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1.01.19
  • Accepted : 2021.02.2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through appropriate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for the elderly by specifically grasping the effect of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of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who live in J city, Chungbuk.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of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0.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literacy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mong the information literacy abilities of the elderl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and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in the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of the elderly,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information literacy has a greater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n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However, information provision ability and information criticism a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ate information education to improve the information literacy of the elderly. Second, it is necessary to build information infrastructure to improve the information technology ability of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노인에게 적합한 정보 활용능력을 통해 생활만족을 향상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 중에서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 기술능력과 정보 이용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 정보 활용능력에서 정보 기술능력과 정보 이용능력이 높을수록 생활만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정보 이용능력이 정보 기술능력보다 생활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보 제공능력과 정보 비판능력은 생활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의 정보 이용능력 향상을 위한 정보화 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정보 기술능력 향상을 위한 정보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용식, 손호중(2012). 인터넷활용과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4): 235-244.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35
  2. 최흥식(2011). 고령화 사회의 노인 정보화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논총, 27(1): 53-85.
  3. 이복자(2015). 한국의 노인 정보화사업 성과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 173-188.
  4. 박충선, 이춘옥(2003). 노년의 정보화태도와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노인들의 정보화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2): 25-44.
  5. 전병주, 곽현주(2016). 노인의 가구유형에 따른 정보 활용과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0): 213-220. https://doi.org/10.5762/KAIS.2016.17.10.213
  6. 김수경, 신혜리, 김영선(2019).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참여, 네트워크 활동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7(12): 23-34. https://doi.org/10.14400/JDC.2019.17.12.023
  7. 김은희, 이노미(2019). 스마트폰 정보활용 능력이 디지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9(9): 895-906.
  8. 이미숙, 김희섭, 홍순구(2015). 실버세대의 정보 활용능력이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0(2): 125-131. https://doi.org/10.9723/JKSIIS.2015.20.2.125
  9. 이복자(2015). 노인의 정보화 수준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68: 107-132.
  10. Jones, S.G.(1997). Virtual Culture, Identity and Communcation in Cybersociety. London: Sage.
  11. 김재휘, 김지호, 신상회(2002). 노인들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4:67-91.
  12. 서진완, 박희봉(2003). 인터넷활용과 사회자본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자본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2(1): 27-50.
  13. 김동배, 김상범, 김세진(2011). 서울지역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 활동에 관한 연구: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집단비교. 한국노년학회, 31(3): 733-749.
  14. Lawhorn, T., Ennis, D., & Lawhorn, D.C.(1996). Senior adults and computers in the 1990's. Educational Gerontology, 22(2): 121-135.
  15. 김명용, 전혜정(2017).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2(3): 343-370. https://doi.org/10.21194/KJGSW.72.3.201709.343
  16. 이복자, 김용우(2010). 노인의 인터넷활용 효과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4(3): 79-105.
  17. 곽미정, 노상은, 곽영길(2017). 노인복지관의 정보화 교육만족도가 노인의 정보활용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486-495.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486
  18. 이복자, 명승환(2010). 노인의 정보화인식과 인터넷활용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4): 151-179.
  19. 양승목, 송호근, 조권중(2002).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정보민주주의와 정보복지정책: 정보편중 및 과독점 해소방안. 한국사회과학, 24(1): 79-112.
  20. 신용주(2005). 정보화 교육을 통한 노인 임파워먼트의 모색. 평생교육학연구, 11(4): 33-53.
  21. 최성재(1986).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원논총, 49: 233-258.
  22. Wright, K.B.(2000). Computer-mediated social support, older adults, and coping. Journal of Communication, 50(3): 100-118. https://doi.org/10.1093/joc/50.3.100
  23. Chen, Y., & Persson, A.(2002). Internet use among young and older adults: 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Educational Gerontology, 28: 731-744. https://doi.org/10.1080/03601270290099921
  24. 이윤정(2013). 노인의 정보기기 접근 수준이 정신건강 영역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1(10): 17-29.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0.017
  25. 김희섭, 이미숙, 서지웅(2014). 고령층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정보이용형태 분석. 한국정보사회학회, 15(1): 45-73.
  26. 명승환, 이복자(2010). 고령자의 정보활용 형태에 관한 연구: 정보화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2): 23-47.
  27. 김혜경(2003). 노인 정보화 교육의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수혜자와 공급자 측면에서. 노인복지연구, 20: 69-94.
  28. 김화숙, 김진욱, 정광식(2014). 평생교육으로서 노인 정보화 교육의 발전 방향: 구미시 노인종합복지회관의 정보화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5(4): 491-500.
  29. 윤현숙, 이은경, 범경아(2015). 정보화교육이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283-294.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283
  30. 김경숙(2020). 노인들의 정보화 활동수준에 따른 자아효능감과 생활만족 및 우울간의 관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5(6): 225-230. https://doi.org/10.9708/jksci.2020.25.06.225
  31. 최현재(2019). 노인의 정보활용 형태로 본 지자체의 정보화 정책의 현주소: 고령화, 정보화 정책의 변화를 기대하며. 지역정보화, 116: 26-29.
  32. 김세진, 곽윤희, 남석인(2020). 노인의 정보기기 이용유형에 대한 연구: 전후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5(2): 217-254.
  33. 최형임, 송인욱(2020).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6): 246-255. https://doi.org/10.5762/KAIS.2020.21.6.246
  34. 고선애(2020). 문화예술교육과 노인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 정보화 활용, 문화예술관심, 여가활동만족을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연구, 9(1): 133-150.
  35. 이병기(2012). 정보활용교육론. 좋은글터.
  36. 한국정보문화센터(2002). 국민생활 정보화 현황. 한국정보문화진흥원.
  37. 김성벽(2002). 웹미디어 경험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연구: 미디어 생태학적 연구관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김봉화(2006). 노인의 정보활용, 적응기제 및 삶의 만족도간의 구조방정식 분석. 노인복지연구, 33: 225-256.
  39. Neugarten, B.L., Havinghurst, R.J., & Tobin, S.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2): 134-143.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40. 임미숙(1985). 도시노인의 노인정 참여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에 따른 생활 만족도의 실증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정규형, 윤지희, 김종성(2013). 노인의 인터넷활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4(2): 357-382.
  42. 전대성(2015). 노년층의 정보화 역량유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29(3): 389-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