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민안전을 위한 민간 방재조직에 대한 소방관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Fire-fighters on Korean Civil Anti-Disaster Organization for Public Safety

  • 채종식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Chae, Jong-Sik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Si-Young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01.20
  • 심사 : 2021.02.25
  • 발행 : 2021.02.28

초록

본 연구는 사회재난 대응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소방관들을 대상으로 지역자율방재단의 전문성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해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방재활동 전반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자율방재단의 새로운 인적 자원 관리제도와 적극적인 홍보 실시 둘째, 재정적인 지원과 보상제도의 개선이 필요 셋째, 지역자율방재단에 도움이 되는 맞춤식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지역자율방재단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ought for an improvement plan of the overall preventive activity of Korean Citizen-Corps-Active-In-Disaster(CAIND)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 fire-fighters, who are focusing on social disaster response works, are surveyed for their awareness of the vivid expertise to Korean CAIND. This group is defined as the assistant organization in law about disaster prevention which, the local residents willingly made to handle the situation of disaster occurrence.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activities are also inherent, related issues are also reviewed at the same time to resolve any unclear arguments by disaster prevention activ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Citizen Corps Active in Disaster. Through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d three major suggestions for an improvement pl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ota management system of Korean CAIND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should be actively supplemented. Second, the current reward system for Korean CAIND activities at large disaster sites should be surely improved. Third, the curren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Korean CAIND to satisfy regional conditions should be newly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argely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to develop Korean CAIND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세나, 조인희(2014). 재난방송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5): 51-55.
  2.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의1(정의), 법률 개정(2018). 자연재난 범위에 폭염과 한파 포함.
  3. 김한국(2011). 국가적 재난 대응에 있어서의 소셜 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5(4): 147-153.
  4. 대한민국정부 국무회의(2014. 4. 29) 및 정부 조직법 개정안 입법예고(2014. 5. 29). 국민안전처 및 방재안전 직렬 신설.
  5. 대한민국헌법 제10조(행복추구권), 제34조의1, 2, 6(생활권, 사회보장권, 재해예방과 국민보호), 제36조의3(보건권), 보건의료기본법 제10조의1, 2(건강권).
  6. 신현주(199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Maslow의 욕구단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정혁, 박정제, 김보균(2019). 다수 환자 발생 시 안전 증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4): 229-240.
  8. 김경남(2007). 지역 재난관리의 주민조직 활성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9. 김형도(2018). 우리나라 의용소방대의 활동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공학박사학위논문.
  10. 임재문(2010). 민간 재난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안산시 지역자율방재단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보형(2017). 지역자율방재단의 역할과 활동에 따른 개선방향 연구. 광운대학교 황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임재문(2010). 민간 재난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안산시 지역자율방재단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2019). 행정기관 내부행정자료, 2015-2018.
  14. 통계청(2017). 장래가구 추계 시.도편(2015~2045).
  15. 박대식, 마상진, 채상헌, 최용재, 김경인(2017). 사회적 경제 부문에 있어서 국내외의 귀농.귀촌 성공사례 조사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16. 국민안전처(2017). 2016 국민안전처 통계연보.
  17. 김주례(2002). 지방자치단체의 자원봉사영역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경남(2007). 지역 재난관리의 주민조직 활성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19. 류창진(2013). 의용소방대조직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점동(2005). 한국 의용소방대 운영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방재지도자 육성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공학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