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농군행렬』,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지역 축제 발굴을 위한 토대 연구 -『국극요람』(1932) 기록을 중심으로

Proposal for the recreate and Restoration of Local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 by the data Excavation of Ulsan Nyoung-Kun Parade: Focusing on "Guk-Geuk-Yo-Ram" (1932)

  • 최흥기 (울산남구문화원 향토사연구소)
  • 투고 : 2021.01.28
  • 심사 : 2021.02.19
  • 발행 : 2021.02.28

초록

조선의 민속연극 '농군행렬'에 관한 기록은 와세다대학 쓰보우치박사 기념 연극박물관에서 1932년 발행한 『국극요람(國劇要覽)』 <조선연극>편에 나타나 있다. 이 자료는 일제강점기 사회문화적 분위기인 '조선에 연극은 없다'라는 보편적 인식 상태에서, 조선에 연극이 있음을 나타낸 귀중한 자료이다. 이 기록에는 조선의 연극을 5가지로 구별하였는데, 그 첫 번째 연행이 농군행렬이다. 이에 대해 민속학자 송석하는 이를 울산지역에서 전래한 농군들의 행렬 풍습이라 하였다. 이 연구는 현재 사라진 울산의 무형문화유산인 농군행렬을 발굴하여, 그 형상을 재현하기 위한 토대를 제안한 것이다. 방법은 연구자의 민속축제에 대한 현장경험과 문헌자료를 고찰하여, 이를 실행적인 형태로 형상화하였다. 연구 기대는 첫째, 사라진 울산의 전통적인 마을축제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을 이끌게 한다. 둘째, 울산농군행렬의 문헌적 근거를 구체화하여 그 형상을 제시한다. 그래서 향토성을 기반으로 하는 축제를 형성하여, 지역 공동체의 정체성을 이끌게 한다.

Noung-kun(a farmer as a soldier) Parade, one of the Choseon folk plays/dramas, was recorded in its chapter titled of the booklet 'Guk-Geuk-Yo-Ram', which was published in 1932 by Waseda University Tsubouchi Memorial Theater Museum in Tokyo, Japan. The general understanding on the Korean culture of that era was that 'there is no theater in Choseon'. However, a few examples of existence of Korean theater were recorded in the book mentioned above, which was mainly the record of Japanese theater.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d on a 'famers' parade' recorded in the chapter 'Traditional theater'. Seok-ha Song, a folklorist, revealed that the Noung-kun parade recorded in that book is a cultural asset of Ulsan. On the basis of these records, this study asserts that the Noung-kunParade i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Ulsan, which had been performed by the local residence of fishing villag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refore, the outcomes of this study would be as follows: First, the clear understanding of Ulsan traditional village festival. Second, the festival is named as 'Ulsan Noung-kun Parade'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cords researched in this study. Finally, I have laid a foundation for full restoration and embodiment of this intangible heritage of Ulsan.

키워드