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인체육진흥을 위한 체육인재양성 활성화 방안

Activation of Sports Talent Cultivation for Elderly Sports Promotion

  • 투고 : 2021.05.20
  • 심사 : 2021.06.25
  • 발행 : 2021.06.30

초록

본 연구는 노인체육진흥을 위해 체육인재양성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다양한 체육 및 관련분야의 체육인재 양성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빠른 시대변화에 대응하는 실무적이며, 실용적인 체육인재 중 노인 체육인재 양성의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방법을 진행하였으며,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노인체육진흥을 위해 노인체육 및 체육인재 양성의 현주소 분석, 그리고 노인체육과 체육인재양성의 문제점 및 발전과제의 분석을 통해 체육인재 중 노인 체육인재 양성의 활성화 방안을 종합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체육조직문화 환경 속에서의 융·복합적인 사고방식으로의 전환과 함께 융·복합적인 노인체육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등 교육경쟁력을 강화한다. 이는 정부, 대학, 민간 기관 등과의 연계를 통해 노인체육인재의 전문성 강화와 실용적인 디지털멀티인재로서의 기능과 역할 수행을 의미한다. 둘째, 노인체육 및 관련학과 단위의 노인체육인재 양성을 위한 진로교육인프라 구축을 확대한다. 진로교육측면은 모든 분야에서 이슈가 되는 것으로 이는 재학생 및 졸업생에 대한 전방위의 DB구축을 의미한다. 셋째, 노인체육 전반에 연구 개발 지원을 확대한다. 이는 노인체육정책을 관장하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 그리고 민간 전문가 등과의 협치를 통해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범정부차원의 체육인재육성 전략을 종합적, 체계적, 중장기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이는 체육분야뿐만 아니라 교육, 보건, 복지분야 등에서의 체육인재의 양성 및 발굴, 진로 및 취업, 재교육(역량 강화교육), 일자리 고용안정을 의미한다. 다섯째, 국무총리실 산하에 가칭)노인건강청 신설 운영을 제시한다. 이는 부서 간 협력 및 적극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이중적 업무에 따른 예산낭비 등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교육 확대 및 질적 제고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sports talent cultivation, determine the sports talent cultivation status in various types of sports and relevant areas, and present specific plans for activating practical sports talent cultivat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an effort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s of time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lderly sports and sports talent cultivation status, analyze the problems with elderly sports and sports talent cultivation and development tasks, and present the following comprehensive plan for cultivating elderly sports talent cultivation in pursuit of elderly sports promo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become more competitive in education by developing various programs for convergent and combined elderly sports talent cultivation as well as by changing into a convergent and combined way of thinking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environment of sports. Second, it is necessary to build more career education infrastructures for elderly sports talent cultivation in the elderly sports and relevant departments. Career education may become an issue in every area, which means building comprehensive DBs for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Third, it is necessary to give greater support to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entire area of elderly sports. This means implementing relevant projects efficiently through governance wit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charge of elderly sports policie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professionals in the private sectors. Fourth, it is necessary to make comprehensive, systematic, and mid- and long-term strategies for cultivating sports talent at the governmental level. This means sports talent cultivation and search, career and employment, reeducation (competence reinforcement training), and job and employment stability in the areas of education, health, and welfare as well as sports. Fifth,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tentatively-called elderly health agency under the influence of the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This requires expans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greater efficiency in preventing any overlapped task from wasting the budget through inter-department cooperation and positive partnership.

