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Game Contents Design of Drone Educational Training Using AR

AR을 활용한 드론 교육 훈련 게임 콘텐츠 설계

  • 최창민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게임학과) ;
  • 정형원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게임학과)
  • Received : 2021.03.19
  • Accepted : 2021.06.2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Recently, the drone industry is rapidly expanding as it is suggested that it will be used in various fields. As the size of the drone market grows, interest in drone-related certificates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current drone-related qualification system and education system are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necessity of drone training, the features of functional games,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training using AR through related technical studies to solve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drone educational training. Later, drone educational training game contents using AR were divided into practice mode and test mode based on the drone national qualification course practical test, and the result screen was displayed at the end of the curriculum so that players could learn by level and evaluate the results on their own. In addition, constructed a hybrid processing system and network and AR operation system for response rate and response speed, implemented drone training game contents utilizing AR based on the design contents.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game content using AR presented in this paper for drone training will further alleviate environmental difficulties and improve the sense of immersion in play, which will lead to a more effective drone educational training experience.

최근 드론 산업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가능성이 제시되면서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 드론 시장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드론 관련 자격증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드론 관련 자격제도 및 교육체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 교육 훈련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관련 기술 연구를 통해 드론 교육의 필요성과 기능성 게임의 특징, AR을 활용한 교육 훈련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AR을 활용한 드론 교육 훈련 게임 콘텐츠를 드론 국가 자격과정 실기시험을 기반으로 연습모드와 시험모드로 구분하고 교육과정이 끝날 때마다 결과화면이 나타나도록 하여 플레이어가 수준별 학습과 스스로 결과에 대해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인식률 및 응답속도 대응을 위한 하이브리드 처리 시스템과 네트워크 및 AR 운용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설계 내용을 토대로 AR을 활용한 드론 교육 훈련 게임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AR을 활용한 게임 콘텐츠를 드론 교육 훈련에 활용하는 것으로 환경적인 어려움이 보다 완화되고 플레이의 몰입감을 향상시켜 좀 더 효과적인 드론 교육 훈련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광운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1. 김지은, 이정우(2019). 드론 기술 및 시장동향 보고서.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Vol. 67).
  2. 노원호. 항공종사자 및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현황. http://www.ts2020.kr/tsk/qtk/InqListQTKTestKnowledge.do/ 2019.07.12.
  3. 김용석(2018). 무인비행장치(드론) 자격 및 교육체계 개선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4. 최준오(2018). 드론 조종훈련을 위한 기능성 VR 게임 설계 및 구현. 광운대학교 스마트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대한상공회의소 무인항공교육센터. 드론 국가 자격과정. https://drone.korchamhrd.net/
  6. 안영수, 정재호(2020). 드론 및 개인용 항공기(PAV) 산업의 최근 동향과 주요 이슈. 산업연구원.
  7. Astuti, G., Longo, D., Melita, C.D., Muscato, G., Orlando, A.(2008). HIL tuning of UAV for exploration of risky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Robotic Systems, 5(4): 419-424.
  8. Kontitsis, MP., Tsourveloudis, NC., Valavanis, KP.(2003). A UAV based automated airborne surveillance system. 11th mediterranean conference on control and automation.
  9. Rathinam, S., Almeida, P., Kim, Z., Jackson, S., Tinka, A., Grossman, W., Sengupta, R.(2007). Autonomous Searching and Tracking of a River using an UAV. Proceedings of the American Control Conference, 359-364.
  10. 옥진아(2018). 경기도 무인기(드론)영상 통합 구축 및 활성화 방안. 경기연구원.
  11. 박재현(2019). 드론의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활용 방안-개발도상국의 공간정보 격차 해소 사례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양혜진, 김동현(2018). 재난지역에서의 드론 활용 방안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2018(11): 69-70.
  13. 이창조, 김미혜(2011). 뇌졸중 환자의 언어/인지 재활 치료를 위한 기능성 게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5(1): 73-80.
  14. 김태규, 김경배, 강신영(2020). 실버세대의 여가활용을 위한 체감형 융복합 게임의 설계 방법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8(6): 419-424. https://doi.org/10.14400/JDC.2020.18.6.419
  15. 박현경(2012). 지리 수업에 활용 가능한 시뮬레이션 게임의 적용과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준규(2014). 초등 과학 기능성 게임의 교육성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기연(2020). 경도인지장애환자의 인지건강 증진을 위한 게임 디자인 연구. 광운대학교 스마트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태준, 김정호, 이창조(2017). 증강현실을 이용한 모델하우스 콘텐츠제작.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1): 257-264.
  19. 정석호, 고정운, 허설화, 경병표(2019). AR기반의 스마트케어를 위한 기능성게임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9(1): 25-35. https://doi.org/10.7583/JKGS.2019.19.1.25
  20. 한송이, 임철일(2020). 국내 증강현실(AR) 기반 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8년~2019년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6(3): 505-528.
  21. 김정수, 이태수(2016).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증강현실 과학교육 콘텐츠 구현 및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 720-733.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720
  22. 이준석(2016). 모바일 교육용기능성 게임 콘텐츠의 품질 평가 요소.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29(4): 19-28. https://doi.org/10.22819/KSCG.2016.29.4.003
  23. 문석인(2019). 안전보건교육의 실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장환, 류영기(2020). 2020 무인 멀티.헬리콥터 드론조종 자격증. 골든벨.
  25. 이용환, 김영섭(2020). 객체 검출을 위한 CNN과 YOLO 성능 비교 실험.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19(1): 8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