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Hwanghae-do Gutchum

황해도굿춤의 특성과 의미

  • 홍태한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 Received : 2021.01.28
  • Accepted : 2021.02.19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Hwanghae-do Gutchum, or shamanic ritual danc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Gutchum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gular dances that appear in all pieces of Gutgeori or the tune of Gut of the Hwanghae-do Gutchum feature Geosangchum, followed by domu and heojeonmu in the sequential order. The accompaniment rhythms are Geosang rhythm, Chum rhythm, and Yeonpung rhythm. The dance featuring mugu, or shaman implements held on shaman's hand as part of the Hwanghae-do Gutchum, which symbolizes the characteristics of deities, is the same as domu aligned with the dance rhythm and the whirling dance aligned with the Yeonpung rhythm. The name of mugu, mubok (shaman clothing) and/or deities may be used as the name of Gutchum but there is no originality of Gutchum. The Beokgu Chum and Samhyeon Chum as part of the Hwanghae-do Gutchum use Beockgu Jangdan and Samhyeon Jangdan, which deserves to have their originality acknowledged. Hwanghae-do Gutchum is closely related to the rhythm. The harmony of janggu player and a female shaman is essential in practicing the Hwanghae-do Gut. If a janggu player fails to perform to properly support the gut practice of a female shaman, the shaman is not able to proceed with a smooth practice and causes confusion. On the other hand, if the gut performance of a female shaman fails to catch up with the performance of janggu, the gut becomes plain and simple at best. Janggu is the single most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Hwanghae-do Gutchum. A female shaman takes the harmony and collaboration with a janggu player so seriously that she is willing to reschedule the practice of gut if its schedule does not match that of the janggu player. The Hwanghae-do Gutchum is largely dependent on gyeolrye.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um and the rhythm caused by gyeolrye has disappeared due to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at is, designating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has resulted in eliminating all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Hwanghae-do Gutchum. With the distinction of gyeolrye becoming vague, they have lost interest in the genealogy of gut they have learned. It is no longer gyeolrye but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that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to distinguish chums.

이 글은 황해도굿춤의 특성과 의미를 살핀 글이다. 먼저 황해도굿춤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황해도굿춤의 모든 굿거리 등장하는 일반적인 춤은 '거상춤 - 도무 - 회전무'로 순차적으로 이어진다. 반주 장단은 거상장단, 춤장단, 연풍장단이다. 황해도굿춤 중 신령의 특성을 나타내는 무구를 손에 들고 추는 춤은 춤장단에 맞춘 도무와 연풍장단에 맞춘 회전무와 춤사위가 동일하다. 무구 이름이나 무복 이름, 신령 이름을 사용해 굿춤 명칭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춤사위의 독자성은 없다. 황해도굿춤 중 벅구춤과 삼현춤은 독자적인 장단인 벅구장단, 삼현장단을 사용하고 있어 춤사위의 독자성이 인정된다. 황해도굿춤은 장단과 긴밀한 관련성을 가진다. 황해도굿의 연행에서 장구재비와 만신의 조화는 절대적이다. 장구 연주가 만신의 굿 연행을 받쳐주지 않으면 굿의 연행이 순조롭지 않아 혼란이 발생하고, 만신의 굿 연행이 장구 연주를 따라가지 못하면 굿은 단순해진다. 황해도굿춤의 성패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장구이다. 굿을 맡을 때 장구재비와 일정이 맞지 않으면 굿날을 다시 잡을 정도로 만신은 장구재비와의 호흡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리고 황해도굿춤은 결례에 따라 차이가 있다. 하지만 결례에 따른 장단과 춤의 차이는 무형문화재로 인해 사라지게 된다. 결국 무형문화재 지정이 모든 황해도굿춤의 특성을 사라지게 한 것이다. 결례 구분이 모호해지고, 자신이 학습한 굿의 계보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 결례에 따른 춤의 구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무형문화재 제도에 따른 춤의 구분이 중요해졌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0S1A5B8104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