키워드

참고문헌

  1. 박헌일(2006). 한국 운동지도제도의 인프라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Kleiber, D. A., & Linde, B. D.(2014). The Case for Leisur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Retirement Transition. Journal of Park & Recreation Administration, 32(1), 110-127.
  3. 전화영(2017). '명견만리' 이영표 '스포츠 복지' 통해 초고령화 사회 대비 모색. 한국정책신문, 2017. 6. 23.
  4. 박성혜(2019). T. Parsons의 AGIL로 본 공공 노인체육 사업의 성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국민건강보험공단(2018). 2017년도 건강백세 운동교실 사업현황.
  6. 유정애(2015). 스포츠교육학의 공적 가치와 공적 기능. 체육과학연구, 26(2): 329-341. https://doi.org/10.24985/KJSS.2015.26.2.329
  7. Forbes, F. W., & Hirdes, P. J.(1993).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of good self-rated health. Journal of Aging and Health, 5(1), 101-122. https://doi.org/10.1177/089826439300500105
  8. 임강영(2010). 독거노인의 생활체육 활동에 대한 의미형성과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길성민(2019). 노인의 운동 향유력 함양을 위한 인문적 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오상은, 박재현, 최창환(2020). 체육학에서 노인 관련 연구의 동향 탐색: 고령화 및 고령 사회에 따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2(4): 111-121. https://doi.org/10.21797/KSME.2020.22.4.010
  11. 이원미, 권구명(2019).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노인체육의 연구주제: 국내 인문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8(6): 253-262.
  12. 조영희(2009). 한국 특수체육교육(학)과의 특수체육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모형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신중한(2011). Delphi 기법을 활용한 골프산업 전문인력 육성방안.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문형진(2016). 스포츠영재 지도자의 연수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분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최경희, 박영애(2016). 기독교 무용 지도자 양성의 현황 및 개선 방향. 무용예술학연구. 61(4): 73-86.
  16. 김보미(2017).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대학 무용교육전문인 양성 교육과정 기준 개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명수(2019). 군 병역환경 변화에 따른 전문 체육인의 효율적 활용방안.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선효, 서아람(2020). 한국의 골프인재 교육 제도 개선방향.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8(2): 93-114.
  19. 조정순, 서아람(2020). 한국 골프전문인력의 일자리 정책 발전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289-303.
  20. 조경환(2020a). 복지서비스로서 대학의 운동 재활 인재 활성화 방안. 사회융합연구, 4(3): 91-106.
  21. 위성식(2001). 노인체육 전공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5: 77-94.
  22. 김설향, 정복자(2009). 노인전문체육지도자 양성현황과 개선방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1): 791-798.
  23. 최명호(2010). 노인체육복지 전문가 양성 교과 과정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배재윤, 이재희(2017). 노인스포츠지도사 연수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3): 31-57.
  25. 위리징(2017). 중국 노인 체육지도자 양성 방안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조경환(2020b).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305-319.
  27. 추나영, 김선희(2020). 노인스포츠지도사 자격 취득의 실효성 및 개선 방안: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7(4): 711-722. https://doi.org/10.12925/jkocs.2020.37.4.711
  28. 윤지은(2020). 노인무용 지도자 양성을 위한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691-706.
  29.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8). 인재양성 시스템 고도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8.
  30. 문화체육관광부(2020a). 2018 체육백서.
  31. 문화체육관광부(2020b). 2019 스포츠산업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32. 통계청(2019).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 보도자료(2019.9.2.).
  33. 이원일, 서운진(2020).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건강신념이 스포츠태도 및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ce(AJPESS), 8(3): 147-157. https://doi.org/10.24007/AJPESS.2020.8.3.013
