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in Jewish Learning Culture 'Habruta'

유대인 학습문화 '하브루타'에 함축된 평생학습의 의미 탐구

  • 정소임 (아주대학교대학원, 평생교육 및 HRD전공) ;
  • 조미경 (한경대학교)
  • Received : 2021.03.19
  • Accepted : 2021.04.26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is study was purposed to explore the learning culture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and research review in Jewish Havruta which has interaction, critical reflection, and the driving force creating a better world. The prior researches on Havruta mainly tend to as ways to increase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and studies as curriculum or teaching methods such as creativity, understand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However, Havruta is not just method to study subjects, but rather a process of developing thinking through dialogue and discussion. Therefore, Havruta's essential meaning as a lifelong learning should be explored. Studies showed that Jews embody the thinking process from interpreting, analyzing, setting up logic, questioning, discussing, and debating Talmud with others anytime, anywhere, and anyone throughout their learning culture. It develops basic skills for life, forms an integrated personality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continuously conducts lifelong learning to shape one's own beings. Therefore, lifelong learning culture would be sharing information that one has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through dialogue between two or more people, and supporting and encouraging the other's failure or fear rather than attacking them. The embodiment of thinking process in which people teach and learn eachother, accept the difference, and expand thought would be significant foundation to create lifelong learning culture.

