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ers' Aspiration for Academic Needs on Particip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근로자의 학업욕구 열망이 대학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Ji-Hu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Future College, Seowon University) ;
  • Mun, Bok-Hyun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Future College, Seowon University)
  • 이지훈 (서원대학교 미래대학 경영학전공) ;
  • 문복현 (서원대학교 미래대학 경영학전공)
  • Received : 2021.03.23
  • Accepted : 2021.04.26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present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attracting new students and customized education to university officials through research on the participation of workers' academic aspirations in university education. Thus, variables were derived by analyzing prior data, and causal settings between variables an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Subject to the survey, 331 workers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university education were collected through interpersonal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dataized, and reliability and feasibility verification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Finally, we validate the fi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causal relationship for each concept.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validation show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university officials should be motivated by a mentor and mentee system with experienced people who have switched to a suitable vocational group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programs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develop themselves for the future. To this end, it will be necessary to help them understand their aptitude and strengths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Second, university officials should strengthen public relations so that prospective students can know the cases and information of the job transformation of the admitted workers through recommendations.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develop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elf-develop, accept various ideas through "public contest",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university education to workers through re-processing. Third, university officials should provide workers with a program that allows them to catch two rabbits: job transformation and self-improvement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timulate the motivation of workers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visiting advanced overseas companies, obtaining various certificates, moving between departments of blue-collar and white-collar, and transfer opportunities. Fourth, university officials should actively promote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is by participating in university education and receiving systematic education and the flow of social environment. Finally, university officials will need to consult and promote workers so that they can self-develop when they participate in college education, and they will have to figure out what they need for self-development through demand surveys and analysis.

본 연구는 근로자의 학업 열망이 대학교육 참여에 미치는 연구를 통해 대학교 관계자들에게 신입생유치 및 맞춤 교육을 위한 전략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선행자료들을 분석하여 변수들을 도출하였고,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설정과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조사 대상은 대학교육 참여에 관심 있는 근로자 331명을 대상으로 대인면접법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화를 하였고,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와 각 개념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검증결과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교육을 통해 적성에 맞는 직업군으로 전환한 경험자와의 멘토·멘티 제도를 통해 동기부여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를 위해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본인의 적성과 장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 관계자들은 추천을 통해 입학을 한 근로자들이 직업전환을 이룬 사례와 정보를 입학 예정자가 알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 계발을 할 수 있는 대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모전' 등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용하고 재가공을 통해 근로자에게 대학교육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교육을 통해 직업전환과 자기계발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프로그램을 근로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즉, 대학 입학시 해외 선진 기업 견학, 다양한 자격증 취득, 블루칼라·화이트칼라의 부서 간 이동, 이직 기회 획득 등 다양한 정보제공과 졸업 선배들의 성공 사례들을 제공함으로써 근로자들의 학습 동기 유발을 자극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대학 관계자들은 직업전환을 위해서는 대학교육에 참여하여 체계적인 교육과 사회 환경의 흐름 등을 교육받음으로써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곳이 대학이라는 것과 이와 관련된 대학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 관계자들은 근로자가 대학교육 참여시 자기계발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이 발생하도록 근로자와의 상담 및 홍보를 실시해야 할 것이고, 근로자들의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자기계발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응방안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수(2020). 만학도의 대학 진학 동기와 변화된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1): 257-282. https://doi.org/10.25051/JNER.2020.8.1.010
  2. 김종식, 임왕규(2014).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14(5): 179-189.
  3. 김영석(2012).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및 학습동기 연구동향분석. Andragogy Today, 15(1): 31-62. https://doi.org/10.22955/ACE.15.1.201202.31
  4. 전명수(2014).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9(5): 235-246.
  5. 천세영, 한숭희(2006). 평생학습사회에서의 고등교육의 의미와 대학의 위상 전환. 평생교육학연구, 12(1): 127-144.
  6. 봉미미, 김혜연, 신지연, 이수현, 이화숙(2008).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14(1): 319-348.
  7. 이정원(2015). 군에서의 자기계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3(1): 11-23. https://doi.org/10.14400/JDC.2015.13.1.11
  8. 차종천, 오병돈(2012). 교육열망과 학습참여가 학업성취의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3(4): 417-441.
  9. McClelland, David. C., John W. Atkinson, Russell A. Clark, & Edgar L. Lowell.(1953). The achievement motive.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10. Golthorpe, John H.(2000). Golthorpe, John H.(2000). On Sociology: Numbers, Narratives, and the Integration of Research and The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1. 최운실(1986). 성인교육유형에 따른 교육 참여 동기 분석.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신미식(2002). 여성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 평생교육학연구, 8(1), 121-151.