  34. Kontis V et al.(2017). Future life expectancy in 35 industrialised countries: projections with a Bayesian model ensemble. Lancet 389: 1323-35. https://doi.org/10.1016/S0140-6736(16)32381-9
  35. 이윤환(2017). 고령사회 대응 보건의료와 장기 요양 서비스의 통합적 제공(토론 1). 양승조보건복지위원장, 국회입법조사처, 전국노인복지단체연합회,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 35-36.
  36. 통계청(2017). 생명표.
  37.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2019). 2019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신체활동].
  38.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2018). Physical activity Fact sheets for the 28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of the Who European Region 2018.
  39.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 결과보고서.
  40. 스포츠안전재단(2020). 스포츠안전사고 실태 조사 종합 보고서.
  41. 김예성, 박채희(2012). 체육복지 활성화 방안 연구: 노인체육복지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0(2): 167-181.
  42.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7 체육백서.
  43. 조경환(2020b).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4(4): 305-319.
  44. 국민체육진흥공단(2018). 2017 국민체육진흥공단 종합업무현황.
  45. 대한체육회(2018). 2017 대한체육회 사업결과보고서.
  46. 대한체육회(2018). 어르신전담지도자 배치 실적. 내부자료.
  47. Guralnik, J. M., & Simonsick, E. M.(1993). Physical disability in older America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48: 3-10. https://doi.org/10.1093/geronj/48.Special_Issue.3
  48. hodzko-Zajko, W. J.(1997). Editorial: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ssues Guidelines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Person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5(1): 1-8. https://doi.org/10.1123/japa.5.1.1
  49. 문화체육관광부(2018). 국민생활체육진흥기본 계획.
  50. 유지영(2015).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매커니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114-121.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114
  51. 김은혜, 정진오(2013). 리듬운동 복지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연령정체감과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 한국리듬운동학회지, 6(1), 1-12.
  52. 국민체육진흥공단(2020). 스포츠산업 성장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 나서다!. https://www.kspo.or.kr/보도자료/2020.05.21.
  53. 조경환(2020a). 복지서비스로서 대학의 운동 재활 인재 활성화 방안. 사회융합연구, 4(3), 91-106.
  54. 문화체육관광부(2020c). 2020년 업무계획.
  55. 문화체육관광부(2019). 경제 성장을 이끄는 스포츠산업: 제3차 스포츠산업 중장기 발전 계획(2019년~2023년).
  56. 고은하(2011). 국제스포츠인재양성의 현황 진단 및 정책방안 도출. 체육인재육성재단, 국제스포츠 인재양성 세미나.
  57. 문화체육관광부(2020a). 2018 체육백서.
  58. 대한체육회(2018). 소속별 등록선수 수(2015~2018). 내부자료.
  59. 대한체육회(2018). 종목별 등록선수 수(2018). 내부자료.
  60. 대한체육회(2019). 종목별 국가대표 선수 및 코치 현황(2018). 2018 대한체육회 사업결과 보고서.
  61. 대한체육회(2018). 종목별 심판 수(2018). 내부자료.
  62. 체육인재아카데미(2019). 국제심판 자격취득 및 역량강화교육 현황(2009~2018). 국민체육진흥공단.
  63.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2019). 고등학교 체육계열학과 및 학생 수 현황(2018).
  6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2019). 체육 계열 전문대학과정 학과 및 학생, 교원 수 현황(2013-2018).
  65.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2019). 체육 계열 대학과정 학과 및 학생, 교원 수 현황(2013-2018).
  66.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2019). 체육 계열 대학원과정 학과 및 학생, 교원 수 현황(2013-2018).
  67. 문화체육관광부(2020a). 2018 체육백서.
  68. 국민체육진흥공단(2019). 종목별 체육지도자 양성 현황. 내부자료.
  69. 국민체육진흥공단(2019). 종목별 장애인스포츠지도사.유소년스포츠지도사.노인스포츠지도사 양성 현황. 내부자료.
  70.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2019). 체육 계열 대학과정 학과 및 학생, 교원 수 현황(2013-2018).
  71. 이학준(2004). 체육학과 명칭의 다양화, 이대로 좋은가. 한국체육철학회 동계학술대회, 45-59.
  72. 김현식(2004). 사회체육지도자의 갈등 및 이직. 한국체육학회지, 43(3): 109-134.
