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abou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for Life Care of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들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스마트폰 과의존과 우울과의 관련성 연구

  • Son, Sung-M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Jeonju Kijeon Collage)
  • 손성민 (전주기전대학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21.05.20
  • Accepted : 2021.06.2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 Study subjects were 50 high school student.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used by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 for adolescents and the assessment of the level of depression was used by Korean ver. of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As the results,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ed between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could contribute to increase the level of depression. Thu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o reduce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clarify the casual relationship and influences of the level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고등학생 50명이다.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에 대한 분석은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우울 수준에 대한 분석은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분석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높아질수록 우울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를 감소시키고 우울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며,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와 우울 수준에 대한 인과관계와 영향력을 밝히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2012).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365-375.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65
  2. 박종민, 강문구(2019).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정도와 사용현황.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12): 179-189.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12.018
  3. 오성탁, 김종욱, 박상철(2015). 테크노스트레스와 일과 후 업무연속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일-삼의 갈등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지, 22(2): 71-93.
  4. 김태진, 김수연(2015). 스마트폰 사용패턴과 학업성취도간 영향분석: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정부행정, 11: 63-82.
  5. 배성만(2018). 스마트폰 사용유형과 스마트폰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정책, 25(4): 65-83. https://doi.org/10.22693/NIAIP.2018.25.4.065
  6.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0). 2020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정보화사회진흥원.
  7. 조세연, 김기찬(2014). 중.고등학생들의 진로 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9): 325-349.
  8. 노언경, 임혜정, 손수경, 김수혜(2020). 서울시 학생들의 수학성취에 대한 개인 및 학교 수준 영향요인 검증: 교차분류무선효과 모형의 적용. 한국교육학연구, 26(2): 81-106.
  9. 김희숙, 최연희, 유성자(2010). 고등학생의 자아정체성, 스트레스 및 인터넷 중독정도와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9(2): 173-185.
  10. 이무식, 김건업, 고경재, 이효진, 남욱, 김은영, 홍지영, 나백주(2003). 도시지역 일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중독 실태와 관련된 요인 연구. 예방의학회지, 36(4): 13-398.
  11. 조은정, 김예진, 권은비, 이동훈(2020).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불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5): 193-203. https://doi.org/10.5392/JKCA.2020.20.05.193
  12. 이해경, 손진희(2020). 남자고등학생의 우울과 인터넷,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8(2): 21-45. https://doi.org/10.35151/KYCI.2020.28.2.002
  13. 김소현, 정인숙(2014).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중독인식간의 일치도.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5(2): 91-101.
  14. 김영훈, 이창훈(2017).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수업 몰입과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7(3): 127-143.
  15. 김동심(2018).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 인터넷 인지실패, 교우관계, 학업스트레스 및 행복간의 관계. 청소년상담연구, 26(1): 233-253.
  16. 오주(2015).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충동성,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7(4): 998-1012.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4.998
  17. 우진주, 곽은미, 이혜진(2018).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 연구: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5): 61-67. https://doi.org/10.15207/JKCS.2018.9.5.061
  18. 주지영(2005). 고등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우울 및 공격성 간의 관계 연구. 학생생활연구, 22: 73-95.
  19. 김태순, 강차연(2008). 고등학생 우울과 공격성.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8(1): 85-100.
  20. 배진성, 최지현(2020). 여자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12): 547-557. https://doi.org/10.5762/KAIS.2020.21.12.547
  21. 신은숙(2016). 일부 남자 고등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디지털융복합연구, 14(7): 45-56. https://doi.org/10.14400/JDC.2016.14.7.45
  22. 박근희, 정은정(2018). 고등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분노표출, 분노억제, 전위 공격성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5(4): 43-66.
  23. 이종화(2008). 여자 청소년의 성역할정체감과 우울. 아동간호학회지, 14(3): 277-284.
  24. 최홍석, 최지호, 박기호, 주규진, 가혁, 고희정, 김성열(2007). 주요우울장애의 선별 도구로서 한국판. 가정의학회지, 28(2): 114-119.
  25. Kroenke, K, Spitzer, R.L., & Williams, J.B. (2001).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6(9): 606-613. https://doi.org/10.1046/j.1525-1497.2001.016009606.x
  26. 이해경(2009). 10대 청소년들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의 예측변인들: 20대, 30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6(1): 117-153.
  27. 심미영, 이둘녀, 김은희(2016).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 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5): 227-236. https://doi.org/10.5762/KAIS.2016.17.5.227
  28. 문종훈, 송이슬, 성현용(2019). 2017년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활용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사용으로 인한 주관적 건강과 행복, 신체활동 및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515-524.
  29. 문종훈, 전민재, 송이슬(2019).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2): 177-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