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지 작품을 통한 언택트 시대의 소통과 함의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Communic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Untact Era through Hanji Works - Focusing on Moon-jung's Art -

  • 김문정 (동국대학교 동국대학원 미술학과)
  • 투고 : 2021.01.20
  • 심사 : 2021.02.25
  • 발행 : 2021.02.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의 타의적인 상황으로 인간관계 및 소통이 단절되어 버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소통방법으로서 연구자가 전통적인 한지 재료를 이용하여 소통과 관계를 목적으로 창작한 작품에 대한 해석을 통해 언택트 시대에 소통을 위한 함의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경험, 지식, 직관적인 통찰을 통해 계랑화가 어려운 연구자의 동기, 의도, 의미에 대한 심층적 해석방법을 사용했다. 한국의 전통미를 대표하는 한지 재료를 이용하여 인관관계와 소통을 목적으로 창작 전시했던 작품과 해석을 통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와 같은 언택트 시대의 한계 상황 극복을 통해 인간관계와 소통을 위해 전통 재료를 활용하는 창작 활동은 상호 이해하기와 의미 찾기에 도움이 된다. 둘째, 동일한 민족과 언어, 공간에서 사람들 간의 관계 형성과 소통을 위한 전통 재료의 활용 방안은 공동인식을 형성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재난재해 상황에서 발생하는 인간관계와 소통에 대한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과 확대를 위한 동기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he implications for communication in the Untacted era are through interpretation of works created by researchers for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using traditional Hanji materials as a new communication method to cope with the situation of Corona 19. This work uses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motivations, intentions, and meanings of researchers who are challenged with their experience, knowledge, and intuitive insights. The works and interpretations that were originally exhibited for the purpose of human relations and communication using Hanji materials representing traditional Korean beauty are as follows. First, creative activities that utilize traditional materials for human relations and communication through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untact era, such as Corona 19, are helpful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finding meaning. Second, the use of traditional materials for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in the same ethnicity, language, and space can be a medium for forming a common perception. The findings will provide motivation for the use and expansion of human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in disaster situations as basic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Luhmann, Niklas(1984). Soziale Systeme - GrundriB einerallgemeinen Theorie. Frankfurt am Main: Suhrkamp, 286.
  2. 장춘익(2014). '자기지시적 체계'에서 '자기지시Selbstreferenz'란 무엇을 뜻하는가? - 루만의 이론의 한 핵심어에 대하여.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107: 141-172.
  3. 정성훈(2020). 인공 소통과 귀속의 문제, 철학 연구. 130: 286.
  4. 이정숙, 오종열(2017). 1인 가구 라이프스타일, 비인간관계, 개인가치관, 식사의 간편성이 혼밥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7-52.
  5. 박성림(2020). 한지에 내재한 감성과 조형성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1(2): 61.
  6. 심화숙(2005). 전통한지공예. 우리출판사, 17-25.
  7. 유선태(2011). 현대섬유예술의 이해. 미진사, 22.
  8. 황혜자.유선림(2005).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30: 75-93.
  9. 이정연(2001).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의식 및 대인관계간의 상관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Yalom, I. D. & Leszcz, M.(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 Therapy. New York: Basic Books.
  11. 강정실(1996). 부끄러움 극복 훈련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Rogers, C. R.(1975). Empathic: an Unappreciatedway of Being. J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 2-10. https://doi.org/10.1177/001100007500500202
  13. 신경일(1994). 상담자교육을 위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곽윤정(2004). 정서지능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승철(2002).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한지. 현암사, 38.
  16. 박찬희(2017). 한지의 특성을 이용한 현대 장신구의 오브제 표현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Lewis Biggs(1992). "Working with Nature", Working with Nature: Contemporary Art From Korea. Tate Gallery Liverpool.
  18. 정창섭(1982). 평면의 실제적 추상에 의한 한국적 이미지의 표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3.
  19. 한국미술평론가협회(2009). 한국현대미술가100인. 사문난적.
  20. 강신주(2003). 장자: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태학사, 339.
  21. 이우환(2002). 여백의 예술. 현대문학, 37.
  22. 조영인(2019). K-POP과 전통예술의 융합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전통예술의 대중화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2): 27-36.
  23. 가스통 바슐라르(2003). 공간의 시학. 곽광수 옮김, 서울 동문선, 15.
  24. Hodgkinson, P. E. & Stewart, M.(1991). Coping with Catastrophe: A Handbook of Disaster Management, Florence, KY: Taylor & Frances/Routledge.
  25. Gephart Jr, R. P.(1993). The Textual Approach: Risk and Blame in Disaster Sense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6): 1465-1514. https://doi.org/10.2307/256819
  26. Dollinger, S. J.(1986). The Need for Meaning Following Disaster: Attributions and Emotional Upse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2(3): 300-310. https://doi.org/10.1177/0146167286123006
  27. 이형재(1989). 한국 현대건축에 나타난 전통성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4.
  28. 박영순(2001). 시각적 질감을 중심으로 한 한국 전통 소재의 체계적 분류. 디자인학연구,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