  73. 김성문(2003). 체육계열 신입생의 대학 진학 과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4. 김진희(2010). 체육교육과 명칭과 교육과정에 대한 성찰. 대한운동사협회 자료집.
  75. 최의창(2008). 반성적 체육전문인 양성을 위한 대학교 학부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5(2): 1-24.
  76. 백소영(2013). RASCH 모형을 적용한 글로벌 인재 역량 척도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7. 최의창(2008). 반성적 체육전문인 양성을 위한 대학교 학부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5(2): 1-24.
  78. 문호준(2011). 체육계열 대학 학과 명칭 및 교과과정 내용 분석. 한국체육학회, 140-157.
  79.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8). 인재양성 시스템 고도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13.
  80.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21). 민간자격 소개. www.pqi.or.kr.
  81.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21). 자격정보. www.pqi.or.kr.
  82. 정경환(2020). 노인체육 정책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향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5.
  83. 수도권일보. 영유아 노인 체육 진흥 사업 예산 지원. http://www.sudokwon.com/article./ 2021.04.15.
  84. 쿠키뉴스. 대전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 '국어진흥', '영상산업 육성' 조례 발의 http://www.kukinews.com/newsView/ 2021.04.15.
  85. 용인시민신문. 용인시의회 윤원균 의원 발의, 체육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통과. http://www.yongin21.co.kr/news/article/ 2021.04.15.
  86. 경인자치신문. 김병전 부천시의원 대표 발의, '부천시 체육진흥 조례안' 통과. http://ggjnews.co.kr/index.do?menu_id/2021.04.15.
  87. 플러스코리아타임즈. 서산시, 체육 인재육성 합력! 스포츠 위상 높인다. https://m.pluskorea.net/a.html?uid=199487/ 2021.04.23.
  88. 인터풋볼. 서울E, 한체대 스포츠산업학과와 체육인재 양성 위한 MOU 체결!. https://sports.v.daum.net/v/ 2021.04.23.
  89. 가천대학교(2020). 특성화사업단 운동재활복지학과. https://www.gachon.ac.kr/university/college/2020.06.19.
  90. 조경환(2020a). 복지서비스로서 대학의 운동 재활 인재 활성화 방안. 사회융합연구, 4(3): 91-106.
  91. 경기복지신문(2010). 경로당 허약 노인 운동 재활 프로그램 큰 호응. 2010.09.20.
  92. 조경환(2020b).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305-319.
  93. 경남연합일보. 경남 생활체육지도자 248명 정규직 전환. http://m.gnynews.co.kr/news/ 2021.04.29.
  94. 김 공(2010). 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욕구에 대한 지도자역할 모형 구축.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5. 손석정, 추종호(2017). 초고령 사회 준비를 위한 Active Ageing 실현 노인체육정책 중요도 우선순위 평가.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5(2): 99-113.
  96. 최의창(2008). 반성적 체육전문인 양성을 위한 대학교 학부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5(2): 1-24.
  97. 김경숙(1994). 사회체육학과 교육과정 방향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3(2): 254-267.
  98. 이세훈(2010). 한국의 대학 체육계열학과 커리큘럼 분석 및 발전과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99. 최명호(2010). 노인체육복지 전문가 양성 교과 과정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0. 문화체육과광부(2018). 국민생활체육진흥기본계획.
  101. 김승진(2016). 사회생태학적 관점에서의 노인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 2016년도 한국노인체육학회, 경기대학교 스포츠건강과학연구소 공동 추계학술세미나, 39-46.
  102. 정경환(2020). 노인체육 정책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향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3. 추나영, 김선희(2020). 노인스포츠지도사 자격 취득의 실효성 및 개선 방안: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7(4): 711-722. https://doi.org/10.12925/jkocs.2020.37.4.711
  104. 박성혜(2019). T. Parsons의 AGIL로 본 공공 노인체육 사업의 성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5. 오선효, 서아람(2020). 한국의 골프인재 교육 제도 개선방향.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8(2): 93-114.
  106. 조경환(2020a). 복지서비스로서 대학의 운동 재활 인재 활성화 방안. 사회융합연구, 4(3): 91-106.
  107. 정경환(2020). 노인체육 정책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향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