project. http://www.qualres.org/HomeSemi-3629.html.
  42. Creswell, J. W.(2009).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3rd ed). London: Sage.
  43.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1. 서울: 문음사.
  44. 사행성통합감독위원회(2015). 2015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45.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2019). 2019 사행산업백서.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46. Tolman, E. C., & Honzik, C. H.(1930). Introduction and removal of reward, and maze performance in rats.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Psychology, 4, 257-275.
  47. http://www.prosport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