본 연구는 학습방법으로서의 하부루타가 아닌 하브루타의 배경적 의미와 학습문화 속에 함축된 평생 학습의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하브루타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주로 학습자들의 학습 흥미도를 높이고 창의성 및 이해도, 문제해결능력을 위한 교수방법으로 연구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하브루타는 비단 하나의 학습방법이 아닌 유대인의 지속성장에 동력이 되는 학습문화라 할 수 있다. 가정의 요람에서부터 시작된 문화 속에서 평생의 삶을 위해 학습하는 방법과 사고의 과정을 체화함으로 언제 어디서 누구나 학습할 수 있는 그들만의 학습문화를 이루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관련 자료와 선행 연구를 통해 함축된 의미를 탐색하고, 평생학습의 의미와 실천 원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유네스코의 보고서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는 유대인의 역사적 배경 속에 구축된 학습문화로, 평생학습에 있어 학문적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탈무드를 가지고 타자와 함께 해석하고, 분석하고, 논리를 세우고, 질문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며 평생의 삶에 기초역량이 되는 학습하는 방법과 사고의 과정을 체화하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통합적 인격을 형성하며, 부단히 자신의 본질을 만들어가는 전 생애 평생학습과정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유대인의 학습문화는 교육의 목적 실현을 위한 평생학습의 네 가지 원리가 문화 속에서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자기창조의 동력이 되는 평생학습문화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평생학습이 각기 분절되어 진행되는 현재의 방향성에서 학습의 원리가 유기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평생학습문화로 구축해 나가야 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MBC(2021). BIG QUESTION. http://playvod.imbc.com/Vod/ClipPlay? broadcastId=1005073100029100006. 2021.01.07.
  2. 전성수(2014). 최고의 공부법: 유대인 하브루타의 비밀. 경향 BP.
  3. Arieli, H., 김진자(2015). 탈무드 하브루타 러닝. 서울: 국제인재개발센터.
  4. Mathieson, M.(1990). Tips for Teachers: Lesson Plans and Ideas from around the World. ERIC Cooperative Learning, 10(4), 49-54.
  5. Aliza, S.(2003). Harvruta study: History, Benefits, and Enhancements. Jerusalem: ATID.
  6. Kent, O.(2010). A theory of Havruta learning.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6(3): 215-245. https://doi.org/10.1080/15244113.2010.501499
  7. 서울교육청(2015). 2015 질문이 있는 교실 기본 계획, 서울: 서울교육청.
  8. 임경미, 안효진(2017). 수학동화를 활용한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 해결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5(2): 193-204. https://doi.org/10.6115/fer.2017.015
  9. 강지나, 이형철(2016). 질문중심 하브루타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arth Education, 9(3): 309-322.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309
  10. 김정숙, 이순아(2015). 하브루타 교육원리를 적용한 초등학교 독서토론 활성화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509-533.
  11. 조은영, 이신동(2019). 하브루타 토론이 영재의 비판적 사고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9(2): 173-203.
  12. 한동균, 김성욱(2015). 하브루타 학습법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의 설계 및 적용 가능성 모색. 사회과수업연구, 3(2): 85-108.
  13. 김세범(2015). 하브루타를 통한 교수방법의 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학 강의방법을 중심으로, 신학과 목회, 44: 389-415.
  14. 김영옥(2014). 실천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자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3), 315-325.
  15. 조미경(2012). 유네스코의 비판적 성인문해교육 변천과정 및 동향 분석: 세계성인교육회의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박영희(2012). 평생교육에 대한 독일 대학들의 관심 증대 및 운영 실태: 1990년대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서양사학연구, 262(26), 173-196.
  17. Faure, E., et al. (1972). Learning to Be: The world of today and tomorrow. Paris: UNESCO.
  18. Delors, J., Mufti, I., Amagi, I., Carneiro R., Chung, F., Geremek, B., Gorham, W., Kornhauser, A., Manley, M., Quero, M., Savane, M., Singh, K., Stavenhagen, R., Suhr, M., & Nanzhao, Z.(1996). Learning: The Treasure within, Report to UNESCO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Educatio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aris: UNESCO.
  19. UNESCO(1997). 21세기 교육을 위한 새로운 관점과 전망: 유네스코 21세기 세계교육위원회 종합보고서. 김용주, 김재웅, 정두용, 천세영 역(1997). 서울: 오름.
  20. Belanger, P.(2016). Self-Construction and Social Transformation: Lifelong, Lifewide and Life-deep Learning. UNESCO Institute for Lifelong Learning. Paris: UNESCO. http://reposi torio.minedu.gob.pe/handle/123456789/4406 2021.01.15.
  2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22. UNESCO(2016). Global report on culture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http://unesdoc.unesco.org/images/0024/002459/245999e.pdf. 2020.12.10.
  23. 한정란(2000). 포스트모던의 성인학습문화.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3(3): 30-48.
  24. 이종각(1997). 교육인류학의 탐색. 서울: 도서출판 하우.
  25. Asroh, M. F. M. & Abdullah, C. Z.(2017). Motivational Driven and Learning Culture for Organization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in Business and Social Sciences, 7(12): 1-8.
  26. Schmitza, S., Rebeloa, T. Graciac, J. F., & Tomas, I.(2014). Learning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processes: To what extent are they effectively related?. Revistade Psicologiadel Trabajoydelas Organizaciones, 30(3): 113-121. https://doi.org/10.1016/j.rpto.2014.11.003
  27. Conner, M. L., & Clawson, J. G.(2004). Creating a learning culture: strategy, technology, and practice.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Cheng, E., Li, H., Love, P. & Irani, Z.(2004). A learning culture for strategic partnering in construction. Construction Innovation, 4(1): 53-65. https://doi.org/10.1191/1471417504ci057oa
  29. 최익성(2019). 어떻게 학습문화를 만드는가?. 중부매일 경제칼럼3.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45862 2020.12.30.
  30. Holzer, E. & Kent, O.(2014). A Philosophy of Havruta: Understanding and Teaching the Art of Text Study in Pairs (Jewish Identities in Post-Modern Society). 김진섭 역(2019). 하브루타란 무엇인가. 서울: D6 코리아 교육연구원.
  31. 이대희(2014). 한국인을 위한 유대인의 공부법. 서울: 베가북스
  32. Feucht, O. E.(1971). Helping Family Through the Church. St. Louis, MO: Concordia Publishing House.
  33. Sherrill, L. J.(1967). The Rise of christian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Co.
  34. Dan, S. & Saul, S.(2011). The Story of Israel's economic miracle. 윤종록 역(2013). 창업국가: 21세기 이스라엘 경제성장 비밀. 서울: 다알미디어.
  35. 윤종록(2015). 이매지노베이션: 상상을 혁신으로 바꾸는 유대인의 창조 DNA. 서울: 크레듀.
  36. 이나윤, 박주영(2020).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기반학습(PBL) 적용이 작업치료과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57-65.
  37. 이관춘, 최운실, 최수연(2016). 평생교육자로서의 니체: 아포리나 포스트모던 시대의 아포리즘 평생교육철학. 한국성인교육학회 2016년 가을학술대회. 한국성인교육학회.
  38. 최수연, 최운실(2015). 니체의 사유방식에서 본 평생교육의 본질로서의 영성.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8(2): 19-42. https://doi.org/10.22955/ACE.18.2.2015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