  13. 김계순, 김명찬(2019). 중년여성 만학도의 성장욕구와 자기실현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5(1): 109-137.
  14. 다음 어학사전(2020).
  15. 조윤경, 김은미(2008). 미디어 이용과 대인 간상호작용이 청소년의 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2(5): 255-455.
  16. 박지수(2016). 온라인 패션쇼핑몰의 제품 추천이 선택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윤주(2016). 추천기법별 고객 선호도 및 영향 요인에 한 분석: 전자제품과 의류군에 대한 비교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18(2): 59-77. https://doi.org/10.14329/isr.2016.18.2.059
  18. 서화정, 김병주(2014). 교육만족도, 교육성취 및 취업지원 참여도 직무일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 재정경제연구, 23: 185-205.
  19. 안형용(2020).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 요인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7): 438-450.
  20. 고용노동부(2002). ILO주요협약집. http://www.moel.go.kr.
  21. 인적자원관리용어사전(2020).
  22. 조규흔(2001). 근로시간 단축의 경제적 효과. 경영 및 경제 연구, 24(2): 249-272.
  23. 박연호(1999). 인간관계론의 역사적 전개와 새로운 지평. 한국인간관계학보, 4(1): 1-20.
  24. 이세훈(2018). 일과 삶의 균형이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호텔 종사원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2(3): 117-135.
  25. 이윤정(2018). 외국인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0): 477-485.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477
  26. 주은선(2016).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750-759.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750
  27. Lawrence, B. S.(1980). The myth of middle crisis. Sloan Management Review, 21(4): 35-49.
  28. Blau, G. J.(1985).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8: 277-28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85.tb00201.x
  29. Arthur, M. B., Hall, D. T., & Lawrence, B. S. (1989). Generating New Directions in Career Theory: The Case for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in M. B. Arthur, D. T. Hall & B. S. Lawrence (eds.), Handbook of Career Theory, 7-25.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김형일(2008). 전환교육의 이론적 모형 탐색을 통한 교육적 시사점 고찰. 지체. 충복. 건강 장애연구, 51(4): 1-18.
  31. Arthur, M. B.(1994). The boundaryless career: A new perspective for organizational inquir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5(4): 295-306. https://doi.org/10.1002/job.4030150402
  32. 이인호(2010). 자기계발 동기가 혁신행동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4): 605-633.
  33. 이해성(2003). 변화강제교육과 자기계발학습. 교육학연구, 41(3): 465-482.
  34. 김혜영, 이동귀(2009). 직장인의 자기계발 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산업 및 조직, 22(2): 261-293.
  35. 전상진(2008). 자기계발의 사회학: 대체 우리는 자기계발 이외에 어떤 대안을 권유할 수 있는가?. 문화와 사회, 5: 103-140.
  36. 서동진(2010). 자기계발하는 주체의 해부학 혹은 그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문화과학, 61: 37-54.
  37. 김유선(2011). 노동시장 및 노사관계 : 주 40시간 근무제가 노동자 여가생활에 미친 영향. 산업노동연구, 17(1): 37-71.
  38. 서은훤, 배일현(2016). 자기계발 교육서비스가 교육문화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화산업연구, 16(1): 75-81.
  39. 이희정(2011).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 연구, 19(2): 67-108.
  40. 마상진(2007). 농업인의 교육.훈련 참여 요인. 농촌경제, 29(3): 33-50.
  41. 김광수(2020). 만학도의 대학 진학 동기와 변화된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1): 257-282. https://doi.org/10.25051/JNER.2020.8.1.010
  42. 민선향(2006). 성인들의 배움에 관한 연구: 학위과정의 참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지연호(2009). 학업동기와 학습조력형태가 학업성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노승호.(2017). 근로시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신수경(2013). 성인학습자들의 자기계발 학습 참여 과정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유환철(2009). 학습자의 교육참여가 교육과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지훈(2013). 문화재 지역에 대한 관계혜택이 긍정적 감정반응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도 성읍민속마을의 '오메기 술'과 '고소리 술'을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16(2): 73-95.
  48. Nunnally, J. C.(1967).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49. Bagozzi, R. P., & Yi, Y.(199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50. Challagalla. G. N., & Shervani, T. A.(1969). Dimension and Type of Supervisory Control: Effects on Salespers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60(1): 89-105. https://doi.org/10.2307/1251890
  51. Singh, J., & Rhoads, G. K.(1991). Boundary Role Ambiguity in Marketing Oriented Positions: A Multidimensional, Multifaceted Operationaliz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8(3): 328-338. https://doi.org/10.2307/3172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